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생태적인 공동주택 외부공간의 평가 방법 개발을 위한 예비평가지표 설정에 대한 연구 : 건축 및 조경설계 실무자 중요도 인식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Preliminary Assessment Indicators for the Development of Ecological Outdoor Spaces of Housing Complexes

초록/요약

본 연구는 친환경건축물 인증제도가 본격적으로 시행된 지 5년을 경과하여 정착시기를 지나 활성화의 전기를 맞고 있는 시점에서, 구체적이고 생태계의 원리를 중심으로 하는 평가지표체계를 개발하기 위하여 예비평가지표 풀을 설정하고 이에 대한 전문가 조사를 통한 중요도 분석을 통하여 단계적 적용방안을 도출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현재 시행중인 국내외의 평가지표를 분석해보면 평가의 내용이 거주자를 중심으로 하는 환경 친화적인 관점에서 다루어지고 있으며, 토지이용, 에너지 및 자원, 생태환경, 실내 환경 등의 폭넓은 평가범위에 대하여 일부 항목에 의해 포괄적이고 단순한 기준으로 평가가 이루어지고 있다. 또한 인센티브 확보를 목적으로 일부 유리한 항목에서 집중적으로 평가점수를 획득하여 인증을 받는 사례도 발생하고 있다는 점에서 새로운 평가지표체계의 개발에 대한 연구가 시급한 시점이라 판단된다. 본 연구의 범위는 자연 환경과 거주민이 공존하는 공간으로서 공동주택의 외부공간을 평가의 대상으로 한정하였다. 연구의 방법으로는 우선 국내외 친환경인증제도(국내 친환경인증제도, 영국 BREEAM, 미국 LEED, 일본 CASBEE)에서 외부공간을 평가하는 항목들을 선별하여 분석하고, 국내 친환경인증제도의 경우 2006년까지 본 인증 및 예비인증을 받은 147개의 공동주택단지의 인증평가점수를 바탕으로 외부공간에 관련된 평가항목들의 달성도를 알아보았다. 다음으로 새로운 평가체계의 중심이 되는 생태계 4대원리의 개념을 정리하고, 생태계 4대원리에 대한 14대 주요이슈를 설정하였다. 또한 30개의 평가항목과 78개의 예비평가지표 개발을 통해 예비평가지표 풀을 도출하였다. 이를 위하여 국내외 친환경 인증제도와 친환경 공동주택 외부공간의 계획 및 평가와 관련된 연구문헌에 대한 분석을 바탕으로 전문가들의 의견을 종합하고 연구진의 심층적인 토론과정을 거쳤다. 다음으로 친환경 공동주택 계획 및 설계에 다수 참여한 경험이 있는 국내 건축설계 사무소와 조경설계 사무소의 실무자들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통해 예비평가지표 풀에 대한 중요도 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설문은 생태계 4대 원리와 평가항목, 예비평가지표의 중요도에 대하여 리커르트(Likert) 7점 척도를 통해 보통(1점)에서 매우 중요(7점)까지로 조사하였다. 조사결과 생태계 4대원리에 대한 중요도는 평균 5.02로 전반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주요이슈 별 평가항목에 대한 중요도에 있어서는 자립성에 해당하는 평가항목들에 대한 중요도가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특히, 자급적인 식량생산, 퇴비자립, 지열활용, 바이오매스 활용 등 진보적인 개념의 평가항목에 대한 중요도가 낮게 나타남으로서 이에 대한 이해와 인식의 변화가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생태적인 공동주택 외부공간에 대한 인식 변화와 계획수준, 요소기술의 발전에 따라 적용 범위를 단계적으로 확대해 나아가는 것이 새로운 지표체계의 현실성과 실용성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이라는 판단 하에 예비평가지표에 대한 중요도 분석을 바탕으로 3단계의 적용대상 예비지표를 도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거주자 삶의 질 중심의 환경 친화적 지표체계에서 더 나아가 생태중심학적 관점에서 생태계 4대원리를 적용한 새로운 평가체계를 도출하고 이에 대하여 설계 실무자들을 대상으로 중요도 조사를 실시하여 단계적 적용방안을 제시하였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본 연구에서 도출된 결과를 바탕으로 다양한 관점을 가진 전문가 및 거주자를 대상으로 의견을 수렴하는 과정을 거쳐 평가지표체계의 종합적인 개선방안을 도출하고 평가지표에 대한 평가기준을 개발하기 위한 추가적인 연구가 진행되어야 한다. 또한 외부공간에만 국한된 평가가 아닌 공동주택 단지의 건물 내부와 외부간의 유기적 연계, 주변 단지 및 지역에 대한 환경부하 및 연계성, 그리고 자연환경과의 공존 공생을 통한 주거자의 삶의 질까지 고려하는 평가체계로 연구의 범위를 확대해 나아가야 할 것이다.

more

초록/요약

On this point of time that the Green Building certification system have started 5 years ago, and it became settled and active,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stablish preliminary assessment indicators pool and phased application plan by importance level analysis through experts survey for developing assessment indicator system which is more specific and oriented in principles of eco system. In the present national and international assessment indicators, focus of assessments are treated in residents-based eco-friendly point of view, and assessment are proceeded by broad and simple standards in a few items for various assessment range such as land use, energy and resources, ecological environment, and indoor environment. Also, negative cases appeared that designers focused on assessment scoring on incentive beneficial items, so it is urgent point of time to develop a new assessment indicator system. The scope of this research is limited an assessment subject to outdoor spaces of residential complex which natural environment and residents coexists. For the research, firstly, items for assessing outdoor spaces were selected and analyzed in national and international green building certification systems(Korean Green Building Certification system, BREEAM, LEED, CASBEE), and especially in Korean Green Building Certification system, achievement rate of assessment items related to outdoor spaces were analyzed through 147 assessment scores of certified residential complexes from 2002 to 2006. Secondly, concept of 4 principles of eco system which are the core of new assessment system were arranged, and 14 issues about 4 principles of eco system were established. Also, 30 assessment items and 78 preliminary assessment indicators were developed, and preliminary assessment indicators pool were established. For this process, national and international green building certification systems and research papers on design and assessment for eco-friendly outdoor space of residential complexes were analyzed, experts opinions were surveyed and synthesized, and researchers discussed and analyzed it. Thirdly, importance level survey on preliminary assessment indicators pool were proceeded through experienced designers of architecture and landscape architecture design companies. The importance level of 4 principles of eco systems, assessment items, and preliminary assessment indicators were surveyed with Likert 7 point scale which is from normal(1 point) to very important(7 point). According to the survey results, importance level of 4 principles of eco system was average 5.02 which is generally high, and importance level of assessment items by issue were analyzed that importance level of assessment items on independence were comparably low. Especially, progressive concept assessment items such as 'Food production', 'Compost production', 'Use of geothermy', and 'Biomass use' were treated unimportant, so understanding and improvement of recognitions are needed on this field. Lastly, under the consideration that phased spread of application range by improvement of recognition, level of design, and development of technology on eco-friendly outdoor spaces of residential complexes is key method to elevate reality and practicality of new indicator system, 3 phased application preliminary indicators were established based on importance level analysis of preliminary assessment indicators. The meaning of this research is that new assessment system which based on 4 principles of eco system were established from former eco-friendly indicators system focused on residents' quality of life, and based on this, importance level survey were proceeded on experienced designers, and phased application plan was established. Based on the result of this research, synthetic improvement directions need to be established, and additional researches for developing assessment standards on each assessment indicators need to be proceeded through surveys on experts with various point of view and residents. Also, scope of research need to be spread which consider systematic connection of indoor and outdoor of buildings in residential complexes, environmental load and connections on neighbor residential complexes and areas, and residents' quality of life by coexistence with nature.

more

목차

제1장 서론 = 1
1.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 1
1.2 연구 범위 및 방법 = 4
제2장 국내외 친환경인증제도 분석 및 선행연구 고찰 = 6
2.1 해외 친환경 인증제도의 평가지표 분석 = 6
2.1.1 영국 BREEAM Ecohomes 2006 = 6
2.1.2 미국 LEED 2.2 (NC) = 9
2.1.3 일본 CASBEE New Construction = 13
2.2 국내 친환경 인증제도의 평가지표 분석 = 17
2.2.1 국내 친환경건축물인증제도 = 17
2.2.2 공동주택 외부공간과 관련된 평가지표에 대한 달성도 분석 = 19
2.3 연구동향 = 21
2.3.1 생태중심의 평가지표 및 계획 관련 연구 = 21
2.3.2 공동주택 외부공간 관련 연구 = 22
2.3.3 선행연구의 한계 = 23
제3장 생태적인 공동주택 외부공간의 예비평가지표 = 25
3.1 생태계 4대원리의 개념 = 25
3.1.1 생태학적 접근 = 25
3.1.2 생태계 4대원리 = 27
3.1.3 생태적인 공동주택에 대한 정의 = 28
3.2 예비평가지표 도출과정 = 30
3.2.1 생태계 4대원리에 대한 주요 이슈 설정 = 30
3.2.2 평가항목 및 예비평가지표의 설정 = 31
3.3 생태적인 공동주택 외부공간의 예비평가지표 = 34
3.3.1 생태적인 공동주택 외부공간의 예비평가지표 설정 = 34
3.3.2 국내외 평가인증제도 항목과의 비교 = 37
제4장 예비평가지표 체계에 관한 전문가 설문조사 = 40
4.1 설문조사의 대상 및 방법 = 40
4.2 설문조사 내용 및 분석 방법 = 40
4.3 조사 대상의 기초통계 분석 = 41
4.4 신뢰도 검증 = 42
4.5 중요도 조사결과 분석 = 43
4.5.1 생태계 4대원리에 대한 중요도 = 43
4.5.2 주요 이슈별 평가항목에 대한 중요도 = 44
4.5.3 순환성에 해당하는 예비평가지표의 중요도 = 46
4.5.4 안정성에 해당하는 예비평가지표의 중요도 = 48
4.5.5 자립성에 해당하는 예비평가지표의 중요도 = 50
4.5.6 다양성에 해당하는 예비평가지표의 중요도 = 52
4.6 건축과 조경분야 전문가간의 중요도 인식차이 = 54
제5장 단계적 적용방안 = 58
5.1 단계적 적용방안 = 58
5.2 단계별 적용대상 평가지표 = 59
5.2.1 1단계 적용대상 평가지표 = 59
5.2.2 2단계 적용대상 예비평가지표 = 60
5.2.3 3단계 적용대상 예비평가지표 = 61
제6장 결론 및 제언 = 62
참고문헌 = 65
ABSTRACT = 68
부록 = 71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