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평가인증 사후유지관리에 대한 시설장의 인식과 역할변화에 관한 연구

초록/요약

본 연구는 2005년부터 시행한 평가인증을 통과한 시설의 시설장을 대상으로 평가인증 이후 시설장의 인식변화와 사후유지관리를 위한 시설장의 노력과 어려움에 대해 알아보고 사후유지관리에서 시설장의 역할변화에 대해 알아봄으로써 평가인증 사후유지관리에서 효과적인 방안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으며,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1. 평가인증 이후 시설장의 평가인증에 대한 인식은 어떻게 변화하였는가? 2. 평가인증 이후 사후유지관리 과정에서 시설장의 노력은 어떠한가? 3. 평가인증 이후 사후유지관리 과정에서 시설장이 경험하는 어려움은 무엇인가? 4. 평가인증 사후유지관리로 인한 시설장의 역할은 변화하였는가? 본 연구는 경기도 오산시와 시흥시, 그리고 안산시에 소재한 보육시설 중 평가인증을 통과한 보육시설의 시설장 130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사용하여 조사하였고, 자료분석은 기술통계를 이용한 빈도와 백분율, 그리고 평균과 표준편차, 일원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문제별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평가인증 이후 시설장의 평가인증에 대한 인식은 어떻게 변화하였는지에 대해 조사한 결과 ‘평가인증후 보육시설의 전반적인 질이 향상되고 체계가 생겼다’가 평균 4.22로 가장 높게 조사되어 대부분의 시설장은 보육시설의 전반적인 질이 향상되고 체계가 생겼다고 인식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인증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시설장의 노력은 대부분 평가인증 지표대로만 체크 및 준수하고 있으며, 우수보육시설 방문을 통한 개선은 어려운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인증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가장 경비가 많이 소요되는 부분으로 실내,외 시설 개보수비로 조사되었다. 셋째, 평가인증후 사후유지관리 과정에서 시설장이 경험하는 어려움에 대하여 조사한 결과 ‘업무부담’과 ‘재정적 비용부담’, 그리고 ‘교사의 이직’으로 조사되었다. 평가인증을 유지하기 위하여 시설장의 업무부담이 늘어났고 보육환경개선을 위해 재정적 비용부담을 갖게 된다. 또한 평가인증후에도 보육교사에 대한 인센티브 및 인건비 지원이 미비하여 보육교사의 이직률이 높은 것이 시설장이 경험하는 어려움으로 조사되었다. 넷째, 평가인증후 사후유지관리로 인한 시설장의 역할변화에 대한 조사결과 ‘건강 및 안전 관리’ 영역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시설별로는 국공립보육시설에서 ‘교재교구의 효율적 활용을 위한 관리 지도’ 점수가 높았고, 민간보육시설은 ‘실내,외 시설 및 설비를 점검,보수,구매한다’의 점수가 높았으며, 가정보육시설은 ‘유아의 건강을 고려한 휴식 및 취침 등에 대해 지도한다’에서 역할변화 점수가 높게 조사되었다. 본 연구결과, 평가인증후 대부분의 시설장은 ‘보육시설의 질이 향상되고 체계가 생겼다’고 인식하고 있지만 평가인증을 다시 할 의향이 있는가의 질문에는 낮은 점수로 조사되었는데 이는 사후유지관리 과정에서 ‘업무부담’과 ‘재정적 비용부담’ 그리고 ‘교사의 이직’으로 인한 시설장들의 어려움과 관련이 있음을 알 수 있다. 정부 미지원시설인 민간보육시설과 가정보육시설에 대한 보육환경 개선과 교사의 처우개선에 대한 정부의 지원이 절실히 요구된다. 또한 시설장은 평가인증을 유지하기 위해 모든 영역에서의 역할 변화가 평가인증 이후에도 계속 지속되어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현재까지 평가인증을 통과한 후 시설장에 대한 어떠한 인센티브도 없었지만 보육시설의 질 향상을 위해 묵묵히 역할을 수행해 온 시설장에게 정부에서는 사후유지를 위한 제반비용에 대한 지원과 시설장에 대한 인센티브 지원을 적극적으로 검토하는 것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more

목차

Ⅰ.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 문제 4
3. 용어 정의 5
Ⅱ. 이론적 배경 6
1. 보육시설 평가인증제도 6
2. 보육시설평가인증의 필요성 및 목적 9
3. 제 1차 보육시설 평가인증 시행평가 11
4. 평가인증의 문제점 14
5. 평가인증시설의 사후유지관리 15
6. 선행연구 19
Ⅲ. 연구방법 21
1. 연구대상 21
2. 연구도구 23
3. 연구절차 24
4. 자료처리 및 분석방법 24
Ⅳ. 연구결과 26
1. 평가인증이후 시설장의 평가인증에 대한 인식변화 26
2. 사후유지관리 과정에서 시설장의 노력 29
3. 사후유지관리 과정에서 시설장이 경험하는 어려움 33
4. 평가인증 사후 유지관리로 인한 시설장의 역할변화 37
Ⅴ. 논의 및 결론 41
1. 논의 41
2. 제언 45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