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고등학교 영어 교과서의 쓰기 활동 유형 분석 : 학년별 연계성 중심으로

초록/요약

본 연구는 2종의 고등학교 영어 교과서에 나타난 쓰기 활동을 토대로 교과서의 구성 체계를 알아보고 텍스트를 중심으로 한 쓰기 유형, Hedge의 쓰기 유형 그리고 과정 중심 쓰기 유형의 분석과 함께 학년별 연계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교과서 분석과 더불어 현직 영어 교사들의 설문지 조사를 통한 영어 교과서의 활용 현황과 현재 교실상황에서 일어나고 있는 쓰기 활동의 실태를 알아보고 그에 따른 보조교재의 장점도 살펴보았다. 고등학교 영어 교과서 분석과 설문지 조사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첫째, 2종의 영어 교과서에서 구성 체계를 분석한 결과 두 교과서 모두 듣기, 말하기, 읽기 영역보다 쓰기 영역의 비율이 낮게 나타났다. A교과서는 다른 영역이 2쪽씩 차지하고 있는데 반해 쓰기 영역은 1쪽을 차지했고, B교과서는 다른 영역이 3쪽임에도 불구하고 쓰기 영역은 1쪽밖에 차지하지 못했다. 학년별 쓰기 활동 분석 결과로 A교과서는 1학년은 문법과 관련된 문장쓰기와 장르별 쓰기로 구성되어있고 2학년은 문장수준 쓰기와 문단쓰기 수준으로 구분되어 있고 3학년은 작문연습으로 3학년의 쓰기 활동이 차별화되어 있었다. B교과서는 1학년의 문장 위주의 쓰기가 2학년의 문단 위주의 쓰기로 발전되었고 3학년은 추측, 가정, 자기생각, 자신의 경험쓰기로 학년이 올라갈수록 쓰기 활동이 대체적으로 단계적인 점진형태를 보여주었다. 그러나 거의 글이 주어지고 나머지 부분을 완성하는 쓰기활동이어서 창조적인 글쓰기는 배제되었다. 둘째, 텍스트를 중심으로 한 쓰기 유형을 분석한 결과, A교과서는 통제, 유도 작문이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문법구조의 유형이 차지했다. 글의 구성 익히기는 2학년에는 전혀 나타나지 않아 학년별 고른 분포를 보이지 않았고 읽기와 통합된 쓰기 지도에서는 자유 작문이 오히려 3학년에서 줄어드는 모습을 보여 학년별 연계성이 낮았다. B교과서는 문법구조 연습유형이 가장 많이 차지했고 다음으로 통제 유도 작문이 많이 나타났다. 글의 구성 익히기는 학년별로 고르게 분포되어있고 읽기를 통한 자유 작문도 3학년에서 늘어나 A교과서보다 학년별 연계성이 높았다. 셋째, Hedge의 쓰기 유형을 분석한 결과, A교과서는 학생과 직접적인 관련이 되어 흥미를 줄 수 있는 장르의 유형이 제시되지 않았고 2학년에는 Hedge의 유형이 전혀 나오지 않아 학년별 분포가 고르지 않게 나타났다. B교과서는 수능위주의 문제 유형이 많이 차지하기 때문에 Hedge유형이 많이 분포되지 않았고 학년에 맞는 내용이 아니기 때문에 관심을 끌기 힘들어 보였으며 학년이 올라갈수록 오히려 장르별 쓰기 유형이 줄어드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넷째, 과정 중심 쓰기 유형을 분석한 결과, 두 교과서 모두 5단계 즉, 사전, 초고, 교정, 편집, 출판쓰기 단계를 거쳐 쓰기 활동을 하는 모습을 보여주지는 못했다. 다만, 초고쓰기나 오류 수정하여 편집하는 부분적인 하나의 단계를 통한 쓰기 활동을 요구하는 것은 볼 수 있었지만 진정한 과정 중심 쓰기라고는 할 수 없다. 학생들이 협동하여 주도적으로 의사를 표현할 수 있는 쓰기 능력을 키워주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more

목차

예시차례 = ⅳ
그림차례 = ⅴ
Ⅰ. 서론 = 1
1.1 연구의 필요성 = 1
1.2 연구의 목적 = 2
1.3 연구의 제한점 = 2
Ⅱ. 이론적 배경 = 4
2.1 쓰기 = 4
2.2 교재 분석 = 14
2.3 선행연구 = 19
Ⅲ. 연구 방법 = 24
3.1 연구 대상 = 24
3.2 분석절차 및 분석방법 = 27
Ⅳ. 연구 결과 및 논의 = 29
4.1 교과서 분석 = 29
4.2 설문지 조사 분석 = 48
Ⅴ. 결론 및 제언 = 56
5.1 결론 = 56
5.2 제언 = 57
참고 문헌 = 60
부록 = 64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