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영어 몰입 학습(Immersion Program)의 요구 분석을 통한 초등 영어 교육 방안 탐색

초록/요약

본 연구의 결과로 다음과 같이 제언한다. 첫째,초등 영어 교육의 가장 시급한 과제인 수준별 수업을 위하여 영어 수 업을 위한 학급 인원을 최소 30명 이내로 감축하여 학급 내에서 수준별 수업 이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해야 한다.많은 학부모들과 학생들이 영어 수준별 수업을 원하고 있고 영어 사교육과 어학연수 등의 열풍으로 학생들의 영어 수 준이 각각 다른 만큼 이를 위한 수준별 수업이 시급하며 영어 몰입 학습은 수 준별 수업을 위한 대안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둘째,한국적 상황에 맞는 몰입 프로그램을 개발해야 한다.몰입 학습의 적 용을 위해 몰입 학습을 적용하기 전 몰입 학습이 사회에 끼치는 부정적,긍정 적 영향을 고려함과 동시에 어떤 수준의 어떤 방식의 몰입 학습이 한국적 상 황에 적용 가능한지를 생각해 보아야 할 것이다.몰입 학습의 목표인 의사소 통 향상의 관점에서 몰입 학습이 전개되어야 하지만 의사소통 능력을 언어의 수용적인 측면 뿐 아닌 생산적 측면에까지 원어민 수준으로 발달시킬 수 있는 가를 고려하여 그 효율성을 생각한 한국적 프로그램의 형태를 설정해야 할 것 이다. 셋째,자질 있는 내국인 영어 교사의 양성이 시급하다.본 연구의 요구 분석 에서 밝혀진 바와 같이 학부모들은 원어민 보다는 영어 구사력이 뛰어난 내국 인 교사를 선호하고 있고 학생들은 저학년은 내국인 교사를 고학년은 원어민 교사를 선호하고 있다.또한 학부모들은 해외 조기 유학이나 국외 어학 연수 보다는 국내에서 영어 교육을 충분히 시킬 수 있기를 희망하고 있다.외국어 수업에서 교사는 학급의 유일한 언어 모델이다.몰입 학습의 성공적 수업을 위해 뛰어난 영어 구사력 뿐만 아니라 수학,과학 등의 교과 지식까지 갖추고 학습자의 심리적,인지적 측면도 잘 이해하여 학습자에게 알맞은 최적의 언어 를 제공해 줄 수 있는,한국의 문화와 외국의 문화를 모두 수용할 수 있는 내 국인 영어 교사를 많이 양성하는 것이 영어 교육의 발전 방안중의 하나이며 이러한 교사의 자질을 분명히 규정하고 채용해야 한다.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앞으로의 초등 영어 교육이 나아가야 할 방향 은 초등영어 교육에 대한 학부모 학생들의 요구를 반영하여 학급 인원 감축을 통한 수준별 수업을 실시하고 의사소통 능력의 향상을 위한 영어 몰입 학습을 적용하며 성공적인 몰입 학습을 위한 자질 있는 교사의 양성으로 보다 실효성 있는 효과적인 초등 영어 교육이 정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라고 생각된다. 본 연구는 현행 초등학교의 영어 교육과 영어 몰입 학습에 대한 학부모와 학생들의 태도와 인식을 알아보고 그 요구를 분석하고자 하였지만 연구의 대 상이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일부 지역의 초등학교 학부모와 학생들을 대상으 로 하였기에 일반화 하는 데는 한계가 있으며 학부모 및 학생 변인을 전국적 으로 해석하기에는 무리가 있다.또한 본 연구에 사용된 설문지는 선행 연구 및 사전 조사를 통해 연구자가 자체 제작하였기에 그 객관성이 떨어질 수 있 다.마지막으로 본 연구에서 다루어지지 않은 학부모와 학생들의 영어 교육과 영어 몰입 학습에 대한 태도의 상관관계 분석과 학생들의 영어 성취도에 따른 영어 교육과 영어 몰입 학습에 대한 태도의 상관관계 분석을 다음 연구를 위 한 과제로 제시해 보고자 한다.

more

목차

Ⅰ. 서론 = 1
1. 연구의 필요성 = 1
2. 연구의 목적 = 3
Ⅱ. 이론적 배경 = 5
1. 문헌연구 = 5
가. 몰입 학습 = 5
1) 몰입 학습의 역사적 배경 = 5
2) 몰입 학습의 종류 = 7
3) 몰입 학습의 구성 및 운영 = 8
4) 몰입 학습의 효과 = 9
나. 초등 영어 교육 = 10
1) 우리나라 초등 영어 교육의 기본 방향 = 10
2) 초등학생의 언어 학습에 영향을 끼치는 요인 = 12
다. 몰입 학습과 초등 영어 교수법 = 17
1) 의사소통 접근법 = 17
2) 내용 중심 교수법 = 20
2. 선행연구 = 23
Ⅲ. 연구의 방법 = 26
1. 연구 대상 = 26
2. 연구의 도구 = 28
3. 연구의 방법 및 절차 = 30
Ⅳ. 연구의 결과 및 논의 = 35
1. 조사 결과의 분석 = 35
가. 학부모의 영어 교육에 대한 관심 및 태도 = 35
1) 학부모 설문 결과 빈도 분석 = 35
2) 영어와 영어 교육에 대한 관심 및 태도 분석 = 41
나. 학부모의 영어 몰입 학습에 대한 관심 및 태도 = 48
1) 학부모 설문 결과 빈도 분석 = 48
2) 영어 몰입 학습에 대한 관심 및 태도 분석 = 51
다. 학생들의 영어 교육에 대한 관심 및 태도 = 60
1) 학생 설문 결과 빈도 분석 = 60
2) 영어와 영어 교육에 대한 관심 및 태도 분석 = 64
라. 학생들의 영어 몰입 학습에 대한 관심 및 태도 = 69
1) 학생 설문 결과 빈도 분석 = 69
2). 영어 몰입 교육에 대한 관심 및 태도 분석 = 73
2. 논의 = 78
Ⅴ. 요약 및 결론 = 82
1. 결론 = 82
2. 제언 = 84
참고문헌 = 87
부록 = 93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