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학습조직 구축과 조직유효성 인식에 관한 연구

초록/요약

본 연구는 Senge(1990)의 학습조직 이론을 기초로 병원 조직 구성원들의 학습조직 구축정도를 알아보고, 학습조직 구축정도가 구성원들이 인식하는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한 연구이다. 연구 대상은 서울 소재의 K병원의 조직 구성원 225명이며, 조사도구로는 Senge(1990)의 학습조직 구성요인(시스템 사고, 개인 숙련, 비전 공유, 사고 모형, 팀 학습)을 기초로 개발한 학습조직 구축수준 측정도구와 조직의 유효성(조직 몰입, 직무만족도 측면)과 개인배경조사 문항으로 구성된 질문지가 사용되었다. 자료 분석은 Windows SPSS 12.0(ver.)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신뢰도 분석, 요인분석, 적률(Pearson)상관관계분석, 다중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병원 조직구성원의 학습조직 구축정도는 구성요소별로 사고 모형(4.44), 시스템 사고(3.68), 개인적 숙련(3.52), 비전 공유(3.31), 팀 학습(3.05)의 순으로 사고모형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또한 전반적인 조직 유효성(조직몰입, 직무만족)에 대한 인식을 살펴본 결과, 조직몰입과 직무만족 모두 보통수준 이상으로 나타났다. 특히 조직몰입은 높은 수준으로 병원 구성원들의 조직에 대한 몰입 및 충성도가 긍정적인 수준으로 보여 진다. 둘째, 학습조직 구축정도와 구성원이 인식하는 조직유효성의 관계에서, 학습조직 구축정도는 조직몰입과 직무만족 모두 유의한 상관관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습조직 구축과 조직몰입의 상관관계를 보면 사고 모형을 제외한 나머지 네 개의 요소 비전 공유, 팀 학습, 시스템 사고, 개인적 숙련은 정(+)의 상관관계를 보이고, 학습조직화 구축과 직무만족의 상관관계를 보면 사고 모형을 제외한 팀 학습, 시스템 사고, 개인적 숙련, 비전 공유는 직무만족과 정(+)의 상관관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학습조직 구축이 조직몰입과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학습조직 구축요인 중 조직몰입은 팀 학습> 비전 공유> 개인적 숙련의 순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직무 만족은 팀 학습> 개인적 숙련> 공유 비전의 순으로 긍정적인 기여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기와 같은 연구 결과를 종합해 볼 때, 병원의 학습조직 구축은 조직몰입 및 직무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며, 이러한 병원의 학습조직 구축은 조직의 더 큰 성장과 발전을 위해서는 반드시 구축되어야 한다. 그리고 학습조직의 구축 요인 중 비전 공유와 팀 학습 같은 핵심적인 구성요소들을 중심으로 성공적인 병원 학습조직화 전략을 마련하여 병원의 발전과 성장에 기여하는 것이 필요하다.

more

목차

Ⅰ. 서론 =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2. 연구 문제 = 4
3. 용어의 정의 = 4
Ⅱ. 이론적 배경 = 6
1. 학습조직 = 6
2. 조직유효성 = 21
3. 학습조직과 조직유효성의 관계 = 27
Ⅲ. 연구 방법 = 33
1. 연구모형 = 33
2. 조사대상 = 34
3. 조사도구 = 36
4. 분석방법 = 45
Ⅳ. 조사결과 분석 = 47
1. 학습조직 구축요인, 조직몰입, 직무만족 수준 분석 = 47
2. 학습조직 구축요인, 조직몰입, 직무만족과의 상관관계 = 52
3. 학습조직 구축요인이 조직몰입,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 54
Ⅴ. 요약 및 결론 = 57
1. 요약 = 57
2. 결론 및 제언 = 59
참고문헌 = 64
부록 = 69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