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제7차 국어과 문학 교육과정 연구 : 창작 교육을 중심으로

초록/요약

현대 사회를 흔히 정보화 사회라고 한다. 정보화 사회에서 요구되는 인간의 모습은 창의적 인간, 자기 주도적 인간, 그리고 협력하는 인간이다. 이는 빠르게 변화되는 사회에서 요구되는 인간상을 단적으로 보여준다. 이러한 사회적 변화의 영향은 국가 수준의 교육과정 변화 과정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 교육인적자원부에서는 2003년 10월부터 교육과정 수시 개정 체제를 도입하여 운영하고 있다. 교육과정 수시 개정 체제는 기존의 일시․전면적 교육과정 개정 방식의 비효율성을 해소하고, 사회의 다원화 및 급격한 변화에 대응하여 교육 내용을 지속적으로 개선하며, 국민 각계각층의 교육과정 개정 요구를 탄력적이고 체계적으로 반영하기 위한 목적에서 마련된 것이다. 따라서 제7차 교육과정 개정 이후 수시 교육과정 개정 체제에 따라 제8차 교육과정이라 공식적으로 칭하지 않고 교육과정 개정 연도를 따서 개정 교육과정을 운영하고 있다. 이러한 수시 개정 체제의 기본 바탕이 되는 교육과정은 본고에서 지금까지 살펴본 제7차 교육과정이다. 이는 수시 개정 교육과정의 계속되는 변화에 대한 기본 틀로서 존재하게 된다. 따라서 지금까지 운영되어 왔던 제7차 교육과정의 비판적인 고찰이 선행되어야 이후의 개정 교육과정의 성공적 운영 방향성을 제시할 수 있다. 1997년 고시된 제7차 교육과정에서는 변화하는 현실을 반영하여 학생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하는 교육에 목표를 두고 있다. 본고에서는 제7차 국어과 교육과정을 대상으로 두 가지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첫째는, 1997년 고시된 제7차 국어과 교육과정의 문학 영역의 문제점들을 다방면에서 살펴보았고 둘째는, 제7차 교육과정뿐만 아니라 이후의 새롭게 개정된 교육과정에서 지속적으로 강조되고 있는 학습자 중심의 ‘수용과 표현’의 ‘창작 교육’에 대하여 고찰해 보았다. 그리고 그에 따른 교수-학습 지도안 및 여러 가지 실제적 자료들을 제시했다. 본고에서 살펴본 제7차 국어과 교육과정, 특히 문학 교육과정 목표는 문학의 본질의 이해를 바탕으로 문학의 ‘수용과 창작’에 의한 국어사용의 생활을 통해 문학적 문화를 고양시키는 데 있다. 따라서 문학의 이해와 창작의 교육 내용으로서의 문학 지식은 ‘문학 능력 향상’에 도움을 주는 지식이어야 하고, 그 지식은 학습자가 개별 문학 작품을 읽고 해석하고 수용하며 평가하는 실제의 문학 활동에 활용할 수 있는 것이어야 한다. 또한 실제의 문학 활동을 통해 그러한 지식이 습득되고, 그 지식이 문학 작품을 수용하고 표현하는 실제의 문학 활동에 연계될 수 있도록 학습 내용을 선정하고 지도해야 한다. 하지만 이러한 내용들이 실제 학교 현장에서 제대로 실천되었는지, 이론적으로만 존재해 왔던 것은 아닌지 꼼꼼히 살펴볼 필요가 있다. 제7차 교육과정은 새롭게 고시된 2007 개정 교육과정과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라 막바지에 이르고 있다. 새롭게 고시된 교육과정의 성공적인 운용을 위해서는 필수적으로 지금까지 논의된 제7차 교육과정에 대한 비판적 이해가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제7차 교육과정의 비판적 접근은 단지 비판을 위한 비판으로만 그쳐서는 안 되며 다음 교육과정의 운용에 실질적인 참고 자료로, 때로는 실제 자료로서 활용되어야 한다. 급격하게 변화되는 사회 속에서 교육과정 역시도 급격하게 변화하는 추세이지만 그 변화의 기본 골격은 제7차 교육과정이기 때문이다. 이제 학교 현장에서는 2007 개정 교육과정과 2009 개정 교육과정의 시작점에 위치하고 있다. 이러한 교육과정의 성공적인 운용을 위해서는 제7차 교육과정의 비판점을 바탕으로 교육과정상의 이론이 얼마나 학교 현장에서의 실제로 용해될 수 있는지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more

목차

Ⅰ. 서론 1
1. 연구사 검토 및 문제제기 1
2. 연구 목적 및 연구 방법 6
Ⅱ. 문학 교육의 관점 12
1. 문학 교육의 개념 12
2. 문학 교육과정의 변천 14
3. 최근 문학 교육의 동향 16
Ⅲ. 제7차 국어과 교육과정과 문학 교육 20
1. 제7차 국어과 교육과정 개관 20
2. 제7차 교육과정 문학 영역 24
3. 제7차 문학 영역 특성 분석 37
4. 제7차 문학 교육과정과 그 현실 41
Ⅳ. 제7차 문학 교육의 이론과 실제 - 창작 교육을 중심으로 44
1. 현장 문학 교육의 현실적 문제 44
2. 창작 교육의 관점 49
Ⅴ. 창작 교육의 실제 56
1. 교육과정과 창작 교육의 연계성 56
2. 창작 교육의 지도서 예시 62
3. 창작 교육 방법의 구체화 70
4. 창작 교육의 교수-학습 지도안 76
Ⅵ. 결론 80
참고문헌 83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