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노인의 영적안녕과 죽음불안 관계에서 자아통합감의 매개효과

초록/요약

본 연구에서는 노인의 영적안녕과 죽음불안의 관계에서 자아통합감이 매개효과를 가지는지 살펴았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65세 이상 노인들을 대상으로 영적안녕, 자아통합감, 죽음불안 척도를 이용하여 일대일 면접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총 266부의 자료를 최종 분석하였다. 측정한 결과는 SPSS Statistics 25 프로그램과 AMOS 25.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분석하였고, 인구통계학적 특성 분석, 기술 통계 및 상관분석, 구조모형 및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다음과 같이 요약한다. 첫째,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죽음불안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성별, 건강 상태, 종교 유무, 신앙 기간, 신앙의 깊이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으며, 연령, 동거인 유무, 배우자 유무, 경제활동 여부, 생활 수준, 학력에서는 유의하지 않았다. 즉, 여성이면서 건강 상태가 좋고, 종교가 있으며, 신앙 생활을 오래하고, 신앙이 깊은 노인이 죽음불안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주요한 변인들의 기술통계 및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모든 측정 변수는 정규분포 가정을 충족하였으며, 실존적 영적안녕, 종교적 영적안녕, 자아통합감, 죽음불안의 상관관계는 전체적으로 유의하였다. 셋째, 실존적 영적안녕이 죽음불안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아통합감은 유의미한 완전 매개효과를 나타내었다. 넷째, 종교적 영적안녕이 죽음불안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아통합감은 매개효과를 나타내지 않았다. 즉, 실존적 영적안녕은 죽음불안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지 않으며 자아통합감의 높아짐을 통해 죽음불안을 낮출 수 있고, 종교적 영적안녕은 자아통합감을 통하지 않고 죽음불안을 직접 낮추는 요인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노인의 죽음불안을 낮추기 위하여 종교적 영적 안녕수준을 높이는 개입의 필요성을 강조하며, 실존적 영적안녕의 향상과 더불어 지난 삶을 수용하는 자아통합감을 높이기 위한 상담 및 교육 프로그램 개입의 필요성을 시사하는 것에 중요한 의미가 있다. 이러한 연구의 결과를 통하여 본 연구의 의의 및 시사점과 제한점 그리고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more

목차

Ⅰ. 서론 1
1.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1
2. 연구 문제 7
Ⅱ. 이론적 배경 8
1. 죽음불안 8
2. 영적안녕 11
3. 자아통합감 14
4. 변인간 관계 18
가. 영적안녕과 죽음불안 18
나. 영적안녕과 자아통합감 19
다. 자아통합감과 죽음불안 20
Ⅲ. 연구방법 22
1. 연구대상 22
2. 측정도구 25
가. 영적안녕 척도 25
나. 자아통합감 척도 25
다. 죽음불안 척도 26
3. 자료분석 27
Ⅳ. 연구결과 29
1. 인구통계학적 변인에 따른 죽음불안 차이 비교 29
2. 기술통계 및 상관관계 분석 32
3. 측정모형 검증 34
4. 구조모형 검증 37
5. 매개모형 검증 38
Ⅴ. 논의 및 결론 40
1. 요약 및 논의 40
2. 결론 및 제언 43
참고문헌 47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