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교육대학원 유아교육전공 교육과정에 대한 요구 및 만족도 분석

초록/요약

본 연구의 목적은 교육대학원 유아교육 전공 대학원생들의 교육과정에 대한 요구와 만족도를 연구하고, 교육대학원의 요구 수렴에 대한 노력을 조사하여, 교육대학원 교육과정의 개선 방안을 모색하는 자료를 제시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 설정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대학원 유아교육 전공 교육과정에 관한 교육대학원생들의 요구는 무엇인가? 둘째, 교육대학원은 유아교육전공자의 요구를 어떻게 수렴하고 있는가? 셋째, 교육대학원 유아교육전공 교육과정에 대한 교육대학원생의 만족도는 어떠한가? 본 연구는 수도권 소재 유아교육 전공이 개설되어 있는 4개교 교육대학원의 재학생 및 졸업생을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연구에 사용된 질문지는 교육대학원 진학동기와 요구사항, 교육대학원측의 재학생 의견 반영, 또한 교육과정에 대한 만족도를 알아보기 위한 질문지로, 국내 관련연구에서 사용된 설문지와 교육인적자원부에서 2004년 교육대학원 평가 사업에 사용하였던 평가영역과 평가지표를 참고하여 연구자가 작성하였다. 본 연구는 2007년 10월 1일부터 10월 25일까지 약 3주간 실시하였으며, 총 회수된 125부의 설문지중 부적당한 설문 8부를 제외한 117부가 선정되어 연구에 사용되었다. 조사대상 교사들의 일반적 특성과 교육과정 구성에 관한 요구, 교육과정 운영에 관한 요구 및 교육과정구성, 교육과정 운영, 성적평가방법, 현장관련성, 논문작성, 전임교수 구성, 외부강사 구성과 관련한 만족도를 대해 알아보기 위해 빈도분석과 평균 및 표준편차를 구했다. 본 연구에서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대학원 유아교육전공 재학생 및 졸업생들은 교육과정 구성에 대해서 현장관련성이 높은 교육과정을 가장 많이 요구했다. 둘째, 교육과정 운영에 대해서는 학부보다 더 심화되고 확장된 내용의 수업이 이루어질 것을 제일 많이 요구했다. 셋째, 현장관련성에 대한 요구 조사에서는 유아교육 현장교사들의 요구를 확인하고 수렴해야 할 필요가 있음이 드러났다. 현장에서 실제 지도할 수 있는 과목과 최근 교육프로그램 소개과목 확대, 유아교육 현장 탐방 기회 제공에 대한 요구도 적지 않은 비율을 차지했다. 넷째, 성적평가 및 방법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자료를 토대로 성적이 평가되기를 원하고 있으며, 이와 함께 성적 평가에 관한 기준이 정확히 제시되기를 요구하고 있다. 다섯째, 논문 작성 및 지도에 대해서는 논문 작성 요령과 방법을 자세히 다루는 과목 설치에 대한 요구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또한 논문 작성과 관련한 지도교수의 자세한 지도 및 논문지도교수의 확보에 대한 요구도 많은 비중을 차지했다. 여섯째, 전임 교수 및 외부 강사 구성에 대해서 유아교육 현장경험과 연구경력을 가진 전임교수와 외부강사를 요구했다. 일곱째, 교육대학원이 대학원생들의 요구를 수집하는 정도는 보통수준으로 나타났으며, 요구수집 및 분석 방법으로는 설문조사가 가장 높은 퍼센트를 차지했다. 가장 바람직한 요구수집 방법은 자율적인 분위기의 참여광장을 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교육대학원 유아교육 전공 교육과정에 대한 세부 항목별 만족도에서는 교육과정 구성, 교육과정 운영, 현장 관련성, 성적평가 방법, 논문 지도 및 작성, 전임교수 및 외부강사 구성에 대한 만족도는 모두 보통수준으로 높지 않게 나타났으나 그중 논문 지도 및 작성에 대한 만족도가 다른 항목에 비해 다소 낮게 나타났다.

more

목차

Ⅰ. 서론 =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2. 연구 문제 = 5
Ⅱ. 이론적 배경 = 6
1. 유아교사의 현직교육과 교육대학원 = 6
2. 현대사회의 특징과 교육대학원 = 10
3. 교육대학원의 설립 목적과 기능 = 12
4. 교육대학원의 현황 = 19
5. 교육대학원의 문제점 = 23
Ⅲ. 연구방법 = 32
1. 연구대상 = 32
2. 연구도구 및 자료수집 = 33
3. 자료처리 및 분석 = 35
4. 연구의 제한점 = 35
Ⅳ. 연구결과 및 논의 = 36
1. 교육대학원 교육과정에 대한 요구사항 = 38
2. 교육대학원의 요구수렴정도 및 방법 = 43
3. 교육과정에 대한 만족도 = 46
Ⅴ. 요약 및 결론 = 48
1. 요약 및 결론 = 48
2. 제언 = 51
참고문헌 = 55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