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초등학교 통합학급 교사의 교사효능감과 교수적 수정 실행정도의 관계

초록/요약

장애학생의 통합교육이 보편화됨에 따라 통합된 장애학생의 대부분이 특수학급이 아닌 통합학급에서 많은 시간을 보내고 있는 상황이다. 그러므로 장애학생이 통합학급에서 또래와 어울리고 적절히 상호작용을 하며 각자의 교육적 요구에 맞는 수업을 받고 다양성을 수용하고 이해하도록 하는 통합교육의 실행은 많은 부분이 통합학급 교사의 역량에 달려있다. 그러므로 통합학급 교사가 학생의 수행능력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능력을 가졌다고 믿는 교사 개인의 신념인 교사 교능감은 매우 중요하다. 또한 통합교육 현장에서 많은 시간을 담당하는 통합학급 교사가 통합교육에 대한 신념을 가지고, 물리적ㆍ사회적 통합과 더불어 교육 과정적 통합을 이루기 위해서 통합학급의 교육과정에 대한 교수적 수정의 적용이필요하다. 따라서 교육과정적 통합을 추구하는 시대적 상황에서 통합학급 교사의 교사효능감과 교수적 수정 실행정도를 파악하고, 교사효능감과 교수적 수정 실행정도를 높일 수 있는 방법을 분석할 필요성이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장애아동의 통합교육에 대한 통합학급 교사의 교사효능감과 교수적 수정 실행정도를 알아보고, 교사효능감과 교수적 수정 실행정도에는 어떤 관계가 있는지를 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이 연구를 통해 장애아동의 통합 교육에 중요한 역할을 감당할 통합학급 교사의 교사효능감에 대한 조사와 현재 통합학급 교사들이 사용하고 있는 교수적 수정 실행정도를 조사하여 효율적이 통합학급 운영방안을 제시하며 통합학급 교사 교육의 방향에 대한 자료를 제시하는데 의의가 있다. 본 연구는 초등학교 통합학급 교사의 교사효능감과 교수적 수정 실행정도간의 관계를 조사하기 위해 수원시 교육청 내에 특수학급이 설치된 초등학교 42개교의 통합학급 교사를 대상으로 하였다. 총 210부의 설문지를 배부하여 171부(81%)의 설문지가 회수 되었으며, 그 중에서 무성의하거나 무응답이 있는 설문지 5부를 제외하고 166부의 설문지를 결과 분석에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한글 SPSS 10.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배경변인별로 평균과 표준편차를 구하였으며, 일원변량분석과 Tukey-HSD 분석, t 검정을 실시하였다. 연구문제 다에서 교사효능감과 교수적 수정 실행정도의 관계는 Pearson의 상관관계 분석으로 알아보았다. 통합학급 교사의 교사효능감을 측정하기 위하여 김주혜(2002)의 연구에서 사용한 총18문항 척도를 사용하였고, 교수적 수정 실행정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강경숙(2006)의 통합을 위한 관련 변인 간 관계 모형 개발 및 검증 연구에서 사용한 측정도구 중 교수적 수정에 해당하는 부분 총 17문항 척도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통합학급 교사의 교사효능감은 보통 수준으로 나타났고, 교사의 배경변인 중 교직경력에 따른 교사효능감은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그러나 통합학급 담당경력이 많을수록, 특수교사와의 협의빈도가 높을수록, 특수교육 관련 연수경험이 있는 경우, 교수적 수정 연수경험이 있는 경우, 그리고 협력교수 실행경험이 있는 경우에 교사효능감은 유의미한 차이로 높게 나타났다. 둘째, 통합학급 교사의 교수적 수정 실행정도는 물리·사회적 환경 조성을 교수내용 및 방법수정보다 더 많이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사의 배경 변인 중 교직경력이나 특수교육 관련 연수경험은 교수적 수정 실행정도에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통합학급 담당경력이 많을수록, 특수교사와의 협의빈도가 높을수록, 교수적 수정 연수경험이 있는 경우, 그리고 협력교수 실행경험이 있는 경우 교수적 수정 실행정도는 유의미한 차이로 높게 나타났다. 셋째, 통합학급 교사의 교사효능감과 교수적 수정 실행정도는 정적인 상관 관계가 나타났다. 이는 통합학급 교사의 긍정적인 교사효능감은 교수적 수정 실행정도를 높일 수 있다고 할 수 있다. 이 연구에서 교사효능감이 높은 교사가 교수적 수정을 더 많이 사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으므로, 교수적 수정을 통합학급 교육과정 운영에 적용할 수 있도록 통합학급 교사의 교사효능감을 높일 필요성이 있다. 교사효능감은 통합교육경력, 연수경험, 특수교사와의 협의빈도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으므로, 특수교사와의 협력 체제를 강화하여 교사효능감을 높일 수 있는 방법이 행정적, 제도적으로 마련되어야함을 시사한다. 후속연구에서는 교사효능감을 높이기 위한 실질적이고 구체적인 교사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more

목차

Ⅰ. 서론 =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2. 연구문제 = 5
3. 용어의 정의 = 5
Ⅱ. 이론적 배경 = 7
1. 통합학급 교사의 교사효능감 = 7
가. 자기 효능감 = 7
나. 교사효능감 = 8
다. 통합학급 교사의 교사효능감 = 10
2. 교수적 수정 = 11
가. 교수적 수정의 개념 = 11
나. 교수적 수정의 유형 = 12
다. 교수적 수정과 협력교수 = 15
라. 교수적 수정의 적용 = 17
Ⅲ.연구 방법 = 19
1. 연구 대상 = 19
2. 연구 도구 = 21
3. 연구 절차 = 23
4. 자료 처리 = 24
Ⅳ. 연구결과 및 논의 = 25
1. 연구결과 = 25
2. 논의 = 48
Ⅴ. 결론 및 제언 = 54
<참고문헌> = 57
부록 = 63
표목차 = 20
<표-1> 설문지 응답교사의 배경변인 특성 = 20
<표-2> 설문지 구성과 내용 = 21
<표-3> 교사효능감에 대한 영역별 문항 구성내용 = 22
<표-4> 교수적 수정 실행정도에 대한 구성과 신뢰도 = 23
<표-5> 교사효능감에 대한 문항별 평균과 표준편차 = 26
<표-6> 교직경력에 따른 교사효능감의 평균과 표준편차 = 27
<표-7> 교직경력에 따른 교사효능감의 분산분석 결과 = 27
<표-8> 통합학급 담당경력에 따른 교사효능감의 평균과 표준 편차 = 28
<표-9> 통합학급 담당경력에 따른 교사효능감의 분산분석 결과 = 28
<표-10> 통합학급 담당경력에 따른 교사효능감의 사후분석 결과 = 29
<표-11> 특수교사와의 협의빈도에 따른 교사효능감의 평균과 표준 편차 = 30
<표-12> 특수교사와의 협의빈도에 따른 교사효능감의 분산분석 결과 = 30
<표-13> 교사 협의빈도에 따른 교사효능감의 사후분석 결과 = 31
<표-14> 통합학급 교사의 특수교육 관련 연수경험에 따른 차이 = 32
<표-15> 교수적 수정에 대한 연수경험에 따른 차이 = 33
<표-16> 협력교수 실행경험에 따른 차이 = 33
<표-17> 문항별 교수적 수정 실행정도의 평균과 표준편차 = 35
<표-18> 교직경력에 따른 교수적 수정 실행정도의 평균과 표준편차 = 36
<표-19> 교직경력에 따른 교수적 수정 실행정도의 분산분석 결과 = 37
<표-20> 통합학급 담당경력에 따른 교수적 수정 실행정도의 평균과 표준 편차 = 38
<표-21> 통합학급 담당경력에 따른 교수적 수정 실행정도의 분산분석 결과 = 38
<표-22> 통합학급 담당경력에 따른 교수적 수정 실행정도의 사후분석 결과 = 39
<표-23> 특수교사와의 협의빈도에 따른 교수적 수정 실행정도의 평균과 표준편차 = 41
<표-24> 특수교사와의 협의빈도에 따른 교수적 수정 실행정도의 분산분석 결과 = 41
<표-25> 교사 협의빈도에 따른 교수적 수정 실행정도의 사후분석 결과 = 42
<표-26> 특수교육 관련 연수경험에 따른 차이 = 44
<표-27> 교수적 수정에 대한 연수경험에 따른 차이 = 45
<표-28> 협력교수 실행경험에 따른 차이 = 46
<표-29> 교사효능감과 교수적 수정 실행정도 상관관계 = 47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