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중학교 영어 교과서에서의 요청화행 분석 : 중학교 3학년 교과서를 중심으로

Study on Analysis of Request Speech in the Middle School Textbook

초록/요약

요청 화행은 앞에서 살펴본 10 종 교과서에서 공통적으로 의사소통 기능의 학습 목표로 제시되고 있다. Blum-Kulka(1987)의 요청 전략 유형에 따라 요청문의 앞뒤에 위치에 요청의 의미를 돕는 보조 장치를 10 종 교과서를 토대로 분류한 결과 강화 장치는 사용되지 않고 완화 장치만 사용된 것을 알 수 있었다. 완화 장치를 상황에 맞게 자연스럽게 사용하는 예시문이 많았지만 완화 장치의 종류가 근거와 예시로 다소 한정적이었다는 것이 한계점으로 지적될 수 있다. 또한 일상 생활에서는 때에 따라서 강화 장치를 사용하여 요청을 할 경우도 있는데, 강화 장치를 전혀 제시하지 않고 있다는 점도 다음 교과서 개발에 보완해야 할 부분으로 여겨진다. Gibbs(1981)의 요청 화행의 유형 분석의 틀을 기준으로 10 종 교과서를 분석한 결과 교과서별로 자주 제공하고 있는 요청 유형에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뿐만 아니라, 10 종 교과서에 평균적으로 나타나는 요청 유형의 종류별 빈도는 원어민이 사용하는 요청 유형의 종류별 빈도와 비교해 볼 때 차이가 있었다. 따라서 원어민의 실제 요청 화행과 유사한 예시문을 교과서에서 제공해야 할 필요가 있으며, 이것은 교과서 개발자들의 앞으로의 과제가 될 것이다. 추후 화행 지도에 대한 연구를 진행할 때에는 교과서의 질적인 화행 예시문의 차이가 실제 학습자에게 많은 영향을 준다는 손위철(1999)의 결론을 고려해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실험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하는 것이 좋을 것이다. 또한 교과서 별로 요청 화행의 수와 유형의 종류에도 상당한 차이가 있었으며 완화 장치의 양적인 차이도 현저하였는데, 이것이 학습자의 요청 화행 이해와 활용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었는지 조사할 필요가 있다. 각 교과서를 사용한 학습자들을 대상을 학습자간 요청 화행의 이해와 활용의 능력에 유의미한 차이가 보이는지 연구한다면 교과서의 대화문이 화행 지도에 차지하는 영향을 알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그리고 그 결과는 영어 교과서 개발에 적극적으로 반영 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화행 지도와 관련하여 교과서의 대화문 뿐 아니라, 교과서의 활동에 관한 추후 연구도 의미 있는 결과를 가져올 것으로 보인다. 교과서에 화행을 이해하도록 제공된 활동과, 화행을 사용하도록 구성된 활동의 비율을 조사하여 이것이 학습자의 화행 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해 볼 필요가 있다. 교과서에서 적절한 언어 자료를 제공하여 학습자가 상대방이 발화한 요청 화행을 정확히 듣고 이해할 수 있을지라도, 막상 실제로 요청 화행을 발화해야 할 상황에서 적절히 발화할 수 없다면, 그것은 입력 자료의 부족으로 인해서가 아닌, 발화 기회의 부족으로 인한 것일 수도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화행 지도에 대해 학습자들의 현재 문제에 대해 면밀히 조사하고 다각적으로 연구할 필요가 있다.

more

목차

I. 서론 = 1
1.1 연구의 필요성 = 1
1.2 연구의 목적 = 4
1.3 연구의 제한점 = 5
II. 이론적 배경 = 6
2.1 의사소통과 화행 = 6
2.1.1 의사소통 능력 = 6
2.1.2 화행과 언표내적 수행력 = 8
2.1.3 간접화행 = 11
2.2 요청 = 15
2.2.1 요청의 정의 = 15
2.2.2 요청화행 = 16
2.3 선행연구의 고찰 = 17
III. 연구의 실제 = 19
3.1 연구의 기초 = 19
3.1.1 요청 전략 = 20
3.1.2 요청 유형 = 21
3.2 연구대상과 절차 = 25
3.2.1 연구대상 = 25
3.2.2 연구절차 = 26
IV. 연구의 결과 및 분석 = 27
4.1 요청 전략분석 = 27
4.2 요청 유형분석 = 33
V. 결론 = 48
참고문헌 = 50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