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중학교 부장교사 지도성 인식 조사 연구

초록/요약

본 연구는 부장교사의 역량과 지도성이 학교교육 목표 달성에 큰 영향을 줌에도 불구하고, 부장교사 지도성 개발에 대한 특별한 지원이 없다는 문제 인식에서 비롯 한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경기도 수원시지역의 보직교사 임용 규 정에 의거하여 부장교사로 임용되어 있는 중학교(12개교) 부장교사와 일반교사를 성별, 경력별, 학교 규모별로 단순 무선 표집하여 설문지 조사를 실시하였고 총 320 부를 배부하여 그 중 297부를 회수하였다. (회수율 93%) 본 연구를 위한 설문지는 행동이론에 기초를 둔 오하이오 주립대학에서 개발한 LBDQ(Leader Behavior Description Questionnaire)와 Thomas L. McGreal 이 개발 한 부장교사 평가질문지(Chair-person Evaluation Sheet : CES)등을 참고하여 부장 교사의 지도성을 측정하기에 적합하도록 설문지 문항을 재구성하였다. 설문지는 부 장교사 지도성에 관한 6개 영역 26문항으로 구성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프로그램에 의해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를 요약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부장교사의 지도성 수행에 관하여 조사한 결과, 부장교사들은 대체로 지도 성을 잘 수행하고 있다(5점 만점에 3.80점 수준)고 인식하고 있었다. 지도성에 관한 기대 수준도 비교적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일반교사 역시 부장교사들이 지도성 을 비교적 잘 발휘하고 있다(5점 만점에 3.96점 수준)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 영역에 걸쳐 일반교사의 자각 수준이 부장교사 보다 높았다. 반면에 부장교사 는 인화지도성을 제외한 전 영역에 대해서는 부장교사의 기대수준이 일반교사보다 높게 나타났다. 둘째, 집단 간의 지도성 유형에 대한 인식 조사 결과, 부장교사 집단은 과업중심 의 지도성을 더 많이 수행한다고 인식하고 있으나, 반면에 인화중심 지도성의 기대 수준이 더 높았다. 지도성 영역에 있어서도 인화 지도성이 자각과 기대 수준 차이 가 가장 컸고, 대외관계 지도성과 학교경영 지도성에 관한 수행 인식 정도가 높았 다. 일반교사집단은 과업중심의 지도성을 더 많이 인식하고 있었고, 인화지도성에 대한 기대수준이 가장 높았다. 인화 지도성의 기대 수준이 높은 결과는 부서원들과 원만한 인간관계를 형성하고 화합의 분위기를 조성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인식과 부장교사 직위에 따르는 권한이 부여되지 못한 상황에서 계선적 중간관리자의 역할을 수행해야 하는 부장교사로서 는 특히 업무적인 면에서 인간관계에 중점을 두기 때문으로 생각되어진다. 대외관계 지도성에 대해서는 부장교사가 실무적 책임자로서 학부모 및 지역사회 와 관계한 실질적인 교섭의 당사자로 의사소통, 인간관계, 갈등관리 차원의 지도성 발휘를 요구받기 때문으로 생각되어 진다. 학교경영지도성에 대해서는 부장교사가 중간관리자로서 조정과 관리, 교직원 간 의 의사소통, 갈등관리, 문제해결 등의 지도성 요구가 크다고 볼 수 있다. 셋째, 부장교사 지도성 개발 요구에 맞춰 제도적 지원이 요구되어 진다. 부장교사 가 각 집단에서 적합한 지도성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적정 수준의 학 급 규모와 정원수에 제도적 지원이 이루어져야겠다. 현행 2급 정교사-1급 정교사(부장교사)-교감-교장의 단계를 다양하게 늘려 부장 교사가 단지 중간관리자로의 역할 수행에 국한한 직무가 아니라, 직무의 차별화가 요구되어 진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토대로 부장교사 지도성에 관한 부장교사와 일반교사의 인식 정도를 살펴보았다. 지도성이 있는 부장교사가 의욕을 가지고 역할을 수행할 때 학 교행정체계 및 학교조직의 변화가 있을 것이다. 자율적인 단위학교 행정체계가 강 조되는 시점에서 향후 기대하는 부장교사 지도성 유형으로 인화지도성과 대외관계 지도성 및 학교경영 지도성 개발 등에 관한 정책적 지원에 대해 제언하였다.

more

목차

I. 서론 = 1
1.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2. 연구의 문제 및 내용 = 4
3. 연구의 범위 및 한계 = 4
II. 이론적 배경 = 6
1. 부장교사의 직무와 역할 = 6
2. 지도성 이론 고찰 = 25
3. 외국의 부장교사 지도성 운영 개발 사례 = 39
4. 국내 선행 연구 고찰 = 47
III. 연구방법 = 50
1. 연구 대상 = 50
2. 조사 영역 및 내용 = 51
3. 조사 결과 처리 = 55
IV. 연구결과 및 해석 = 56
1. 부장교사 지도성 수행에 관한 인식 차이 결과 = 56
2. 부장교사 지도성 영역별 인식 차이 분석 = 61
3. 집단 간 부장교사 지도성 유형에 관한 인식 조사 결과 = 64
4. 부장교사 지도성 변인별 인식 조사 = 67
V. 요약 및 결과 = 73
1. 요약 = 73
2. 결론 및 제언 = 76
참고문헌 = 79
부록 = 82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