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고등학교 영어 수업을 위한 드라마 기법 활용 연구

초록/요약

글로벌, 세계화 시대에 맞추어 의사소통 중심의 영어 교육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 이에 따라 영어 능력에 대한 검증은 문법을 알고 영어 문장을 단순히 읽고 이해하는 데에서 그치는 것이 아니라 영어를 ‘구사할’ 수 있느냐, 즉 영어로 듣고 말하는 쓰는 것까지 포함한 의사소통능력이 가능한지를 포함하고 있다. 본 연구자는 드라마를 활용한 영어교육이 학습자의 의사소통 능력을 증진시킬 뿐만 아니라 정서적인 함양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전제 하에 영어교육에서 활용할 수 있는 다양한 드라마 기법들을 살펴보고 이를 실제 고등학교 교과서에 적용할 수 있는 방안들을 고찰해 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드라마 기법을 활용한 연구가 상대적으로 덜 활발한 고등학교 수업 현장에서 현실적인 제약들을 고려하면서도 교과서 일부분에 드라마 기법을 적용하는 방법들을 고안하고자 하였다. 즉, 드라마 기법을 활용함으로써 교과 내용이 보다 직접적이고 실질적으로 학습자들에게 전달될 수 있는 수업지도안을 고안해 보았다. 특히 고등학교 학년 중에서도 상대적으로 가장 입시 부담이 덜하다고 볼 수 있는 고등학교 1학년을 대상으로 수업지도안을작성해 보았으며, 실제 고등학교 1학년이 학습하는 교과서를 분석하여, 단원의 일부 활동에 드라마 기법들을 적용하는 방법을 사용하였다.Changing voice, The envelope, Status, Elastic sentences, My potato, What am I doing?, Self-portrait 총 7가지의 기법들을 이용한 구체적인 수업지도안을 고안하였고, 이 기법들은 최대한 교과 내용과 긴밀하게 연관되도록 구성하였다. 의사소통 능력은 듣기, 말하기, 읽기, 쓰기 네 가지 모든 능력이 고루 결합되어 발휘되는 능력이다. 그러므로 의사소통 능력 향상을 위해 고안된 드라마 수업에 대한 평가 또한 네 가지 영역을 아우르는 전반적인 평가로 구성되어야 할 것이다. 이러한 측면에서 볼 때, 사지선다형으로 이루어진 단순한 지식을 묻는 시험지로는 의사소통 능력을 전반적으로 평가하지 못한다. 그러므로 의사소통 능력의 네 가지 영역 뿐 만 아니라 이를 신장시켜 나가는 과정과 결과를 모두 종합하여 평가내릴 수 있는 수행평가(performance assessment)를 드라마 수업에 대한 평가로 활용해야 할 것이다.

more

목차

I.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선행 연구 3
3. 연구 내용 및 제한점 7
II. 이론적 배경 9
1. 드라마와 영어교육 9
2. 드라마 기법 활용의 효용성 12
3. 드라마 기법의 종류 15
3.1 Changing Voice 15
3.2 The Envelope 16
3.3 Status 17
3.4 Elastic Sentences 17
3.5 My Potato 18
3.6 What am I doing 19
3.7 Self-portraits 21
III. 드라마 활동의 실제 22
1. 교과서 분석 22
2. 드라마 기법의 실제 지도 28
2.1 Changing Voice를 활용한 지도안 29
2.2 The envelope을 활용한 지도안 33
2.3 Statues를 활용한 지도안 35
2.4 Elastic sentences를 활용한 지도안 38
2.5 My potato를 활용한 지도안 41
2.6 What am I doing을 활용한 지도안 43
2.7 Self-portraits을 활용한 지도안 45
3. 드라마를 활용한 수업의 평가 49
IV. 결론 및 제언 52
참고문헌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