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수학 문장제 해결력에 미치는 언어 읽기 능력 및 독서 흥미도의 영향

초록/요약

본 연구는 일반계 고등학교 학생들의 수학 문장제 해결력과 언어능력의 일부인 읽기 능력과 언어능력과 관계가 있는 독서에 관한 독서 흥미도와의 관련성과 성별 사이의 차이를 살펴보고, 수학 문장제 해결력이 낮은 학생들의 문제점을 찾고 해결 방법을 찾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선정한 연구문제와 가설은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1. 성별에 따른 차이 검증 가설 1. 성별에 따라 수학 문장제 해결력이 차이가 있을 것이다. 가설 2. 성별에 따라 언어 읽기 능력이 차이가 있을 것이다. 가설 3. 성별에 따라 독서 흥미도가 차이가 있을 것이다. 연구문제 2. 성별에 따른 상관관계 가설 4. 남학생 집단과 여학생 집단에서 수학 문장제 해결력과 언어 읽기 능력 사이에는 상관관계가 있을 것이다. 가설 5. 남학생 집단과 여학생 집단에서 수학 문장제 해결력과 독서 흥미도 사이에는 상관관계가 있을 것이다. 가설 6. 남학생 집단과 여학생 집단에서 언어 읽기능력과 독서 흥미도 사이에는 상관관계가 있을 것이다. 연구문제 3. 수학 문장제 해결력, 언어 읽기 능력과 독서 흥미도 사이의 상관관계 가설 7. 수학 문장제 해결력과 언어 읽기 능력 사이에는 상관관계가 있을 것이다. 가설 8. 수학 문장제 해결력과 독서 흥미도 사이에는 상관관계가 있을 것이다. 가설 9. 언어 읽기능력과 독서 흥미도 사이에는 상관관계가 있을 것이다. 본 연구의 대상은 수원시에 위치한 일반계 고등학교 2곳의 학생 119명으로 연구대상으로 선정된 학생들의 수학 문장제 문제해결력, 언어 읽기 능력, 독서 흥미도 사이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수학 문장제 문제해결력 검사’, ‘언어 읽기 능력 검사’, ‘독서 흥미도 검사’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분석은 SPSS 12.0K를 사용하여 검사 도구의 신뢰도를 구하기 위하여 Cronbach α를 구하였고, 수학영재와 일반 학생의 수학 창의적 문제해결력, 학업관련 정의적 특성, 수학 영재 행동 특성, 수학 성취 능력 사이의 관계와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한글 SPSS 12.0K를 이용하여 빈도, 독립 표본 t-검증, 상관관계 분석 등을 하였다.

more

목차

Ⅰ. 서론 =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2. 연구 문제 = 2
3. 용어의 정의 = 3
4. 연구의 제한점 = 5
5. 기대되는 효과 = 6
Ⅱ. 이론적 배경 = 7
1. 언어 = 7
2. 문제해결 = 9
Ⅲ. 연구 방법 및 절차 = 14
1. 연구 대상 = 14
2. 연구 도구 = 14
3. 연구 방법 및 절차 = 18
4. 자료 분석 = 19
Ⅳ. 결과 및 해석 = 20
1. 유형별 검사 도구에 대한 추리 통계 = 20
2. 상관관계 = 42
Ⅴ. 결론 및 제언 = 69
1. 요약 = 69
2. 결론 및 논의 = 70
3. 제언 = 73
참고문헌 = 76
부록 = 78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