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유아 생태교육에 대한 학부모의 인식 및 실천정도

초록/요약

본 연구는 학부모의 생태교육의 실천정도와 생태유아교육에 관한 학부모의 인식을 파악하고, 생태유아교육에 관한 학부모의 인식이 배경 변인에 따라 어 떻게 다른가에 대해 조사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 설정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생태교육에 대한 부모의 인식은 어떠한가? 둘째, 생태교육에 대한 부모의 실제 실천 정도는 어떠한가? 셋째, 생태교육에 대한 적용정도가 유아의 배경 변인에 따라 어떻게 다른가? 넷째, 생태교육에 대한 적용정도가 부모의 배경 변인에 따라 어떻게 다른가? 연구에 사용된 설문지는 생태 유아교육 과정을 실시하는 유치원에 자녀를 보 내는 부모를 대상으로 회수한 설문지 228부중 부적당한 설문지 6부를 제외하 고 총 222부가 최종 선정되었다. 생태유아교육에 기초한 학부모의 인식을 조사하기 위해 사용된 설문지는 마 경희(1999), 김성옥(2000), 장하나(2004)의 질문지를 수정.보완하여 총 25문항 으로 구성하였다. 자료는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수집된 자료를 SPSS 12.0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생태유아교육에 대한 학부모의 인식을 살펴보기 위해 빈 도분석, 표준편차, 기술통계, 상관관계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대부분의 학부모들은 생태교육이 필요하고 유아기부터 생태교육으로 방향이 전환되어야 한다고 인식하였다. 생태교육의 문제점으로는 생태교육의 정보부족과 주변 환경의 여건 부족, 관심 부족으로 인한 문제를 지적하였다. 둘째, 생태유아교육의 실제적용 정도는 절반 이상이 한달에 한번정도는 실시 하고 있지만, 실시하지 않는 부모를 위해 유치원과 지역사회에서의 생태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통해 많이 보급하여야 할 것이다. 셋째, 학원보다는 학습지를 이용하는 경우가 생태교육을 더 많이 접한다는 결과는 학원보다는 학습지를 하는 유아가 시간을 더 많이 활용할 수 있기 때문 으로 보여진다. 유아들에게 지적인 교육보다 자연과 접할 수 있는 교육을 위해 서 많은 시간을 만드는 것은 부모의 몫이다. 부모들은 두가지를 잘 조화하여 교육을 시킬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는 것이 중요할 것이다. 넷째. 부모의 학력과 성장지역에 따른 생태교육 적용은 관계없었고 부모의 어릴 적 생태 교육을 접했는가와 소득과는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모 의 경험과 관심도에 따라 유아에게 다른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부모가 어릴 적 생태교육을 많이 접한 부모일수록 유아에게 생태교육을 많이 적용할 수 있 는 경험을 가지고 있었다. 생태유아교육 정착을 위해 다양한 프로그램의 개발과 보급, 정보 제공을 위 한 유아교육기관 개방 및 부모교육이 필요하다. 또한 지역사회와의 연계 및 유 아교육과정 개편, 이후 학교와 사회생활과의 연계된 교육과정이 될 수 있도록 행정기관의 적극적 제도 개선 노력이 요구된다.

more

목차

Ⅰ. 서론 =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2. 연구 문제 = 4
3. 용어정의 = 4
Ⅱ. 이론적 배경 = 5
1. 생태유아교육의 정의 및 개념 = 5
2. 생태유아교육 과정 = 7
가. 생태유아교육 과정의 성격 = 7
나. 생태 유아교육의 목적 = 8
다. 생태 유아교육의 운영 = 10
라. 생태 유아교육을 위한 환경구성 = 12
3. 생태유아교육 프로그램 = 14
4. 선행연구 고찰 = 22
Ⅲ. 연구방법 및 절 차 = 26
1. 연구 대상 = 26
2. 연구 도구 = 27
3. 연구 절차 및 자료 분석 = 28
Ⅳ. 연구 결과 및 해석 = 29
1. 생태유아교육에 대한 부모의 인식 = 29
2. 생태유아교육에 대한 부모의 실천 정도 = 33
3. 생태교육 실천정도는 유아의 배경 변인에 따라 다른가? = 36
4. 생태교육 실천정도는 부모의 배경 변인에 따라 다른가? = 37
Ⅴ. 논의 및 결론 = 41
1. 논의 = 41
2. 결론 및 제언 = 44
참고문헌 = 47
부록 = 50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