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문화공간 조성을 위한 장소마케팅적 계획요소 도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lanning Elements of Place Marketing for Creating Cultural Space

초록/요약

현재 우리는 삶의 질에 관한 관심이 대두되면서 우리의 삶의 대한 공간을 문화적으로 접근하고 일상생활 속에서 문화적인 풍요를 느끼면서 살아갈 수 있는 도시를 만들어가는 것에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도시를 만들기 위한 일환으로 장소마케팅이라는 장소 차별화 전략을 활용하여 문화적인 측면에서 우리가 살고 있는 도시를 살고 싶은 도시, 살기 좋은 도시, 더 나아가 방문하고 싶은 도시로 만들어 갈 수 있다. 본 연구는 장소마케팅적인 측면을 바탕으로 문화공간의 도시계획적인 특성을 분석하고 이를 방문하는 방문객들의 방문 실태 및 이용하는 공간의 중요도와 만족도를 파악하여 문화공간을 구성하는 장소마케팅적 계획요소를 도출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이를 위해 장소마케팅의 구성요소 중 하나인 상품에 따라 문화공간을 4가지의 유형으로 분류하였으며, 이 중 유형Ⅱ(문화예술지구)와 유형Ⅲ(전통문화지구)의 대표성을 갖는 문화공간인 대학로 지역과 인사동 지역을 선정하여 방문객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얻은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건축물 부문은 문화예술지구의 경우 건축물 외관 형태, 건축물의 용도,소극장 골목의 특성화가 중요한 계획요소로 도출되었다. 문화예술지구를 방문하는 방문객들은 건축물의 외관과 이러한 건축물의 외관이 모여서 형성하는 가로의 이미지로 문화예술지구 전체의 이미지를 형상화 하고 있었다. 또한 건축물의 용도는 문화예술지구 이미지 보존의 중요한 역할을 하는 요소이며, 이를 위해 문화예술시설의 비율과 상업시설의 비율의 적절한 계획이 필요하다. 전통문화지구에서는 한옥 및 유적지 보존, 건축물 외관 형태, 건축물 높이, 건축물 용도가 중요한 계획요소로 도출되었다. 그 중에서도 한옥 및 유적지와 같이 전통을 직접적으로 나타내주는 요소들이 전통문화지구의 이미지 형성에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문화예술지구에서 건축물 높이가 비교적 중요치 않은 계획요소인 것에 비해 전통문화지구에서는 건축물의 높이가 지구의 분위기를 형성하는 데에 많은 영향을 주는 계획요소로 나타나고 있다. 둘째, 문화예술지구에서 문화행사는 지역 이미지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으며, 문화행사가 행해지는 오픈 스페이스가 중요한 계획요소로 도출되었다. 문화예술지구에서 오픈 스페이스를 계획할 때에는 하나의 커다란 오픈 스페이스를 계획하기보다는 여러 개의 오픈 스페이스를 위치 및 중요도에 따라 위계적으로 계획하여야 하며 이를 소극장 골목길들과 연계해 주는 시스템이 필요하다. 전통문화지구에서는 과거에서부터 형성되어 온 가로가 중요한 계획요소로 도출되었다. 과거의 흔적을 담고 있는 가로 자체가 전통을 담고 있는 산물이기에 이를 보존하는 것이 중요하며, 각각의 가로의 위계적인 시스템 구축 및 체계적인 정비가 필요하다. 또한 이러한 가로의 중간 중간에 방문객들이 휴식을 취할 수 있는 장치들과 문화행사가 진행 될 수 있는 오픈 스페이스의 조성이 필요하다. 셋째, 문화예술지구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문화행사가 지속성을 갖고 발전해 나가기 위해서는 지구의 목적에 부합하는 연극제와 같은 공연예술 성격을 갖는 문화행사의 육성이 필요하다. 그리고 이러한 문화행사는 개방형?체험형 프로그램의 부대행사와 함께 진행되어야 많은 사람들의 참여를 유도할 수 있다. 전통문화지구의 문화행사는 규모가 작더라도 상설형태의 지속성을 갖는 문화행사 육성이 필요한 문화예술지구와는 다르게 전통문화를 잘 나타낼 수 있으며 이를 대표할 수 있는 대표성을 지닌 문화행사로의 육성이 필요하다. 또한 문화행사의 프로그램은 전통문화를 담아내면서도 창의적인 프로그램으로 구성하여 많은 사람들이 참여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현재 우리나라의 조성된 문화공간의 만족도를 살펴보면 앞서 나눈 유형에 상관없이 공간의 질 측면이 가장 낮은 것을 알 수 있다. 특히 화장실과 휴식공간과 같은 공공시설의 확충이 가장 심각한 개선사항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가로 환경의 정비 및 관리가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계획요소들은 문화공간을 처음 계획할 때 고려되어져야 할 뿐만 아니라, 문화공간이 조성된 후에도 지속적인 관리 및 정비가 필요하다.

more

초록/요약

As the quality of life becomes more important nowadays, a lot of people become more interested in approaching our space of life culturally and developing the city in which people can enjoy cultural richness in everyday life. In an effort to develop such a city, we can change the city in which we are living into the city which we want to live in and which is good to live and furthermore the city which people desire to visit, by means of place marketing, strategy of place differentiation.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urban planning characteristics of cultural space in the perspective of place marketing and to extract planning factor of place marketing by investigating the reality of people's visiting, importance of the target place and the degree of satisfaction. To achieve this goal, this study categorized the cultural place into 4 types. Among these types, this paper chose Daehak-ro and Insa-dong as the typical examples of type 2(cultural art district) and type 3(traditional cultural district) and conducted the survey of visitors. Through this process we can draw the conclusions as follows. First, in the aspect of building, external appearance and the use of the building and characterization of alley of small theaters are important planning factors in the case of cultural art district. Visitors of this district tend to form entire image of the district by the external appearance of building and the image of street which is formed by the collection of those images of building's exterior. The use of the building is important factor in preserving the image of cultural art district, and for this the plan to maintain appropriate proportion of facilities for culture and art and facilities for commercial use is required. Preservation of Korean traditional houses and historical sites, external appearance of building, height of the building, building's use are deduced as the important planning factors in traditional cultural district. Among these, the factors that show tradition directly like Korean traditional houses and historical site appear to serve important role in this district. In contrast to the case of the cultural art district which the height of the building is not considered as important planning factor, in the case of traditional cultural district, building's height appears to be important factor to influence greatly in forming the atmosphere of the district. Second, in cultural art district, cultural events play an significant role in forming the image of the region, and open space in which the cultural events are held is drawn as the important planning factor. Planning open space in cultural and art district, it's important to plan several open spaces hierarchically according to location and significance rather than planning one huge open space. And the system that connects these spaces to alleys of small theaters is required too. In traditional cultural district, the street that has been formed from the past is deduced as the important planning factor. Preserving the vestige of the past, street itself is the product of the tradition, so it is important to preserve and establishing of each street's hierarchical system and systematic maintenance are needed. Third, cultural events that have the characteristics of performing arts and also conform with the purpose of the district like theater festival should be encouraged to make cultural events develop consistently. These cultural events can lead many people's participation only if it is accompanied with open and experience-oriented program. Cultural events of traditional cultural district should be developed to show and represent the traditional culture well, in contrast to the those of cultural art district whose scale are small but maintain a form of permanent display. It is also needed to devise the program which is creative as well as reflecting traditional culture. Lastly, if we look closely at the degree of satisfaction with already composed cultural space, we can notice that people are most unsatisfied with the quality of the place irrespective of the types we classified above. Especially, expansion of public facilities like rest rooms and rest places is the most urgent improvement that should be made. Also, maintenance and management of street environment is needed. These planning factors should be considered not only when we first plan to make cultural space but also after finishing establishment of the cultural space. In other words, consistent care and maintenance is necessary.

more

목차

제1장. 서론 = 1
1.1. 연구 배경 및 목적 = 1
1.2. 연구 범위 = 2
1.3. 연구 방법 = 3
제2장. 이론적 고찰 및 개념 정립 = 5
2.1. 문화공간 = 5
2.1.1. 문화(Culture)의 개념 = 5
2.1.2. 문화공간의 개념 = 6
2.2. 장소마케팅 = 7
2.2.1. 장소마케팅의 개념 = 7
2.2.2. 장소마케팅의 구성요소 = 11
2.2.3. 장소마케팅 수립의 프로세스 = 14
제3장. 문화공간의 장소마케팅적 요소 분석 = 17
3.1. 장소마케팅을 고려한 문화공간의 유형화 = 17
3.1.1. 기존 장소마케팅의 유형화 = 17
3.1.2. 장소마케팅을 고려한 문화공간의 유형화 = 19
3.2. 장소마케팅을 고려한 해외 문화공간의 사례 = 21
3.2.1. 빌바오 = 21
3.2.2. 브리스톨 = 22
3.2.3. 도크랜드 = 23
3.2.4. 에든버러 축제 = 23
3.2.5 부산국제영화제 = 25
3.3. 문화공간의 장소마케팅적 요소 분석을 위한 틀 = 31
3.3.1. 문화공간의 장소마케팅적 요소 분석을 위한 기본 틀 = 31
3.3.2. 문화공간의 장소마케팅적 계획요소 분석 틀 도출 = 32
제4장 연구의 방법 = 33
4.1. 연구의 범위 설정 = 33
4.2. 연구의 방법 = 33
4.2.1. 문헌연구 = 33
4.2.2. 설문 조사의 방법 = 34
4.3. 조사 대상 지역의 현황 = 36
4.3.1. 대학로 = 36
4.3.2. 인사동 = 44
제5장 국내 문화공간 사례분석을 통한 장소마케팅적 계획요소 도출 = 55
5.1. 사례 분석지역의 설문조사 대상 개요 = 55
5.2. 사례분석 지역의 방문실태 = 57
5.2.1. 사례 분석지역의 방문 목적 = 57
5.2.2. 사례 분석 지역의 상품 및 서비스 구매 = 58
5.3. 사례 분석 지역의 이미지 형성 = 61
5.3.1. 사례분석 지역 전체의 고유한 이미지 = 61
5.3.2. 사례분석 지역 전체의 이미지 보존 = 66
5.3.3. 사례분석 지역의 상징물 = 70
5.4. 사례분석 지역의 문화행사 = 71
5.4.1. 대학로 지역의 문화행사 = 72
5.4.2. 인사동 지역의 문화행사 = 81
5.5. 물리적 환경 = 86
5.5.1. 물리적 환경의 만족도 = 86
5.5.2. 물리적 환경의 개선사항 = 87
5.6. 문화공간의 장소 마케팅적 계획요소 도출 = 90
5.6.1. 건축물 부문 = 90
5.6.2. 오픈 스페이스 및 가로환경 부문 = 91
5.6.3. 문화행사 부문 = 92
제6장 결론 = 94
6.1. 연구결과 요약 및 결론 = 94
6.2. 시사점 및 한계 = 96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