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건설기능인력의 수급구조 모델

An Analytical Model for Labor Supply and Demand in Construction

초록/요약

점차 많은 조직에서 인력을 시장요구와 기술변화를 만족시키기 위한 가치자산(valued assets)으로 공언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조직의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 인력에 대한 계획 및 투자를 전략적인 필수요소로 인식하고 있다. 그러나 국내 건설기능인력과 같이 기업이 인력계획을 제공하지 않는 분야는 숙련인력을 외부 인력시장에 의존해야하므로 수급불균형 문제가 심각하게 발생할 가능성이 높고, 이로 인해 기업 및 건설산업 전체의 경쟁력이 약화될 위험이 크다. 건설기능인력의 수요측면에서 실제 건설현장에서 가장 필요로 하고 부족을 겪고 있는 인력은 숙련수준이 높은 기능공이다. 그러나 인력공급 측면에서 보면 숙련수준이 낮은 일반공은 공급이 원활한 반면 숙련수준이 높은 기능공은 공급규모가 점차 감소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로 인해 총량적인 인력수급 불균형 양상은 심각하게 드러나지 않을 수 있지만 인력공급을 구성하는 내부 숙련수준별로 특히, 숙련수준이 높은 기능공의 경우 심각한 공급부족 문제를 내포하고 있다. 그 원인은 일반공의 경우 진입과 이직이 용이하여 건설수요 증감에 따라 수급조절이 원활하지만, 기능공의 경우 기존인력의 고령화, 열악한 직업조건으로 인한 이직 및 신규인력 진입 기피, 장기간의 육성기간과 같은 요인의 영향으로 점차 감소하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건설기능인력의 수급불균형 문제는 인력수급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요인들이 상호 복합적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발생한다. 그러므로 수급불균형 문제에 효율적으로 대응하기 위해서는 수급구조를 구성하는 영향요인들 상호간의 복합적 관계가 정의되고, 이를 이용해 정부가 영향요인을 효율적으로 통제할 수 있는 시스템의 필요성이 제기된다. 그러나 기존 건설기능인력 수급 실무는 통계적인 회귀분석 모델을 이용한 소요인력의 총 규모만을 예측하고 있는 실정으로, 그 정확도가 떨어질 뿐만 아니라 숙련공과 비숙련공을 구분하여 관리하지 못한다는 한계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연구는 건설기능인력의 실제 수급구조를 구성하는 변수 및 변수간의 영향관계를 파악하고, 이를 기반으로 국내 건설기능인력의 수급구조 모델을 개발하여 그 유효성과 활용성을 평가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건설기능인력의 수요 및 공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 요인간의 영향관계를 구체적으로 파악한 후, 시스템 다이내믹스 모델을 이용하여 건설기능인력의 수급구조를 모델화하였다. 구체적으로, ㆍ수요측면에서는 실제 수요구조로서 건설수요에 대한 인력의 파생수요구조를 파악하고, 이를 기반으로 건설계약액, 노무비율, 일당, 근로일수 등 총 11개 요인을 반영하여 수요모델을 구축하였다. ㆍ공급측면에서는 실제 공급구조로서 인력구성원 구조, 숙련형성 구조, 진입 및 이직 구조를 파악하고, 이를 기반으로 훈련생, 일반공, 준기공, 기능공, 숙련기간, 상위기능수준으로의 전이, 진입률, 이직률, 퇴직률, 직업조건(임금수준, 고용수준, 직업전망, 사회복지, 현장근로여건) 등 총 44개 요인을 반영하여 공급모델을 구축하였다. ㆍ수급차이 측면에서는 수요와 공급의 차이 구조를 기반으로 인력수요, 국내인력공급, 외국인력공급, 국내인력수급차 등 총 6개 요인을 반영하여 수급차이모델을 구축하였다. 위와 같이 구축된 모델의 유효성을 검증한 결과, 수요측면에서 기존의 통계적 회귀분석 모델에 비해 오차범위가 크게 줄어들어 그 정확성이 현저히 개선되었음을 확인하였고, 공급측면에서 숙련수준별로 기능공, 준기공, 일반공의 공급규모 변화 추세에 대한 예측이 가능하여 제안된 모델이 향후 건설기능인력의 숙련수준별 수급정책의 수행을 위한 관리수단으로 활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주요 외생변수의 민감도를 분석한 결과, 직업조건이 수급차이에 대한 민감도가 가장 큰 것으로 분석되어, 향후 수급불균형 문제에 효율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주요 정책대안으로 고려되어야 함을 파악하였다. 마지막으로, 제안된 모델을 활용하여 건설기능인력의 중기 수급변화를 예측한 결과 숙련 기능인력인 기능공의 공급부족 문제가 더욱 심화될 것으로 예측되었다. 또한, 이러한 숙련 기능인력의 수급불균형 문제에 대응하기 위한 해결책을 모색하기 위해 제안된 모델을 활용하여 ‘외국인력 공급규모 확대’, ‘직업조건 개선’, ‘직업조건 개선 및 훈련생 진입규모 확대’와 같은 정책대안의 파급효과를 분석한 결과, 직업조건 개선과 훈련생 진입규모 확대가 병행되었을 경우 숙련 기능인력의 공급규모가 확대될 가능성이 가장 큰 것으로 파악되었다. 반면, 외국인력 공급규모 확대 방안은 숙련 기능인력의 공급규모를 축소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more

초록/요약

Many organizations have recognized that planning and investment in human resources is strategically imperative to corporate competitiveness, acknowledging that the human resources are valued asset for adapting to the needs of the market and technology innovation. However, technical areas, where the employment organizations do not provide human resource planning to perform the jobs, have to be dependent on the marketplace to supply skilled(trained) laborers. This problem has frequently caused the supply and demand disparity of the construction laborers in Korea and threatens to weaken the competitiveness of the construction industry as well as the individual construction company. In the demand side, the most required but the most deficient manpower in the construction sites are the skilled (trained) laborers. On the contrary, in the supply side, the pool of the skilled laborers has been dwindling although the pool of unskilled laborers is generally plentiful. This condition has increased the disparity between the supply and demand causing great shortage of skilled laborers. However the seriousness of the disparity have not been revealed conspicuously because although the disparity between supply and demand of the skilled laborers is increasing, the total number of construction laborers seems to indicate plentiful laborers. Unskilled laborers can be supplied readily because they can easily enter and leave the construction industry. On the other hand, it is difficult to supply skilled laborers as soon as the demand arises because of demographical aging, long fostering period, and increasing turnover rate and short supply of future skilled laborers which poor job conditions have caused lack of interest from the youths to work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These factors which influence on the supply and demand of the laborers cause the supply and demand disparity of the construction laborers. Therefore, in order to efficiently cope with the supply and demand disparity, the influential factors and causal relations among them should be defined and in terms of the government a system to control these influential factors is needed. However, the present practice is faced with a limitation that the government cannot control skilled and unskilled laborers separately because it has been dependant on forecasting only the total number of the laborers using statistical regression models. In this context, this paper aims to define the factors which influence the supply and demand of laborers and the causal relations among them. Consequently, this paper purposes to develop a supply and demand model for the construction laborers based on the influential factors and to evaluate the validity and applicability of the model. As a result of the research, the influential factors were identified as follows and a supply and demand model for the construction laborers was developed based on the causal relations among the influential factors. ㆍIn the demand side, a demand model was developed based on ‘derived demand structure’ which consists of the eleven factors such as 'construction contract', 'labor cost rate', 'wage', 'working day' and so on. ㆍIn the supply side, a supply model was developed based on ‘labor constituent structure’, ‘fostering structure’, and 'entry and turnover structure' which consist of the forty-four factors such as 'trainee', 'unskilled labor', 'semi-skilled labor', 'skilled labor', 'fostering period', 'entry rate', 'transferring rate', 'turnover rate', 'retirement rate', 'job condition (wage level, employment level, job prospects, welfare, working condition)' and so on. ㆍIn the gap between supply and demand side, a supply and demand gap model was developed, which consists of the six factors, such as 'domestic labor supply', 'foreign labor supply', 'gap between supply and demand', and so on. Throughout the verifying the validity of the developed model, it was found that the developed model could be used as a controllable tool to forecast each labor supply trend: 'unskilled labor', 'semi-skilled labor', and 'skilled labor'. In addition, it was observed that 'job conditions' is the most sensitive factor to influence the gap between supply and demand, therefore 'job conditions' should be considered as a principal policy to cope with the disparity of the supply and demand. Finally, the forecasting result by the developed model shows that the growing scarcity of skilled labor would occur in the near future. In order to search for the solutions for this problem, the effects of policies, such as 'increase of foreign labor supply', 'improvement of job conditions', and 'both improvement of job conditions and increase of trainee' were analyzed. In the outcome, it was discovered that 'both improvement of job conditions and increase of trainee' was most effective to increase the skilled laborers. Also, the findings showed that 'increase of foreign labor supply' would reduce the supply of skilled laborers.

more

목차

제1장 서론 = 1
1.1 연구의 배경 = 1
1.2 문제의 제기 = 3
1.3 연구의 목적 = 7
1.4 연구의 범위 = 8
1.5 논문의 구성 = 10
제2장 인력계획 이론 및 선행연구 고찰 = 13
2.1 인력계획 이론 = 13
(1) 인력계획의 개념 = 13
(2) 인력계획의 방법 및 절차 = 13
(3) 인력수급 예측 모델의 개념 = 14
(4) 인력수급 예측 모델의 역할 = 15
(5) 인력수급 예측 모델의 종류 = 16
2.2 인력계획 관련 선행연구 동향 = 19
(1) 인력계획의 이론적 개념과 방법에 관한 선행연구 = 19
(2) 해외 건설산업 인력계획 관련 선행연구 = 21
(3) 국내 건설산업 인력계획 관련 선행연구 = 23
2.3 기존 연구의 한계 = 25
(1) 건설기능인력의 실제 수급구조 파악 미흡 = 25
(2) 건설기능인력의 수급구조를 모델화하여 숙련수준별로 심층화된 수급예측 사례 부재 = 27
2.4 소결 = 32
제3장 건설기능인력 수급구조 모델 구축 방법론 = 33
3.1 인력수급 예측 모델 구축 방법 분석 = 33
(1) 계량경제모델 = 34
(2) 인력이동확률모델 = 35
(3) 시스템 다이내믹스 모델 = 36
(4) 계수모델 = 38
(5) 의견조사기반 모델 = 38
(6) 분석 결과 = 39
3.2 시스템 다이내믹스(System dynamics) 방법론의 특성 = 41
(1) 시스템 다이내믹스 모델링 절차 = 41
(2) 시스템 다이내믹스 모델링 개념 = 42
3.3 건설기능인력 수급구조와 시스템 다이내믹스 모델 상의 개념 비교 = 45
3.4 건설기능인력 수급 구조 모델 구축 방법 및 절차 = 48
3.5 소결 = 50
제4장 건설기능인력의 수급구조 모델 = 51
4.1 수급구조 모델의 구성 = 51
4.2 수요 모델 = 53
(1) 수요 영향요인 = 53
(2) 수요구조 = 57
(3) 수요모델 = 59
4.3 공급 모델 = 61
(1) 공급 영향요인 = 61
(2) 공급구조 = 67
(3) 공급모델 = 71
4.4 수급차이 모델 = 73
(1) 수급차이 영향요인 = 73
(2) 수급차이 구조 = 74
(3) 수급차이 모델 = 74
4.5 모델 분석 및 유효성 검증 = 76
(1) 수요모델 = 76
(2) 공급모델 = 82
(3) 수급차이모델 = 90
(4) 민감도 분석 = 94
4.6 소결 = 96
제5장 건설기능인력 수급예측 및 정책대안 = 97
5.1 중기 건설기능인력 수급 예측 = 97
(1) 조건 설정 = 97
(2) 수급 예측 = 98
5.2 정책대안 시나리오 분석 = 102
(1) 정책대안 시나리오 설정 = 102
(2) 시나리오 1 : 외국인력 공급규모 확대 = 103
(3) 시나리오 2 : 직업조건 개선 = 107
(4) 시나리오 3 : 직업조건 개선 및 훈련생 진입규모 확대 = 110
5.3 정책대안 평가 = 114
5.4 소결 = 117
제6장 결론 = 118
6.1 연구의 결과 = 118
6.2 연구의 기대효과 및 한계 = 123
6.3 향후 연구에 대한 제언 = 126
[참고문헌] = 129
[부록] = 135
부록 1. 용어 정의 = 135
부록 2. 건설기능인력의 수급구조 모델 = 138
부록 3. 모델을 구성하는 변수의 수식 및 데이터 = 139
[Abstract] = 153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