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청소년의 일상적 스트레스와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상위기분의 매개효과

초록/요약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을 대상으로 일상적 스트레스와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상위기분의 매개효과를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경기도 소재의 고등학생 4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했으며 최종 364명의 자료를 분석에 사용했다. 자료 분석은 SPSS 25.0을 사용했으며 연구 대상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을 파악하고자 빈도분석을 실시했고 연구에 사용된 척도의 내적 신뢰도 계수를 산출했다. 또한 세 변인의 상관관계와 상위기분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위계적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의 일상적 스트레스와 상위기분, 심리적 안녕감 간의 상관분석 결과, 청소년의 일상적 스트레스는 상위기분과 심리적 안녕감 모두 부적 상관을 보였다. 또한 상위기분 전체와 상위기분의 하위요인인 정서인식 명확성, 정서에 대한 주의, 정서개선 순서로 일상적 스트레스와 부적 상관이 나타났고, 심리적 안녕감과는 정적 상관을 보였다. 둘째, 일상적 스트레스와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상위기분이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일상적 스트레스가 심리적 안녕감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일상적 스트레스가 상위기분의 영향을 거쳐 심리적 안녕감을 예측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상위기분의 하위요인인 정서인식 명확성, 정서에 대한 주의, 정서개선이 일상적 스트레스와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각각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일상적 스트레스가 심리적 안녕감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일상적 스트레스가 상위기분의 하위요인인 정서인식 명확성, 정서에 대한 주의, 정서개선 각각의 영향을 거쳐 심리적 안녕감을 예측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일상적 스트레스와 심리적 안녕감에 대한 이해를 확장시키고 상위기분의 중요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또한 상위기분을 상담 및 치료 장면에 개입할 수 있는 근거를 제공하여 청소년의 정신건강 문제를 극복하는데 도움이 되는 기초적인 자료를 제공하였다.

more

목차

Ⅰ.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문제 5

Ⅱ. 이론적 배경 6
1. 일상적 스트레스 6
2. 상위기분 9
3. 심리적 안녕감 13
4. 변인간의 관계 16

Ⅲ. 연구방법 20
1. 연구대상 20
2. 측정도구 20
3. 자료분석 23

Ⅳ. 연구결과 25
1. 청소년의 일상적 스트레스, 상위기분, 심리적 안녕감 정도 25
2. 청소년의 일상적 스트레스, 상위기분, 심리적 안녕감의 상관관계 26
3. 청소년의 일상적 스트레스와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상위기분의 매개효과 검증 28
4. 청소년의 일상적 스트레스와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상위기분 하위요인의 매개효과 검증 30

Ⅴ. 논의 및 결론 38
1. 요약 및 논의 38
2. 결론 및 제언 41

참고문헌 43
부록 59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