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신도시 주거지 보행자 전용도로의 지속적 행동패턴 조사를 통한 가로계획 개선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tanding Pattern of Activities in Pedestrian Way of New Urban Housing District

초록/요약

이 연구의 목적은 신도시 보행자 전용도로에서의 지속적인 행동 패턴의 유형을 밝 혀내는데 있다 가로에서의 행위이용 . 실태를 파악하고 지속적인 행동 패턴을 갖는 행 위들의 행위자 그룹과 행동 장소와 행동 자원과의 관계(Behavior Setting)를 조사하 여 도시 주거지 가로 계획의 실무적 개선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가로의 유형 중 보행자 전용도로에서의 행위를 관찰하고자 주거지가 도시 계획적 차원으로 계획되기 시작하였던 1980년대를 전후로 하여 보행자 전용도로의 목표와 계획적 특성을 파악하였으며, 수도권 남부 지역의 3,000세대 이상의 신도시 계획, 뉴 타운, 택지개발지구 등의 도시 계획적 차원으로 계획되어진 단지들 중 매일 경제 신 문이 선정하여 매년 수상을 하는 살기 좋은 아파트 상을 받은 단지를 리스트 업 하여 대상지의 범위를 좁혀나갔다. 또한 2~3차례의 파일럿 테스트와 Driving Through Observation을 통해 리스트 업 된 대상지 중 수원 영통 벽적골 단지의 보행자 전용 도로가 주민의 활용이 빈번하며 단지 전체를 통합, 연계하는 도시 기능적인 측면이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수원 영통 벽적골 단지에서 관찰 분석단위의 선정은 보 행자 전용도로의 위치특성, 가로 선형의 곡률, 가로의 폭, 인근 주요시설, 주요 연접 시설의 기능, 자연계획요소의 포함정도를 세부 기준으로 하여 총 3개의 관찰 보행자 전용도로를 선정하였다. 연구의 자료 수집은 2007년 10월 중순부터 11월 말까지 진행되었다. 연구는 주중 에 실시하였으며, 조사 시간대는 외부 활동이 가장 활발하다고 판단되는 오후 3시부 터 오후 6시 사이로 정하고 연구자 3인에 의해 수행 되었다. 3개의 보행자 전용도로 에서 총 252개의 행위가 관찰되었고 연구는 행위 관찰 자료와 지도 분석, 사진 분석 을 함께 실시하였다. 또한 행위의 지속성과 반복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행위 관찰과 함께 행위의 발생위치와 행위자 계층, 이동 특성을 기입한 Behavior Mapping의 방 법을 병행하였다. 보행자 전용도로에서의 통행량과 행위빈도를 살펴보았을 때 행위빈도와 통행량과는 상관관계가 없으며 통행량에 비해 보행자 전용도로의 이용 비율이 현저히 떨어짐을 알 수 있었다 걷고 싶은 길 만들기 . 등 사람들이 많이 다니며 그러함으로써 우연한 만남의 기회를 제공하여 활력 있는 가로를 만들어야한다는 최근 가로 계획시 이슈점 은 제고의 여지가 있다고 하겠다. 보행자 전용도로에서의 이용 행위 중 일시적인 행위와 지속적이고 반복적으로 나타 나는 행위를 명확하게 구분하였다. 총 관찰되어진 252개의 행위 중 지속적인 행동으 로 판별된 행위는 95건이 나왔으며 이는 보행자 전용도로가 주민의 일상적인 외부 생 활공간의 장으로 활용되지 못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지속적인 행동 중 사회성 이 강한 행위는 잘 일어나지 않고 있으며, 보행자 전용도로가 사회적인 만남을 유도 하고 커뮤니티 형성의 중요한 공간으로 인식되고 있는 현 계획가들의 인식에 중요한 시사점을 제시할 수 있다. 지속적 행동의 행위자 그룹의 지속적 행동은 모든 계층에서 유사한 빈도로 나타나 고 있다. 하지만 전체 행위 빈도 비율은 초등학생 계층이 현저히 높게 나타남을 보았 을 때 주거지내 보행자 전용도로에서 성인과 청소년 계층의 행위는 지속적이고 반복 적으로 나타나지만, 그에 비해 초등학생 등 아동 계층의 행위는 일시적인 성격을 가 지고 있다. 즉, 아이들은 보행자 전용도로를 많이 이용하지만 보행자 전용도로가 아 이들을 위한 일상생활의 장으로써의 역할을 하지 못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아동을 위한 생활 장소를 계획할 시 많은 자원을 뿌려주는 것이 다양한 행위를 유발할 수 있 다는 계획적 인식이 주류를 형성하는 현 시점에서 다양한 행위의 발생이 결코 지속적 인 행위의 발생으로 이어지지 못함을 봤을 때 무작정적인 다수의 자원계획이 아닌 다 른 고려 사항이 필요함을 시사할 수 있겠다. 지속적인 행동과 물리적, 환경적 자원과의 관계에서 행위자가 많은 자원을 이용하 였을 때 지속적인 행동패턴으로 나타나는 행위가 많았다. 단일의 물리적, 환경적 자 원 계획이 일상적 행위를 유발하지는 못하며 다양한 속성을 가진 자원들이 함께 지원 되고 이용되었을 때 지속적인 행동으로 나타남을 판단할 수 있었고, 지속적인 행동이 이동하면서 병행되는 행위가 아닌 일정 영역을 점유하거나 정적인 행위로 나타남을 보았을 때 자원들의 구성을 통해 영역성이 확보하였을 때 지속적인 행동으로 나타남 을 알 수 있었다. 각각의 행위 Mapping을 통해 행위 발생이 집중적으로 보여 지는 총 14개의 영역 이 도출되었으며 그 영역 내에서 지속적 행동패턴은 3개의 대상지에서 총 14개의 패 턴이 발견되었다. 본 연구에서 지속적 행동패턴은 동일한 장소에서 발생하는 동일한 행동 유형을 가진 행위들의 그룹으로 정의 할 수 있으며 총 14개의 지속적 행동패턴 은 이용자 계층, 물리적 환경적 지원요소, 위치 특성의 유사성을 기준으로 총 9개의 유형으로 구분되었다. 이 9개의 지속적 행동패턴 유형들의 주 이용자 계층의 행위 유 형과 이들이 이용하는 구체적 계획 요소의 조건을 바탕으로 총 9가지의 지속적 일상 생활을 위한 가로 계획을 제안하였다. 즉, 현재 우리 도시 주거지내 가로는 거주자의 일상을 담는 외부 공간으로써의 주 된 역할은 하지 못하고 있다. 도시 계획적 차원의 시설로써 주거단지내의 통행과 연 계라는 기능적인 측면에서는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지만 거주자는 자신들의 중요 행동을 가로에서 굳이 하지는 않는다. 생활 장소측면에서는 비록 놀이터, 운동장, 휴 게소 등에서의 일상적 행위들을 보조해주는 역할만을 담당하고 있음이 현실이다. 그 러나 이런 가로 위상의 변화 속에서도 지속적이고 반복적으로 일어나는 행위들이 나 타나고 있다. 이러한 맥락과 연구의 결과로 도출되어진 총 9개의 지속적 행동패턴 유 형들은 도시와 주거를 계획하는 실무자들에게 가로는 통합과 연결이라는 기능적인 특 징들은 물론 이 얼마 남지 않은 가로에서의 일상 행동들을 유지시키며 더욱 활발하게 나타나게 할 수 있을지에 대한 고민에 대한 실마리를 제공할 수 있다는데 중요한 의 의를 갖는다.

more

초록/요약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search the standing pattern of activities types in 'pedestrian-only' street of a new urban housing district. The analysis indicates the ways to improve practical street plans in urban housing district by understanding the current status of street, standing pattern of activities of users, and relations of behavior setting and activity assets. To observe the street patterns and activities within the 'pedestrian-only' street which was developed from 1980s in occasion to urban development, the characteristics and object of 'pedestrian-only' street was defined. The research data have selected within the housing districts which were selected as 'The Best Apartment Complex' in MBN newspaper(the selected housing districts are new towns developed under certain circumstances; larger than 3000 households, located south of national capital region). Through 2~3 test pilot and Driving Through Observation, the pedestrian street in 'Byeokjeokgol district', located in Yongtong, Suwon was defined to be one of superior district of the pre-selected sites. It consisted of frequent use by the residents, unification of the district, and linked the city in function. The total of 3 pedestrian streets were selected in 'Byeokjeokgol distirct' of Yongtong, Suwon through following details: distinctiveness of the site, curvature of the linear street, width of the street, facilities within the site, functions of the major connected facilities, extents of developed elements. The data for the study was collected from mid September 2007 to November 2007. The study was enforced during the weekdays, and the data were collected by 3 researchers on most prospected 'active' time, which was 15:00 to 16:00 hour of the day. The research data were collected from surveying activity conducted by the users, by map and photo analysis. Total of 252 activities were collected at the 3 of the pedestrian-only street. And to grasp continuity and repetitiveness of the activity, a data, place of the activity, classification of user, and characteristics of movements were collected through the 'Behavior Mapping' process. Observing traffic and frequency of the activities of the pedestrian street, the research showed frequency of the activities and traffic are correlated. And pedestrian street was considerably less in use in contrast to the total traffic. Through the observation and researches above, the recent attempt of developing such street as 'walkable-street' which is to maximize the contact among the users are needed to be reconsidered. The temporary activities, Standing Pattern of Activities and repeated activities at the pedestrian street were precisely categorized. Among total of 252 types of researched activities, 95 of Standing Pattern of Activities were distinguished. This data shows that the pedestrian streets are not practically used in resident's daily routine. And among Standing Pattern of Activities the highly social activity often occurs. The present developers who understands that pedestrian street induces social contact and establishes community, the data can be important implications for them. The group of users who showed Standing Pattern of Activities had similar activities among all classifications. Compared to the teenagers who uses the site showing Standing & Repeated Pattern of Activities,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children have momentous and temporal activity characteristics. In other words, the pedestrian-only street does not conduct decisive role for the juveniles even though they are the frequent user of the site. At this present time where placing variety of activity resources to induce various activity when developing a site for children are taking place, after noticing that various activities does not always lead to Standing Pattern of Activities, other planning development programs are need to be considered. In relations between the Standing Patterns, physical and environmental resources, the research showed higher Standing Activity Patterns when site was developed with more resources. Standing pattern of activity is not doing paraller by moving activity, it is possessing partial territory or appear stillness activity. This result tell that standing pattern of activities appeared when securitied territory through the composition of resources. Through each activity mapping, total of 14 sites showed centralized activities and within the site, total of 14 Standing pattern of activities were found in 3 sites. From this study, Standing Activity Pattern can be defined as a type of identical activity occuring within the site and the total of 14 type of activities were categorized in 9 different categories; type of users, physical/environmental supporting resources, specification of location. The study proposes type of activity patterns conducted by the users of 9 Standing Activity Patterns mentioned above and 9 different sustainable daily life street patterns based on the fact of resources. Today, streets of our towns do not fully conducts its role as a external space of resident. Streets, as part of urban development, act as an important technical role, such as transit and linkage but it is most likely for dwellers to conduct their personal activities in the streets. It is certain that the streets are only a supporting element for the place where daily life take place such as playground, sport field, rest stops and etc. Despite the fact of these phase changes of the street patterns are taking place Standing and Repeated Activity Patterns are taking place. the 9 standing pattern of activities types as this context and study's result have a significant meaning for street plan that having functional characteristic that coordinating and linking, and provide a clue about solution to keep and to product little daily activities in steet for urban housing planner.

more

목차

제1장 서론 = 1
1.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 1
1.1.1. 연구의 배경 = 1
1.1.2. 연구의 목적 = 4
제2장 이론적 고찰 = 6
2.1. 가로 = 6
2.1.1. 가로의 개념 = 6
2.1.2. 가로 공간의 이용행태 및 개념의 변화 = 6
2.2. 보행자 전용도로 = 8
2.2.1. 주거지의 보행환경 특성에 관련된 연구 = 8
2.2.2. 신도시 주거지 계획에서 나타나는 보행자 전용도로 = 10
2.3. Behavior Setting = 16
2.3.1. Behavior Setting의 구성요소와 지속적인 행위 패턴 = 16
2.3.2. Behavior Setting의 조사 방법 = 18
제3장 연구 방법 = 19
3.1. 연구의 내용 = 19
3.2. 행위관찰 대상지 선정 = 20
3.2.1. 관찰조사 대상지 선정의 진행과정 및 방법 = 20
3.2.2. 관찰 보행자 전용도로의 선정 및 분석단위 = 27
3.3. 관찰조사의 방법 = 34
3.3.1. 관찰조사의 내용 = 34
3.3.2. 관찰조사의 방법 = 34
3.3.3. 조사 시기 및 시간 = 36
3.3.4. 관찰조사의 절차 = 37
제4장 연구결과 = 38
4.1. 보행자 전용도로에서의 행위 = 38
4.1.1. 대상지별 통행 빈도와 행위 빈도 = 38
4.1.2. 보행자 전용도로 행위의 그룹규모 = 39
4.1.3. 보행자 전용도로 행위자 특성 = 40
4.1.4. 행위의 사회적 성격 = 41
4.1.5. 행위유형에 따른 행위 빈도 = 45
4.2. Behavior Map = 52
4.2.1. Behavior Map 기입 방법 = 52
4.2.2. Behavior Map 분석 = 54
4.2.3. Activity Area = 59
4.3. 지속적 행동패턴 유형 = 62
4.3.1. 지속적 행동패턴 유형 도출 = 62
4.3.2. 지속적 행동패턴 유형과 자원 성격 분석 = 62
4.4. 지속적 행동패턴 분석 = 69
4.4.1. 대상지별 지속적인 행동 빈도 = 69
4.4.2. 행위자 그룹과 지속적 행동과의 관계 = 70
4.4.3. 사회적 행위와 지속적 행동과의 관계 = 71
4.4.4. 행위발생 위치와 지속적 행동과의 관계 = 72
4.4.5. 행위유형과 지속적 행동과의 관계 = 73
4.4.6. 이동 특성과 지속적 행동과의 관계 = 75
4.4.7. 자원 이용과 지속적 행동과의 관계 = 76
제5장 결론 = 78
제6장 Discussion = 85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