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중학생의 관계적 공격성에 영향을 주는 개인 내적 요인

The Relation of Psychological Variables to Relational Aggression in Early Adolescence

초록/요약

본 연구는 중학생의 관계적 공격성과 그 하위유형(반응적, 주도적)에 영향을 주는 개인 내적 요인들의 관계를 알아보았다. 중학생 410명을 대상으로 사회평가불안과 타인의 인정에 대한 과도한 요망이 관계적 공격성의 하위유형에 주는 영향을 회귀분석을 통해 살펴보았다. 또한, 분노표현양식의 하위요인(분노표출, 분노억제, 분노통제)이 관계적 공격성의 하위유형과 외현적 공격성에 주는 영향을 회귀분석을 통해 확인하였다. 그 결과, 여자 중학생의 경우 사회평가불안은 반응적 관계적 공격성에, 타인의 인정에 대한 과도한 요망은 주도적 관계적 공격성에 특정적으로 유의미한 영향력을 가진 것으로 나타나, 연구 가설을 지지하였다. 또한, 분노억제는 반응적 및 주도적 관계적 공격성에, 분노표출은 외현적 공격성에 특정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주었다. 연구 결과를 성차를 중심으로 논의하였으며, 중재 프로그램의 향후 방향에 대해 제안하였다.

more

초록/요약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examine the unique contributions of psychological variables to the two subtypes of relational aggression(i.e., reactive, proactive).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among 410 middle school students(M = 14.49 years) were performed. The results showed that among the girls, social evaluative anxiety was uniquely positively associated with reactive relational aggression and excessive demand for others' approval with proactive relational aggression. Anger-in was found to be a unique contributor to relational aggression, and anger-out to overt aggression. Findings were discussed in terms of gender differences in aggression, and some elements for intervention programs were suggested.

more

목차

I. 서론 = 1
II. 이론적 배경 = 6
1. 공격성의 개념 = 6
2. 공격성의 유형 = 6
3. 관계적 공격성에 영향을 주는 변인들 = 9
1) 사회평가불안 = 9
2) 타인의 인정에 대한 과도한 요망 = 11
3) 분노표현양식 = 13
III. 연구 목적 및 가설 = 16
1. 연구 목적 = 16
2. 연구 가설 = 17
IV. 연구 방법 = 18
1. 연구 대상 = 18
2. 평가 도구 = 18
1) 또래갈등척도 = 18
2)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 척도 단축형 = 19
3) 역기능적 신념검사 단축판 = 20
4) 분노표현척도 = 21
3. 자료 분석 = 22
V. 결과 = 23
1. 인구학적 특징 및 주요 변인들의 기술 통계치 = 23
2. 회귀분석: 사회평가불안과 타인의 인정에 대한 과도한 요망 = 30
3. 회귀분석: 분노표현양식 = 38
VI. 논의 = 45
참고문헌 = 50
부록 = 59
ABSTRACT = 66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