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문장제에서 수학 문제해결력과 언어능력의 상관관계 연구 : 성별에 따른 차이

초록/요약

본 연구를 통하여 집단 간의 수학 문장제 문제해결력과 언어적 능력을 분석하여 보고 두 능력 사이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봄으로써 수학 문장제를 해결하는데 있어 언어적 능력이 중요함을 인지하고 수학적 문제해결력과 언어능력의 신장을 위해 언어교육자와 수학교육자들 간의 협조와 공동연구의 필요성을 강조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선정한 연구문제와 가설은 다음과 같다. 본 연구는 성별의 언어적 능력과 수학 문장제에서 수학문제해결력 간의 차이와 상관관계를 알아보려고 하는 것으로 연구 문제와 가설은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1. 성별에 따른 차이 검증 가설 1. 남학생 집단과 여학생 집단은 수학 문장제에서 수학 문제해결능력에 차이가 있는가? 가설 2. 남학생 집단과 여학생 집단은 언어능력에 차이가 있는가? 연구문제 2. 성별에 따른 상관관계 가설 3. 남학생 집단과 여학생 집단은 수학 문장제에서 수학 문제해결력과 언어능력의 상관관계가 있는가? 본 연구의 대상은 경북 구미시에 위치한 일반계 중학교 2곳의 학생 73명으로 연구대상으로 선정된 학생들의 수학 문장제 문제해결력과 언어적 능력의 상관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수학 문장제에 관한 검사지’, ‘언어능력에 관한 검사지’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분석은 문항의 양호도 분석 중 문항 내적 일관성 신뢰도와 변별도를 구하기 위하여 SPSS 12.0K를 사용하여 Cronbach α를 구하였고, 내적 타당도와 난이도를 구하기 위하여 문항 반응 이론 중 Rasch의 1-모수 문항 반응 모형에 근거하여 BIGSTEPS(Livacre & Wright, 1994, 2002)를 사용하여 모형의 적합도를 검증하였다. 수학 문장제와 언어 능력과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한글 SPSS 12.0K를 이용하여 빈도, t-검증, 상관관계 분석 등을 하였다.

more

목차

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 문제 = 3
C. 용어의 정의 = 4
D. 연구의 제한점 = 5
E. 기대되는 효과 = 6
Ⅱ. 이론적 배경 = 7
A. 문장제 의미 = 7
B. 문제해결 과정 = 17
C. 언어능력 = 25
Ⅲ. 연구 방법 및 절차 = 29
A. 연구 대상 = 29
B. 연구 도구 = 29
C. 연구 방법 및 절차 = 36
D. 자료 분석 = 38
Ⅳ. 결과 및 해석 = 39
A. 유형별 검사 도구에 대한 추리 통계 = 39
B. 상관관계 분석 = 55
Ⅴ. 결론 = 62
A. 요약 = 62
B. 결론 및 논의 = 63
C. 제언 = 66
참고문헌 = 68
부록 = 71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