검색 상세

중등 국어과 새말 교육 연구

초록/요약

본 논문에서는 새말 관련 교육에 관한 2015 국어과 교육과정, 2022 국어과 교 육과정과 이를 기반으로 한 현행 교과서를 분석하고, 새말 교육 학습자와 비학습자 를 대상으로 한 설문 조사를 통해 앞으로의 새말 교육 방안을 제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장에서는 선행 연구를 바탕으로 새말의 정의와 형성, 특성에 관한 기본적인 논의를 하였다. 3장에서는 새말 관련 국어과 교육과정의 성취기준과 2015 교육과정을 기반으로 한 『언어와 매체』 교과서를 분석하여 현재 국어 교육에 서 새말과 관련한 교육이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지 비판적으로 검토하였다. 이어 4장에서는 새말에 대한 조사를 통해 새말 어휘를 비롯한 개념의 전반적 인식과 교 과서를 이용한 새말 교육에 관한 인식, 교과서에서 사용되고 있는 새말 어휘에 대 한 인식을 살폈으며 2장에서 다루었던 새말의 형성 과정과 특성을 기준으로 새말 에 대한 조사의 결과를 분석하였다. 분석을 통한 교육과정의 문제점으로는 새말의 도구화, 새말 관련 학습 활동의 축소, 추상적인 교수·학습 방법 및 교과 역량 명시가 나타났다. 교과서의 문제점에 서는 교과서 구성 미흡, 새말 관련 내용 축소, 본문-학습 활동 연계 미흡이 있음을 도출하였다. 이러한 문제에 대한 새말 교육 관련 제언은 국어과 교육과정 성취기준 관련 제언과 교과서 관련 제언으로 나누어 제시하였다. 국어과 교육과정 성취기준 에 관련한 제언으로는 새말 관련 성취기준 내용의 다양화, 교수·학습 방법의 구체화, 교과 역량의 세분화를 제안하였다. 교과서에 관련한 제언은 새말 단독 단락 구성의 보완과 본문-학습 활동 연계의 내용을 제시하였다.

more

목차

1. 서론 1
1.1. 연구목적 및 필요성 1
1.2. 선행 연구 검토 4
2. 새말 관련 기본 논의 9
2.1. 새말의 정의 9
2.2. 새말의 형성 10
2.3. 새말의 특성 12
3. 새말 관련 국어과 교육과정 성취기준 및 교과서 분석 17
3.1. 국어과 교육과정 성취기준 분석 17
3.1.1. 2015 국어과 교육과정 성취기준 분석 17
3.1.2. 2022 국어과 교육과정 성취기준 분석 20
3.2. 『언어와 매체』 교과서 분석 25
3.2.1. 구성 분석 25
3.2.2. 내용 분석 31
4. 새말에 대한 조사 개요 및 결과 분석 44
4.1. 조사 개요 44
4.2. 결과 분석 1: 새말 교육에 대한 인식 45
4.3. 결과 분석 2: 교과서의 새말 교육에 대한 인식 49
4.4. 결과 분석 3: 새말 형성 과정 56
4.5. 결과 분석 4: 새말의 특성 63
5. 새말 교육 관련 제언 70
5.1. 국어과 교육과정 관련 제언 70
5.1.1. 새말 관련 성취기준 내용 다양화 70
5.1.2. 교수·학습 방법 구체화 71
5.1.3. 교과 역량 세분화 73
5.2. 교과서 관련 제언 74
5.2.1. 새말 단독 단락 구성 보완 74
5.2.2. 본문-학습 활동 연계 75
6. 결론 76
[참고문헌] 79
[부록] 82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