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다독과 정독을 연계한 영어 읽기 수업이 초등학교 5학년 영어 읽기 능력에 미치는 영향

초록/요약

본 연구는 초등학교 5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다독과 정독을 연계한 영어 읽기 수업이 학생의 영어 읽기 능력 향상과 정의적 영역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비교 분석하였다. EFL 상황에서 정독 중심의 정규 수업은 학생들에게 충분한 언어 입력이 되지 못하므로 시간과 공간의 제약을 받지 않는 다양한 무료 온라인 도서를 활용하여 읽기의 즐거움을 느낄 수 있는 풍부한 입력원을 제공하였다. 다양한 장르의 읽기 자료를 활용하여 자발적으로 읽기에 참여하고 핵심 어휘, 텍스트 구조, 발음에 집중하며 다독과 정독의 장점을 최대화하여 다독과 정독을 연계한 수업을 실시하였다. 실험군(20명)은 다독과 정독을 연계한 수업을 1주간 2차시, 총 14주간 28차시를 7개월 동안 실시하였으며 비교군은(20명)은 정규 교육과정 수업을 실시하였다. 양적 연구 도구로 영어 읽기 능력을 측정하기 위해 국가영어인증시험을 활용하였으며, 정의적 영역은 흥미도, 참여도, 자신감을 윤혜민(2016)의 설문지를 활용하여 사전·사후 검사를 실시한 후 각 집단의 결과와 영어 읽기 능력을 ‘상’, ‘중’, ‘하’ 집단으로 구분하여 결과를 분석하였다. 질적 연구도구로 교사 수업 관찰 일지와 학생 일기를 작성, 수집하여 정의적 영역인 흥미도, 참여도, 자신감을 중심으로 학생들의 행동을 수업 초기, 중기, 후기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학생 일기의 경우 학생들의 영어 읽기 능력을 ‘상’, ‘중’, ‘하’ 집단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론을 요악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다독과 정독을 연계한 영어 읽기 수업이 학생들의 영어 읽기 능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각 집단의 사전·사후 검사 결과를 비교한 결과 모두 유의미하였고 실험군의 점수 폭이 큰 폭으로 향상되었다. 둘째, 다독과 정독을 연계한 영어 읽기 수업이 학생들의 영어 읽기 정의적 영역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실험군과 비교군 각 집단의 사전·사후 검사 비교 결과 실험군만 정의적 영역과 그 하위 영역인 흥미도, 참여도, 자신감에 있어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고 실험군의 점수 향상 폭도 높았다. 셋째, 실험군의 영어 읽기 수준에 따라 ‘상’, ‘중’, ‘하’ 집단으로 분류하여 영어 읽기 능력 사전․사후 검사 결과를 비교한 결과 실험군의 ‘중’, ‘하’ 집단의 경우만 유의한 차이를 보여주어 영어 읽기 능력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다독과 정독을 연계한 영어 읽기 수업이 학생들의 영어 읽기 정의적 영역의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고 보았다. 실험군의 ‘상’, ‘중’ 집단은 정의적 영역과 그 하위 요소인 흥미도, 참여도, 자신감 모든 측면에서, ‘하’ 집단의 경우 흥미도와 자신감 영역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넷째, 교사 수업 관찰 일지를 분석한 결과 모든 수준의 학생들의 흥미도, 자신감, 참여도에 다독과 정독을 연계한 수업이 긍정적으로 영향을 미쳤음을 알 수 있었다. 양적 연구 분석 결과 실험군 ‘하’ 집단의 참여도에 있어 통계적으로 무의미한 결과를 얻었으나 수업 과정에서 학생들이 참여하려는 의지가 표출되는 행동들을 발견할 수 있었다. 다섯째, 학생 일기를 분석한 결과 영어 읽기 수준에 따라 향상 정도는 다소 다르게 나타났지만 모든 영어 읽기 수준의 학생들에게 정독과 다독을 연계한 수업이 정의적 영역인 흥미도, 참여도, 자신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이는 다독과 정독을 연계한 수업을 통해 Nuttall(1996)이 언급한 좀 더 긴 텍스트를 공부하는 과정에서 읽기에 대한 전략들과 기술들이 향상되었음을 의미한다. 즉 어도선 등(2012)이 제시한 자발적인 독서 활동을 통해 학습자의 읽기 속도 향상, 단어 추측 전략의 향상, 어휘력 등이 향상되었다. 이와 같은 효과는 다독과 정독의 장점들이 수업에 잘 연계되어 이루어졌기 때문에 나타난 결과라고 볼 수 있다. 또한 다독과 정독을 연계한 읽기 수업에서 학생들의 영어 수준에 적합한 독서 활동을 함으로써 읽기에 대한 긍정적인 경험을 갖게 되었고, 단어 분류 활동이나 사실이나 거짓 등의 이해를 점검하는 정독 활동을 통해 어휘 및 발음의 정확성을 향상시켰다. 이와 같은 결과가 학생들의 정의적 요인의 향상을 불러일으킨 것으로 판단된다. 제언으로는 첫째, 보다 지속적인 교육을 위해 학습자 스스로 자신의 흥미와 수준에 알맞은 도서를 시간과 공간의 제약을 받지 않는 환경에서 즐겁게 찾아서 읽을 수 있는 프로그램과 이에 대한 안내가 필요하다. 둘째, 다독과 정독을 연계한 읽기 학습을 실시함에 있어 학습자의 흥미도, 참여도, 자신감 향상에 저해되지 않도록 학습자들의 읽기 수준과 비슷한 수준에서 학습자의 노력과 교사의 도움으로 쉽게 이해가 가능한 약간 어려운 수준의 텍스트를 활용하여 활동을 구성할 필요가 있다. 셋째, 다독과 정독을 연계한 체계적인 수업 모형 개발과 각 학년 지도 방안에 대한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more

목차

Ⅰ. 서론 1
1.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1.2. 연구 문제 5
Ⅱ. 이론적 배경 6
2.1 영어 읽기 교육 6
2.1.1영어 읽기 정의 및 목적 6
2.1.2 영어 읽기 과정 9
2.1.3 영어 읽기 능력 14
2.1.4 영어 정의적 영역 15
2.2 다독과 정독 18
2.2.1 다독 18
2.2.2 정독 22
2.2.3 다독과 정독의 비교 24
2.3 다독과 정독의 연계 교육 27
2.3.1 다독과 정독 연계 교육 27
2.3.2 다독과 정독 연계 교육의 선행 연구 28
Ⅲ. 연구 방법 31
3.1 연구 대상 31
3.2 연구 도구 및 자료 분석 방법 33
3.2.1 양적 연구 도구 및 분석 방법 33
3.2.2 질적 자료 및 분석 방법 37
3.3 수업 설계 38
3.3.1 다독과 정독을 융합한 영어 읽기 수업 도서 선정 38
3.3.2 다독과 정독을 융합한 영어 읽기 차시별 수업 설계 41
Ⅳ. 연구 결과 45
4.1 비교군과 실험군의 영어 읽기 능력과 정의적 영역 분석 45
4.1.1 영어 읽기 능력 차이 검정 45
4.1.2 정의적 영역 차이 검정 48
4.2 영어 읽기 수준에 따른 영어 읽기 능력과 정의적 영역 분석 50
4.2.1 ‘상’ 집단의 영어 읽기 능력과 정의적 영역 차이 검정 50
4.2.2 ‘중’ 집단의 영어 읽기 능력과 정의적 영역 차이 검정 53
4.2.3 ‘하’ 집단의 영어 읽기 능력과 정의적 영역 차이 검정 56
4.3 교사 관찰 일지와 학생 일기 질적 분석 59
4.3.1 교사 관찰 일지 분석 59
4.3.2 학생 일기 질적 분석 64
Ⅴ. 연구 결론 및 제언 73
5.1 연구 결론 73
5.2 제언 76
참고문헌 77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