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외국의 수학교육과정의 비교·분석을 통한 교육과정 개정의 시사점 도출에 관한 연구

초록/요약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1세기의 지식 정보화 사회에서 학교 교육의 중점은 단순 기능인의 양성 보다는 자기 주도적으로 지적 가치를 창조할 수 있는 자율적이고 창의적인 인간의 육성에 있다. 이에 대비하기 위한 수학과의 역할은 수학의 기본적인 개념을 사용한 또는 수학을 통한 정보를 교환하는 능력, 실생활이나 다른 교과 영역에서 수학적 지식을 사용하여 문제를 구성하고 해결하는 문제 해결력, 창의력, 수학적으로 사고하는 성향, 사고의 유연성, 자신감 등의 수학적 힘을 기르게 하는 것이다. 이러한 배경 하에 수학과 교육과정의 개정은 학생들이 능력수준에 맞는 단계에서 학습할 수 있도록 하는 단계형수준별 교육과정을 적용하는데 중점을 두고 있다. 그동안 우리나라의 수학 교육은 상급 학교 진학을 위한 주비에 급급하여 단편적 지식의 습득과 단순한 문제풀이의 기능 숙달에 치중해 왔으며, 학새 개개인의 능력과 관심을 고려하기보다는 획일적인 학습 목표 내용의 수준과 범위를 설정하여 모든 학생이 똑같은 내용을 학습하도록 하였다. 21세기에 적합한 인간 교육을 목표로 개정 되었던 제 7차 교육과정은 1997년에 고시되어 2004년에는 전 학교 급에 완전 적용되었다. 그간 우리나라 교육과정의 변천사를 살펴보면 6-7년의 주기를 가지고 개정되어 왔다는 점에서 새로운 교육과정을 도입하기 위한 개정 작업을 더 이상 늦출 수 없다는 의견이 제기되어 왔다. 이러한 요구로 교육부에서는 교육과정의 전면 개정보다는 교육과정의 수시 갱정 체재를 도입하였다. 그 과정의 일환으로 2005년에는 국민공통기본교육과정에 대한 영어과 수학과 교육과정 개정 작업을 시작으로 2006년에는 선택 중심 교육과정에 대한 개정 작업이 이루어져 왔다. 이런 상황에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가 주관하는 2003년 학업 성취도 국제 비교 평가(PISA)결과, 우리나라 학생은 문제해결력 영역에서 1위, 수학 영역에서 3위를 차지하였다. 교육계에서는 이러한 결과가 '공교육의 영향인지 아니면 사교육의 영향인지' 그리고 '제 7차 교육과정의 결과인지' 아니면 우리나라 교육문화의 영향인지'에 대한 해답은 막연 할 뿐이다. 논의가 어떤 방향으로 귀결되던 중요한 문제는 어떻게 하면 우리 학생들의 학업성취도를ㄹ 높은 수준으로 유질할 것인가라는 구체적인 방법을 찾는데 있다고 보겠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지금까지의 교육과정 변천내용의 중점내용을 알아보고, 외국의 수학교육의 흐름을 통하여 우리나라의 수학교육과정 개정의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2 연구방법 외국 수학 교육과정의 동향을 탐색하는 것은 교육과정 개정의 유용한 기초 자료가 된다. 우리나라 수학 교육과정의 체제와 내용 구성이 다른 국가와 어떤 면에서 유사하고 어떤 면에서 다른지 확인하는 과정을 통해 의미 있는 시사점을 추출할 수 있다. 따라서 한국의 수학교육과정의 변천과정과 중점 내용을 분석해 보고, 우리나라 교육과정 개정에 시사하는 바가 풍부하다고 판단되는 싱가포르와 19단을 통해 세간으 관심을 부러 일으켰던 수학 강국 인도 그리고 한국교육평가원에서 차기 교육과정 개정을 대비하여 소개되었던 독일 이렇게 4개국의 수학과 교육과정의 흐름을 수학교육과정 및 각 영역별로 적합한 이론에 근거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more

목차

Ⅰ. 서론 =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2. 연구 방법 = 2
Ⅱ. 이론적 배경 = 3
1. 교육과정 결정체제 = 3
2. 우리나라 수학과 교육과정의 변천 = 6
Ⅲ. 외국의 수학과 교육과정의 흐름 = 25
1. 싱가포르의 수학 교육과정 = 25
2. 인도의 수학 교육과정 = 33
3. 일본의 수학 교육과정 = 38
Ⅳ. 수학과 수학교육의 동향 탐색 = 45
1. 제7차 수학과 교육과정의 문제점 = 45
① 교육과정 운영상의 문제점 = 45
② 교육과정 내용상의 문제점 = 46
Ⅴ. 외국의 수학과 교육과정과 흐름에 따른 교육과정 개선의 시사점 = 49
1. 수학적 모델링 강조 = 50
2. 문제해결 강조 = 51
3. 컴퓨터와 같은 테크놀로지 활용 = 51
4. 다양한 사고 활동 강조 = 52
5. 의사소통능력 강조 = 52
6. 가치 있는 수학을 평가 = 53
참고문헌 = 54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