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평생학습도시 시민대학 운영 모델 비교 분석

초록/요약

이 연구는 평생학습도시 사업의 하나인 시민대학 운영 사례를 비교분석 하여 운영모델을 발견하고 지역사회 특성과 주민의 특성에 맞는 시민대학의 교육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하는 연구이다. 평생학습도시 비전과 목표에 따른 시민대학 운영 사례 분석을 통해 모델을 유형화 하였으며, 첫째, 시민대학의 변천과정을 살펴봄으로써 평생학습도시 시민대학의 필요성을 알아보고자 하며 둘째, 지역의 특색과 시민의 특성을 반영한 학습제공기관으로서의 시민대학을 유형별로 살펴봄으로써 학습도시에서의 지역적 특성에 따른 시민대학 운영의 적합한 모델을 도출하고자 한다. 셋째, 시민대학의 유형별 성인학습자의 학습혜택의 형태를 비교분석하여 시민대학이 성인학습자에게 어떠한 위상을 가지고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한다. 넷째, 시민대학의 유형별 운영모델 비교분석이 주는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이를 활용할 연구방법으로는 전국 지자체 평생학습도시 중 시민대학의 운영사례에 적합한 실증적 연구를 위해 연구대상 선정에 있어서 전문가의 조언과 지역적 특성에 맞고 학습자의 참여가 활발하다고 판단되는 곳 세 곳을 선정하였으며, 기관 운영자 및 학습자 면담을 전문가의 검증을 받은 반구조화 된 면담지를 통해 객관적 자료를 발췌하고, 기관 홈페이지 및 문헌자료, 실무 자료를 수집하였다. 위와 같은 연구과정으로 얻어진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시민대학은 일찍부터 지역사회 문제 해결과 시민교육을 제공하는 기관으로 그 필요성을 인식해 왔으며, 둘째 몇몇 기관의 대표적인 사례를 통해 지역사회 특성에 맞도록 시민대학을 시민참여형, 학관연계형, 의식변화형으로 유형화된 즉, 시민의 요구에 맞는 교육프로그램 기획 및 운영에 참여 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해준 시민참여형의 광명시민대학, 대학의 교육과정과 함께 시민에게 전문적이고 실생활에 적용할 수 있도록 대학과 기관을 연계하여 학습을 제공하는 학관연계형의 관악시민대학 그리고 열악한 환경을 극복하고 보완하여 교육을 통해 사람의 의식을 변화시키고 하는 장성아카데미의 사례를 비전과 추진계획, 운영형태 및 특화전략 별로 비교 분석하였다. 셋째, 시민대학의 운영사례 비교분석을 통해 시민대학 유형별 모델이 평생학습도시 안에서 지역과 시민의 특성에 맞는 학습이 제공되어 시민이 적극적으로 평생학습에 참여할 수 있는 배경이 되어야 한다는 시사점을 얻을 수 있었다.

more

목차

Ⅰ. 서론 =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2. 연구 문제 = 8
3. 연구 방법 = 8
Ⅱ. 이론적 배경 = 11
1. 시민대학의 변천과정 = 11
2. 평생학습도시 시민대학 유형화 = 20
3. 평생학습도시의 시민대학 = 31
4. 선행 연구 분석 = 33
Ⅲ. 평생학습도시 시민대학 운영 사례분석 = 36
1. 시민참여형 시민대학 사례 : 광명시민대학 = 36
2. 학관연계형 시민대학 사례 : 관악시민대학 = 54
3. 의식변화형 시민대학 사례 : 장성아카데미 = 63
Ⅳ. 시민대학 운영유형 비교 분석 및 시사점 = 75
1. 비전 및 추진계획 = 75
2. 시민대학 운영 및 특화전략 = 77
3. 시사점 도출 = 79
Ⅴ. 요약 및 결론 = 83
1. 요약 = 83
2. 결론 = 86
참고 문헌 = 89
부록 = 91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