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통합교육에서의 협력적 역할에 대한 초등학교 일반교사와 특수교사의 상호 인식 분석

Analysis on Mutual Perception of Cooperative Role between General and Special Teachers in Elementary School for Inclusive Education

초록/요약

본 연구의 목적은 통합교육에서의 협력적 역할에 대한 초등학교 일반교사와 특수교사의 상호 인식을 분석하여 성공적인 통합교육의 연구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한 구체적인 연구방법은 다음과 같다. 통합교육을 위한 초등학교 일반교사와 특수교사의 협력적 역할에 대해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교육설계자, 생활조력자, 협력지원자 3개 영역, 12개 유형으로 정리하였다. 12개의 협력적 교사 역할에 대해 일반교사와 특수교사의 세부역할 24개를 각각 제시하였으며, 일반교사와 특수교사 집단 간, 각 교사 집단 내 배경변인별 중요도와 실행수준을 분석하였다. 온라인 설문조사를 통해 일반교사 312명, 특수교사 246명, 총 558명의 연구참여자를 모집하였으며 신뢰도 분석, 빈도 분석, t 검정, 일원변량분산 분석, Scheffe 사후분석, 다중응답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통합교육을 위한 협력적 교사의 역할 중요도 인식은 일반교사와 특수교사 두 집단 모두 교사의 역할 중요도를 높게 인식하고 있었다. 특히 교육설계자, 생활조력자, 협력지원자 3개 영역 모두에서 특수교사가 일반교사보다 교사의 역할 중요도를 더 높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실행수준 인식은 특수교사가 일반교사보다 실행수준을 더 높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일반교사, 특수교사 두 집단 모두 교사의 역할 중요도 인식에 비해 실행수준이 더 낮았으며, 중요도가 높고 실행수준이 낮아 중요도와 실행수준 차이가 가장 큰 영역은 두 집단 모두 교육설계자 영역이었다. 셋째, 배경변인에 따른 중요도와 실행수준은 일반교사의 경우 통합학급 담임경력에 따라 특수교사의 경우 소지자격증에 따라 중요도와 실행수준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넷째, 일반교사와 특수교사 모두 장애학생 문제행동을 통합교육 실행의 어려움이라고 하였고, 교사 및 보조인력 지원과 통합(특수)학급 인원수 축소를 우선적으로 필요한 지원이라고 하였다. 일반교사와 특수교사 협력 시 가장 필요한 부분은 장애학생을 고려한 생활(행동중재) 지도로 나타났다. 연구결과와 논의를 바탕으로 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성공적인 통합교육을 위해 교육정책의 방향이 일반교육 중심의 통합교육으로 더 집중 되어야 한다. 둘째, 통합교육을 위해 일반교사와 특수교사에게 통합교육 실행을 위한 국가, 교육청, 학교 차원의 지원이 필요하다. 셋째, 통합교육을 위한 일반교사와 특수교사의 전문성 함양을 위한 실제적인 연수 프로그램과 기회가 제공되어야 한다. 넷째, 통합교육을 주도적으로 실행해야 하는 일반교사와 특수교사는 원활한 통합교육 실행을 위해 협력적인 관계 유지가 필요하다.

more

목차

Ⅰ.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문제 7
3. 용어의 정의 7
Ⅱ. 이론적 배경 9
1. 통합교육의 개념 9
가. 통합교육의 정의 9
나. 통합교육의 근거 13
다. 통합교육의 효과 15
2. 교사의 역할 19
가. 일반교사의 역할 19
나. 특수교사의 역할 23
다. 통합교육을 위한 협력적 교사의 역할 27
3. 통합교육을 위한 교사의 역할 인식과 실행 37
Ⅲ. 연구방법 42
1. 연구대상 42
2. 연구도구 44
3. 연구절차 47
4. 자료분석 48
Ⅳ. 연구결과 49
1. 통합교육을 위한 협력적 교사의 역할 중요도 인식 49
2. 통합교육을 위한 협력적 교사의 역할 실행수준 인식 54
3. 배경변인에 따른 통합교육을 위한 협력적 교사의 역할 중요도 및 실행수준 인식 60
4. 통합교육 개선방향 인식 75
Ⅴ. 논의 및 결론 78
1. 요약 및 논의 78
2. 결론 및 제언 84
참고문헌 91
부록 104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