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경기도 인문계 고등학교 공교육 현장에서의 원어민 교사의 효과성

The Effectiveness of Native Teachers in Gyenggy public high schools

초록/요약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iveness of native teachers at public high schools in Gyeonggy province in terms of qualifications, teaching skills, enthusiasm and commitment. For the research design, both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methods were used. Specifically, the study employed a survey questionnaire with 51 native teachers, 30 Korean English teachers and 396 high school students, and interviews with 5 native teachers and 4 high school students. The first step was an in-depth interview with 5 native teachers working in different schools and cities. Secondly, another interviews were undertaken with 4 high school students learning from the very native teachers on the interview task. Based on the analysis of these interview results, three high schools were solicited to conduct surveys to compare perspectives of both teachers and students and therefore the effectiveness of the native teachers. Next, survey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from native teachers at public high schools who were registered at the office of education in Gyeonggy province to investigate background information, including qualifications, teaching skills and attitudes towards teaching English in Korean high schools. Finally, supplementary surveys were distributed to Korean team-teaching English teachers to gather their opinion and evaluation about the native teachers in Gyeonggy province. The survey questionnaires revealed that there were meaningful differences across the students of the three high schools. The students taught by a more positive, passionate, qualified, experienced native teacher were more likely satisfied than those in the other schools. They expressed affection and gratitude for their native teacher. All the survey results meaningfully presented these students' classes as being taught very effectively. On the other hand, the students studying with a native teacher with a negative attitude expressed lots of complaints and dissatisfaction with the lesson. Students said ' Classes by native teacher are useless. I didn't learn anything but just sleeping. 50% students are not caring about this class.' The results of supplementary surveys suggested that the office of education in Gyeyonggy province should develop appropriate policies to support effective team-teaching. First, It is very important to develop a system to hire qualified, good native teachers. Second, both native teachers and Korean English teachers should be given the opportunity for team-teaching training. Third, native teachers should be more actively involved in testing and grading procedures. Finally, the development of appropriate teaching materials for team-teaching and separated classes by English proficiency level are necessary for effective team-teaching. In conclusion, this study presented how much the role of native teachers with good qualifications, enthusiasm and the function of support and supervision from the administrative level are important for effective English education in high school. Just to employ as many native speakers as possible doesn't guarantee better English education. The most essential thing is how best to utilize them in a class.

more

초록/요약

이 연구의 목적은 경기도 공립 고등학교에 근무하는 원어민 보조교사들의 자질, 수업기술, 열의와 헌신에 따른 수업의 효과성에 대하여 고찰해보고자 하는 것이다. 연구 설계를 위해서, 질적 연구와 양적 연구의 두 가지 방법이 모두 사용되었고, 연구 대상 및 방법으로는 51명의 원어민 교사와 30명의 한국인 영어교사, 396명의 세 학교의 원어민 수업을 받는 고등학생들에 대한 설문조사와 5명의 원어민 및 이 원어민들에게서 수업을 받는 4명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행한 심층 인터뷰를 택했다. 첫째로, 다른 학교와 도시에서 일하는 5면의 원어민 보조교사들과 심층 인터뷰를 실시하였고, 이 원어민 교사들에게서 배우는 학생들 중 학교당 1명씩을 무작위로 선택하여 한 학교를 제외한 4명의 학생들에게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이러한 인터뷰 결과의 분석을 바탕으로, 원어민 교사의 자질, 수업기술, 열의와 헌신과 학생들의 만족도에 따라서 수준 차이를 보이는 3학교를 선택하여 원어민 교사 수업의 효과성에 대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다음으로, 경기도 교육청에 속한 원어민 교사들에게 그들의 배경, 교육적 자질, 수업기술과 직무태도 등을 알아보는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마지막므로, 한국인 협결 영어교사에게 함께 일하는 원어민 교사에 대한 의견과 평가를 묻는 보충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이 설문 결과들은 세 고등학교 학생들 간에 원어민 교사의 효과성에 대한 분명한 유의미적 차이가 있음을 보여 주었다. 더 긍정적인 태도와 열의, 자질과 경력을 갖춘 원어민 교사에게서 배우는 학생들은 다른 두 학교보다 훨씬 더 높은 만족도를 보여 주었으며, 교사에 대한 감사와 애정으로 가득 차 있었다. 모든 연관된 설문 결과들도 이 학생들이 매우 효과적으로 가르쳐지고 있음을 제시해주었다. 반면에, 부정적인 원어민 교사에게서 배우는 학생들은 많은 불평과 수업에 대한 불만족을 표시했다. 학생들은 원어민 수업은 할 필요도 없고, 아무것도 배우지 않고 잠만 자며, 50%이상의 학생들이 수업에 상관을 하지 않는다고 답하는 등 심각한 문제점을 드러냈다. 보충 설문 조사의 결과들은 경기도 교육청이 효과적이 협력 수업을 위해 적절한 정책을 개발해야 한다는 것을 보여 주었다. 첫째로, 자질을 갖춘, 좋은 원어민 교사를 고용할 수 있는 시스템 개발이 중요하다. 둘째로, 원어민 교사와 한국인 영어교사가 함께 협력 수업을 위한 연수에 참여할 기회가 많이 제공되어야 한다. 셋째로, 원어민 고사가 시험과 성적을 내는 과정에 더 활발히 참여가 이루어져야 학생들이 성적을 위해서라도 공부를 열심히 하고, 수업이 효과적이 된다. 마지막으로, 협력 수업을 위한 적절한 교재 등 교수 자료의 개발과 수준별로 분리된 적절한 수의 학생들로 분반이 되어야 효과적인 협력 수업이 된다. 결론적으로, 이 연구는 좋은 자질과 열의를 가진 원어민 교사의 역할과 교육청 및 단위 학교의 행정적인 수준에서의 지원과 장학의 역할이 효과적인 고등학교 영어 교육에 얼마나 중요한지를 보여준다. 가능한 한 많은 수의 원어민을 채용만 한다고 하여 더 나은 영어교육이 보장되는 것이 아니라 가장 핵심적인것은 그들을 교실에서 최대한 잘 활용하는 것이다.

more

목차

Ⅰ. 서론 = 1
1.1.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 1
1.2. 연구가설 및 연구문제 = 4
1.3. 연구의 제한점 = 4
Ⅱ. 이론적 배경 = 6
2.1. 의사소통능력 향상과 원어민 교사의 필요성 = 6
2.2. 내용중심 교수법 도입과 원어민 수업 확대 = 7
2.3. 원어민 보조교사를 활용한 수업유형과 역할 = 8
2.4. 원어민 보조교사 관련 제도와 현황 = 11
2.5. 선행연구 분석 = 15
Ⅲ. 연구방법 = 18
3.1. 연구 대상 = 18
3.2. 조사 도구 = 19
3.3. 연구 절차 = 19
3.4. 분석 방법 = 20
Ⅳ. 연구결과 및 논의 = 21
4.1. 원어민의 효과성에 관한 학생들 설문지 분석 = 21
4.2. 원어민 교사 대상 설문지 분석 = 32
4.3. 원어민 협력 수업 한국인 교사 대상 설문지 분석 = 40
4.4. 원어민 수업에 관한 학생들 인터뷰 분석 = 44
4.5. 원어민 인터뷰 분석 = 53
Ⅴ. 결론 및 제언 = 76
참고문헌 = 80
Abstract = 84
부록 (Appendix) = 87
1. 원어민 설문지 = 87
2. 원어민의 효과를 묻는 학생들 설문지 = 91
3. 원어민 효과를 묻는 교사들 설문지 = 97
4. 원어민 interview 질문 guide = 100
5. 학생 interview 질문 guide = 102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