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상향식 하향식 독해 전략이 고등학생 영어 독해 능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bottom-up and top-down reading strategies on high school student's reading comprehension ability

초록/요약

본 연구에서는 고등학교 2 학년을 대상으로 수준별, 즉 초급 영어 능력을 가진 집단과 중·상위 영어 능력을 가진 집단으로 나누어 초급 영어 능력을 가진 집단에게는 상향식 읽기 모형을, 중·상위 영어 능력을 가진 집단에게는 하향식 읽기 모형을 적용하여 각 모형이 이들 학습자의 영어 읽기 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사전·사후 평가를 통해 알아보았다. 또한 초급 영어 능력을 가진 집단과 중·상위 영어 능력을 가진 집단 간에 영어 읽기 전략 사용 차이, 상·하향식 지각에 대한 메타인지의 차이 그리고 마지막으로 상·하향식 읽기 모형을 적용한 후 전략사용에 있어 각 집단에 어떠한 변화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사전·사후 설문 조사를 실시하여 분석해 보았다. 실험과 설문을 통해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상향식 읽기 모형과 하향식 읽기 모형을 두 실험 집단에 적용시킨 후 사후 평가 점수를 기준으로 공분산 분석을 실시한 결과, 두 집단의 학업 성취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상·하향식 읽기 학습이 학업 성취도에는 유의한 영향을 주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다. 둘째, 실험 처치 이전부터 두 실험 집단의 영어 능력이 서로 다른 이질 집단이었던 점을 고려하여 실험 집단 내 사전·사후 평가 성적 향상도를 비교해 본 결과 상향 집단과 하향 집단 모두 사전 평가 보다 사후 평가에서 유의미한 성적 향상이 있었다. 사후 평가 후 학생들과의 설문에서 상향 집단은 어휘 및 문법에 대한 집중 학습이 그들의 영어 읽기 능력에 도움이 되었다고 하였고, 하향 집단은 수업시간에 실시되었던 다양한 전략 훈련이 글의 전체적인 내용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었다고 하였다. 사전·사후 평가 문항을 상향식 문항과 하향식 문항으로 분류하여 각 집단의 문항 내 성적 향상도를 검증해 본 결과 상향 집단에서는 상향식 문항에서 사전·사후 간 유의미한 성적 향상이 있었던 반면 하향식 문항에서는 사전·사후 간 유의미한 성적 향상을 보이지 않았다. 하향 집단에서는 상향식 문항에서 사전·사후 간 유의미한 성적 향상을 보이지 않았으나, 하향식 문항에서는 사전·사후 간 유의미한 성적 향상을 보였다. 이는 학생들과의 사후 평가 후 설문의 결과와도 일치하는 결과이다. 셋째, 상향식 읽기 모형과 하향식 읽기 모형이 학습자의 읽기 능력에 따라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사전점수를 기준으로 두 실험 집단 내에서 상·하위 학습자를 구분하여 이들의 사전·사후 평가 점수를 비교 분석해 보았다. 그 결과, 상향식 읽기 모형을 적용했던 초급 영어 능력을 가진 상향 집단에서는 상·하위 학습자 모두 사전·사후 평가 간의 유의미한 성적 향상이 있었다. 반면, 하향식 읽기 모형을 적용했던 중·상위 영어 능력을 가진 하향 집단에서는 상위 학습자들에게는 사전·사후 평가 간의 유의미한 성적 향상이 있었으나, 하위 학습자들에게는 사전·사후 평가 간의 유의미한 성적 향상을 보이지 않았다. 이는 어휘·문법 및 문장 구조 중심의 상향식 읽기 모형이 초급 영어 능력을 가진 학습자들에게 기초적인 영어 이해 능력을 해결하는데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반면, 전반적인 내용 이해를 중심으로 다양한 전략을 사용하는 하향식 읽기 모형은 중·상위 학습자들에게는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으나, 하위 수준의 학습자들에게는 하향식 읽기 모형이 그들의 기초적인 영어 이해 능력을 해결하는데 큰 도움이 되지 않았음을 알 수 있다. 이는 학습자들에게 영어 지도 시 학생 수준을 고려한 읽기 지도가 필요하다는 박진석(2004)의 연구 결과와도 일치한다. 즉, 상위 수준의 학습자에게는 하향식 읽기 지도가 가능한 반면, 하위 수준의 학습자에게는 그들의 기초적인 영어 능력이 해결 될 때 까지는 상향식 읽기 지도가 이루어져 함을 시사한다고 볼 수 있다. 넷째, 영어로 된 글을 읽을 때 초급 영어 능력으로 분류되었던 상향 집단과 중·상위 영어 능력으로 분류되었던 하향 집단 간의 전반적인 영어 읽기 전략 사용의 차이를 알아보고자 사전·사후 평가 후 각각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사전 설문조사 분석 결과, 상향 집단은 하향 집단에 비해 영문을 읽을 때 보다 단어 중심적인 경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고, 하향 집단은 단어나 문법에 주의를 기울이기 보다는 전반적인 내용이해에 도움이 되는 사항(연결사를 단서로 글의 구성 및 흐름 파악, 앞·뒤 단어들의 지시 관계 고려, 글의 내용과 자신의 선험 지식과 연관, 앞으로 나올 내용에 대한 예측)에 주의를 기울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기초적인 영어 능력이 부족한 학습자에게 단어가 그들의 영문 이해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기초적인 영어 능력의 입문단계를 넘어선 중·상위 학습자들에게는 단어 나 문법과 같은 세부 사항보다는 글의 전반적인 흐름 파악에 주력한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초급 영어 능력을 가진 학습자에게는 우선적으로 그들의 기초적인 영어 이해 능력을 해결할 수 있는 단어 및 문법에 대한 지도가 우선적으로 필요하다고 본다. 또한 중·상위 학습자에게는 효율적으로 전반적인 글의 내용 파악 및 얻고자 하는 정보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얻을 수 있도록 도와주는 다양한 명시적인 전략 지도가 필요하다고 본다. 다섯째, 상향 집단과 하향 집단의 어휘 전략 사용에 관한 설문 조사 결과, 사전·사후 설문조사에서 모두 두 집단 간의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두 집단 모두 생소한 어휘나 표현을 접했을 때 배경 지식을 활용하여 그 뜻을 추측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는 빠른 시간 내에 요지를 파악해야 하는 수능 유형의 문제에 학습자들이 적응된 결과로 보인다. 수능 실시 후 전통적인 문법 번역식 교수방법에서 벗어나, 문맥과 배경 지식을 활용하여 의미를 유추하는 효과적인 읽기 방법으로의 변화라고 볼 수 있다. 여섯째, 상향 집단과 하향 집단의 상·하향식 전략의 중요성 및 유용성에 대한 메타인지에 대한 설문 분석 결과, 상향 집단은 완벽한 어휘이해 실력과 모르는 어휘에 대해 사전 찾기 등 상향식 전략의 유용성에 대해 하향 집단 보다 높게 지각하는 경향을 보였다. 반면, 문맥 사용 및 추측 등의 하향식 전략의 유용성에 대해서는 상향 집단과 하향 집단 모두 높은 메타인지를 가지고 있었다. 이는 송희심(1998)의 연구에서 밝힌 바와 같이 수능이후 고등학교에서 영어 읽기 교육이 종래의 문법 번역식에서 벗어나 문맥활용과 같은 70년대 이후 많은 학자들이 주장해 온 효과적 읽기 방법으로 바뀌고 있는 영향으로 볼 수 있다. 수업시간에 수능 유형의 문제에 접하게 되면서 자연스럽게 학습자의 영어 능력 수준에 관계없이 수능 유형의 문제를 풀 때 요구되는 읽기 기술이나 전략이 반복 학습된 결과라고 해석할 수 있다. 중·하위권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릴 수 있다. 상향식 읽기 학습 방법은 하위 수준의 학습자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판단되며, 하향식 읽기 학습 방법은 중·상위 수준의 학습자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영어 능력이 낮은 학습자들은 상향식 학습 전략에 많은 의존도를 보이는 경향이 있다. 반면, 영어 능력이 중·상위 수준의 학습자들은 상향식 전략에 대한 의존도는 낮고, 하향식 전략에 대한 의존도는 높은 경향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갖는다. 첫째, 외국어 읽기 교육 방법은 학생들의 수준에 따라 달라져야 한다는 것이다. 학습내용 뿐만 아니라 학습방법에서도 학생 수준을 고려하여 달리 적용해야 한다. 즉, 하위수준의 기초반 학생에게는 상향식 읽기 지도 방법을, 중·상위 수준의 학생들에게는 하향식 읽기 지도 방법을 적용하는 수준별 학습 모형 제시가 필요하다. 둘째, 읽기 능력 신장을 위하여 상향식 읽기 모형과 하향식 읽기 모형의 혼합형인 상호 작용 읽기 모형을 적용할 필요가 있다. 평가 문항에 따른 성적 향상도 분석 결과에서, 상향 집단은 하향식 문항에서는 사전·사후 간 유의미한 성적향상이 없었던 반면 상향식 문항에서는 유의미한 성적향상이 있었다. 또한 하향 집단에서도 상향식 문항에서는 사전·사후 간 유의미한 성적향상이 없었던 반면 하향식 문항에서는 유의미한 성적향상이 있었다. 따라서 학습자의 읽기 능력 신장을 위해서는 상향식 읽기 모형과 하향식 읽기 모형의 비율을 적절하게 혼합하여 상호 작용 읽기 모형을 학습자에게 적용할 필요가 있다고 본다. 이는 초급 영어 능력을 가진 학습자에게는 초급 영어 능력의 단계를 넘어서 전반적인 글의 흐름 파악 및 원하는 정보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얻는 상위 수준의 영어 능력의 단계로 가는데 용이하게 해줄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중·상위 학습자들에게 소홀하게 여겨 질 수 있는 어휘 및 문법 구조에 대해 강조를 줌으로써 그들의 언어적 능력의 폭을 넓혀줄 수 있을 것이라 판단된다.

more

목차

I. 서론 =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Ⅱ. 이론적 배경 = 5
2.1 읽기정의 = 5
2.2 읽기 능력 = 7
2.3 읽기과정 모형 = 10
2.3.1 상향식 읽기 모형 = 11
2.3.2 하향식 읽기 모형 = 12
2.3.3 상호 작용 읽기 모형 = 13
2.4 읽기 구성요소 = 15
2.5 읽기 단계별 지도 = 16
2.5.1 읽기 선행 단계 활동 = 17
2.5.2 읽기 중 단계 활동 = 20
2.5.3 읽기 후행 단계 활동 = 23
2.6 선행연구 = 27
Ⅲ. 연구방법 및 절차 = 32
3.1 연구질문 = 32
3.2 연구대상 = 33
3.3 연구도구 = 34
3.4 연구절차 = 36
3.5 연구의 제한점 = 38
Ⅳ. 연구결과 및 해석 = 39
4.1 읽기학습 모형이 학업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 39
4.2 읽기학습 모형이 학습자의 읽기능력에 따라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 42
4.3 읽기 전략 사용에 대한 설문지 분석 = 44
Ⅴ. 결론 및 시사점 = 51
참고문헌 = 56
부록 = 60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