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모바일 광고에 있어서 광고 가치와 수용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terminant for Advertising Value and Intention for Mobile Advertising

초록/요약

최근 유비쿼터스 시대를 맞이하면서 모바일을 통한 서비스 및 광고에 대한 관심이 날로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유비쿼터스 시대의 핵심이라 할 수 있는 상황인식과 모바일 광고 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알아보기 위해 설문조사를 통해 실증분석을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 Entertainment와 Informativeness 요인은 Advertising Value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Activity, Identity 요인은 Intention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Advertising Value 요인은 선행 연구들에서의 결과와 마찬가지로 Intention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Entertainment와 Informativeness 요인은 Advertising Value라는 매개요인을 통해 Intention에 영향을 미치며, Activity와 Identity 요인은 Intention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침을 알아내었다.

more

초록/요약

In this ubiquitous age, the interest on services and advertisements through mobile is increasing day by day. Using the questionnaire, this research analyses many facts that affect context awareness and mobile advertisements which are the core of the ubiquitous age. As a result, this research found: (1) that the factor of Entertainment and Informativeness affects Advertising Values; (2) that the factor of Advertising Values affects customer's Intention significantly. Namely, the factors of Entertainment and Informativeness affects customer's Intention through Advertising Values which functions as the mediator. The factors of Activity and Identity affects customer's Intention directly.

more

목차

1 서 론..........................................................................................................1
2 배경 연구
2.1 모바일 광고.......................................................................................4
2.2 모바일 광고 선행연구....................................................................7
2.3 상황과 상황인식컴퓨팅................................................................14
2.5 기술수용모델...................................................................................18
3 연구 모형 및 가설
3.1 연구 모형.........................................................................................21
3.2 가설 설정.........................................................................................22
3.3 변수의 조작적 정의......................................................................27
4 실증 분석 및 결과
4.1 표본의 선정, 자료 수집 및 분석 방법....................................30
4.2 표본의 특성.....................................................................................30
4.3 조사의 신뢰성과 타당성 검토....................................................31
4.4 연구가설 검증.................................................................................34
5 결 론
5.1 연구의 시사점.................................................................................41
5.2 연구의 한계 및 향후 연구 과제................................................42
6 참고문헌..................................................................................................44
7 부 록........................................................................................................51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