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성역할정체감과 직업포부와의 관계

초록/요약

본 연구의 목적은 초, 중, 고등학교 학생들의 성역할정체성 유형과 직업포부 수준의 추이 변화를 알아보고, 성역할정체감 유형과 직업포부 수준은 어떤 관계가 있는지를 밝히는데 있다. 이를 위해 성역할정체감 유형은 정진경(1990)의 한국형성역할검사(KSRI: Koeran Sex Role Inventory)를 사용하였고, 직업포부 측정도구는 이아라(2006)와 박은혜(2006)의 연구에서 사용했던 직업포부 질문지를 이용하였다. 이 직업포부 질문지는 노동부의 직업심리 검사 중에서 직업에 대한 흥미를 측정하기 위해 제시된 직업 목록의 71문항을 기초로 하여 일반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예비 연구를 통해 71문항 외의 직업들을 첨가하여 79개의 직업 목록을 제시한 것이다. 연구대상은 경기도 ○○시와 ○○시 근교의 초, 중, 고등학생의 859명의 자료가 통계 처리에 이용되었으며, 수집된 자료 분석은 SPSS 15.0을 사용하였고, χ2검증과 독립표본 t검증, 일원변량분석과 이원변량분석 그리고 사후검증(Scheffe')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모든 학교 단계에서 성별에 따른 성역할정체감 유형의 비율은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성별과 학교단계에 따른 직업포부 수준의 차이 검증을 위해 이원변량분석을 실시한 결과 성별과 학교단계의 주 효과는 모두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학교단계의 차이 패턴을 알아보기 위해 Scheffe 사후검증을 실시한 결과, 초등학교와 중학교에서는 직업포부 수준 차이가 없었지만 고등학교는 초등학교, 중학교와 차이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를 통해 볼 때 진로포부 수준은 고등학교 때 가장 크게 발달하며, 초등학교와 중학교까지는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진로포부 수준이 높지만 고등학교에서는 성별에 따른 진로포부 수준의 차이는 없어지면서 비슷한 수준으로 발달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성역할정체감 유형에 따른 직업포부 수준의 차이는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양성성 유형의 집단이 미분화 유형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남성성과 여성성 유형의 직업포부 수준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발견할 수 없었다. 학교단계와 성역할정체감 유형에 따른 직업포부 수준의 차이를 이원변량 분석으로 검증한 결과 학교단계의 주 효과는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사후검증 결과 고등학교는 초등학교, 중학교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별과 성역할정체감 유형에 따른 직업포부 수준의 이원변량 분석에서는 성역할정체감의 주 효과는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사후검증 결과 양성성과 미분화 유형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나, 나머지 집단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또한 성별의 주 효과 및 성역할정체감 유형과 성별의 상호작용은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볼때 진로포부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성별보다는 성역할정체감 유형임을 알 수 있었다. 논의를 통해 학교단계가 올라갈수록 여성성 유형이 남성성 유형에 비해 더 많이 증가한다는 점, 남학생은 여학생에 비해 미분화, 양성성 그리고 생물학적인 성과 반대성인 여성성 유형의 비율이 높고, 생물학적인 성과 동일한 남성성은 여학생의 여성성보다 낮은 점, 성별에 따라 본인의 생물학적인 성과 동일한 성역할정체감을 형성하는 시기가 남자는 고등학교, 여자는 중학교로 빠르게 변화된 점, 남학생의 여성화 추세와 여학생의 여성성 유형에 대한 편중현상, 학교단계가 올라갈수록 양성성 유형의 비율이 성별에 따라 차이가 확연해지는 점, 직업포부 수준에 대한 성역할정체감 유형의 주효과가 유의미한 점 등에 대해 설명하는 것으로 본 연구의 의의를 제안함으로써 학교 양성평등 교육과 진로교육, 진로 상담 프로그램의 연구 및 개발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more

목차

Ⅰ. 서론 =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2. 연구 문제 = 3
Ⅱ. 이론적 배경 = 4
1. 성역할정체감 = 4
2. 아동과 청소년의 직업포부 발달 = 11
Ⅲ. 연구 방법 = 17
1. 연구 대상 = 17
2. 연구 도구 = 17
3. 자료 수집 = 22
4. 자료 분석 = 22
Ⅳ. 연구 결과 = 24
1. 초등, 중등, 고등학교 학생의 성역할정체감 유형의 차이 검증 = 24
2. 초등, 중등, 고등학교 학생의 직업포부 수준의 차이 검증 = 28
3. 성역할정체감 유형에 따른 직업포부 수준의 차이 검증 = 31
Ⅴ. 요약 및 논의 = 38
1. 요약 및 결론 = 38
2. 논의 및 제언 = 40
참고문헌 = 51
부록 = 56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