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학부모의 DISC 행동유형에 따른 학습코칭에 관한 사례연구 : 학령기 자녀를 둔 어머니를 대상으로

A Case Study about Learning Coaching Follow the DISC Behavior Pattern of Parents

초록/요약

본 연구는 학습습관이 정립되기 시작하는 초등학교 자녀를 둔 학부모를 대상으로 심층인터뷰를 통해 DISC행동유형에 따른 학습코칭 접근 방법 및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DISC행동유형에 따른 학습코칭의 활용과 활성화 하는데 기여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 이를 통해 코칭 프로그램 개발 및 교육에 관한 근거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의의를 둔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에 기반하여 DISC행동유형, 학습코칭, 학습지원행동에 주목하여 전체적인 연구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우리나라의 높은 교육열과 높은 교육기대수준에서 최근 많은 전문가들은 부모의 역할과 자녀와의 관계 내에서 다양한 교육적 기대를 만족시키고자 노력하고 있다. 부모는 바람직한 교육관을 가지고 학습지원행동을 통해 자녀를 이 사회에서 주목받는 인재로 양성하는데 주목하고 있다. 이를 위해 자녀 스스로 자아실현 할 수 있는 방법이 코칭임을 시사한다. 부모의 관심도와 자녀에 대한 학습지원은 매우 밀접한 관계가 있으며 생활 전반의 변화와 발전과도 많은 연관성이 있다. 코칭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그 영향력 또한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으므로 본 연구에서는 학령기 자녀를 둔 어머니를 대상으로 행동유형과 학습지원에 대한 질적 자료를 분석하고 대상자의 성향을 DISC 행동유형을 통해 알아보았다. DISC행동 유형에 따른 학습코칭의 적용을 위한 방법과 부모가 자녀에게 학습코칭을 함으로써 나타난 효과 인식을 사례별로 탐색해 보고, 학습코칭의 활용과 활성화 방안을 모색해 보았다. 첫째, 학부모의 행동유형과 학습지원행동은 어떠한가? 둘째, 학부모의 행동유형에 따른 학습코칭은 어떻게 적용되는가? 셋째, 학부모의 행동유형에 따른 학습코칭 적용에 대한 학부모들의 효과인식은 어떠한가? 에 대해 DISC행동유형을 진단하고 학습코칭을 실시하여 검증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자녀를 둔 학부모 6명을 대상으로 심층인터뷰를 하였다. 인터뷰 면접지와 2회의 심층인터뷰, 사후 텔레코칭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정확한 자료 수집과 분석을 위해 면접 내용을 녹음하고 녹취록을 작성하여 분석하였다. 1차 면접 시 DISC행동유형 진단을 위해 설문 검사지와 오링테스트를 하여 정확도를 높였고, 개방형 질문을 함으로써 대상자의 학습지원 행동에 대한 심도 있는 이해가 가능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연구 대상자의 요구도에 맞는 구체적인 학습코칭스킬을 제시하였다. 이후 대상자들은 제시된 학습코칭스킬을 적용하였고, 2차 면접 시 학습코칭의 적용에 대한 학부모들의 반응과 효과를 연구하였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주요 사항은 다음과 같다. DISC 대표 행동유형에 따른 분포는 I형이 3명, S형이 2명, C형이 1명 이였고, D형은 대상자 중에서는 나타나지 않았다. I형은 적극적인 애정표현과 허용적인 부모로서 주변인물과도 친화력이 있었다. 그러나 일관되지 못한 훈육으로 학습요구도에서 바른 학습습관, 집중력이 향상되기를 원하였다. 학습코칭 접근 방법으로는 부모의 일관된 자세와 구체적인 목표수립을 위한 “SMART원칙” “독서지도를 위한 SQRW”을 적용하여 그 코칭의 효과를 긍정적으로 도출하였다. S형은 안정감을 주며 자녀에게 세심한 주의를 기울이는 부모로서 자녀 학습에 대해서는 낮은 기대치를 보였다. 따라서, 학습코칭스킬로는 부모의 능동적이고 실천적인 자세를 이끌어 낼 수 있는 "꿈을 키우는 리더"를 적용하였다. 그 결과 코칭에 대해 긍정적 기대를 하기는 하나 의무감은 보이지 않았다. 이는 단기간의 효과를 검증한 것으로 장기적 효과를 기대해 본다. C유형은 신중하고 차분하며 완벽한 자녀를 양육하려는 부모로 예의는 바르나 칭찬에 인색하였다. “경청기술” “인정기술”을 통해 자녀에 대한 신뢰를 바탕으로 코칭적용 결과 긍정적 효과를 나타내었다. 연구 결과를 종합하여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성향분석을 통한 자기이해, 꿈과 목표설정, 경청, 질문, 인정과 칭찬, 메시징의 스킬효과를 통해 부모는 지지자, 협력자, 옹호자의 역할로 자녀의 인생의 목적, 소망, 가치, 믿음과 비전을 설정하도록 한 결과 학습동기유발, 학업성취, 목적의식 고조, 가치관 정립, 열정, 상대방 존중 등의 행동변화를 가져왔다.

more

초록/요약

This study has its purpose in examining the method of approach of learning coaching and effects following the DISC behavior pattern through in-depth interviews with parent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who start to establish study habits. Also, this study has its meaning that seek the plan to contribute to utilization and revitalization of learning coaching follow the DISC behavior pattern and providing basis data about the development of coaching programs and education through this. This study paid attention to the DISC behavior pattern, learning coaching and study support behavior on the basis of this purpose of study, and the summary of the general contents of the study is as follows. Recently many experts are trying to satisfy various educational expectations within the roles of parents and the relationship with children in the high enthusiasm for education and the high level of expectations for education of Korea. Parents are paying attention to training their children as talents that attract attention in this society through study support behavior with a desirable outlook on education. It is suggested that the method which children themselves can conduct self-actualization is coaching. The degree of attention of parents and the study support of children are very closely connected with each other and have many relations with the changes and development of the overall living. The concern about coaching is increasing and it is influencing much, and therefore this study analyzed qualitative data about behavior pattern and study support with mothers of school-age children and examined the disposition of the subject through the DISC behavior pattern. This study inquired into the method for the application of another learning coaching to the DISC behavior pattern and the recognition of the effects of the learning coaching of parents to children case by case and groped a plan to utilize and revitalize learning coaching. First, how are the behavior pattern and study support behavior of parents? Second, how is applied to learning coaching follow the behavior pattern of parents? Third, how is the recognition of effects of parents about the application of learning coaching follow the behavior pattern of parents? This study examined the DISC behavior pattern about these questions, conducted learning coaching and verified by them. This study was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with 6 parent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is study collected data through the questionnaire, two in-depth interviews and ex post facto telecoaching. This study recorded the contents of interviews and framed transcripts and thereby analyzed for collection and analysis of accurate data. This study increased the accuracy when first interview by using the questionnaire and conducting the o-ring test for the examination of the DISC behavior pattern and it was possible an in-depth understanding about study support behavior of subject, thereby ask open-type questions. On the basis of it presented a concrete learning coaching skill that suits the degree of demand of the subject. And then, subject applied the learning coaching skill, and they studied the reponses of parents and the effects about applying of learning coaching when second interview are as follows. The distribution follow the DISC representative behavior pattern was 3 in Pattern I, 2 in Pattern S and 1 in Pattern C and nothing is applied to Pattern D. Pattern I is permissive parents with active expression of affection and they were friendly with others. However, due to inconsistent instruction, they wanted right study habits and concentration to enhanced in the degree of demand of study. The "SMART principle" and the "SQRW for directions for reading" for consistent attitude of parents and establishment of a concrete goal were applied as the method of approach of learning coaching and thereby the effects of the coaching were positively deduced. Pattern S is parents who give the feeling of stability and pay careful attention to their children, they showed low expectations for study of their children. Therefore, "The leader that grows dreams" was applied as the learning coaching skill drew with the active and practical attitude of parents. As a result they showed positive expectations for coaching but not the sense of obligation. This is a verification of short-term effects, and therefore the long-term effects are expected. Pattern C is parents who are cautious and calm, and intend to grow perfect children. They were polite but were sparing with praise. They showed positive effects as a result of application of coaching on the basis of trust for their children through the "listening technique" and the "recognition technique". The conclusion that is obtained by generalizing the results of the study is as follows. As a result of letting the parents set up the purpose of life, wish, value, trust and vision of children as a role of supporter, collaborator and defender through self-understanding through the analysis of disposition, setting up of dreams and goals, listening, questions, recognition, praise and the skill effects of messaging, the changes of behavior such as induction of motives for study, accomplishment of studies, encouragement of a sense of purpose, establishment of values, passion and respect for others and so on were brought.

more

목차

Ⅰ.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문제 3
Ⅱ. 이론적 배경 4
1. DISC행동유형의 개념 및 이해 4
1) 인간 행동의 개념 4
2) DISC 행동 유형 5
3) DISC 행동 특성 6
2. 학습코칭 12
1) 코칭의 개념 및 이해 12
2) 학령기 학습코칭의 중요성 17
3) 학습코칭에 대한 행동유형의 적용 가능성 18
3. 부모의 행동과 자녀의 학업성취 간의 관계에 관한 선행연구 19
Ⅲ. 연구의 방법 23
1. 연구 방법 23
2. 연구 대상 24
3. 연구 절차 26
4. 자료 수집방법 26
1) 심층면담 27
2) 자료정리 28
Ⅳ. 연구결과 30
1.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31
2. DISC 행동유형에 따른 학습코칭의 특성 33
1) I유형 33
2) S유형 40
3) C유형 44
Ⅴ. 결론 47
1. 논의 47
2. 한계점 및 제언 50
참고문헌 53
부록 56
영문초록 63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