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영상콘텐츠를 활용한 문학 교육 방법 연구 : 김수영의 <풀>과 고전소설 <토끼전>을 중심으로

초록/요약

우리를 둘러싸고 있는 다양한 매체 환경의 변화는 우리의 생활양식을 바꾸어 놓고 있다. 전자 메일을 통해 정보를 주고 받고, 메신저를 통해 즉각적인 소통이 가능한 시대에, 우리의 생활양식은 더 빠른 속도로 바뀌어져 가고 있다. 이러한 사회문화적 변화는 우리의 교육 현장의 모습도 서서히 변해 가게 만들었다. 칠판과 교과서만을 중심으로 하던 교실 수업 현장은 컴퓨터의 사용을 필수적으로 요구하게 되었고, 그만큼 교사에게 요구하는 능력 또한 기존 사회의 것과 많이 달라졌다. 즉, 단순히 머리 속에 있는 지식을 말로 전달하는 데 그치는 것이 아니라, 학생들의 흥미와 요구수준을 고려하여 다양한 소통 채널을 통해 제공하는 것이 당연시되고 있는 실상이다. 책과 같은 인쇄매체를 통해 소통을 하는 것이 당연하게 여겨졌던 문학 분야에서도 이러한 변화는 무시할 수 없는 현상이 되었다. 전자매체를 활용한 책보기가 활성화 되고, 문학과 대중매체의 전환 양상이 늘어가고 있는 것이 그 예가 된다고 하겠다. 이러한 변화는 우리 교육현장에서 문학 교육 방법이 변화되어야 한다는 필요성을 제기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본 논의는 이러한 필요성에 근거하여 보다 실제적이고 활용 가능한 측면에서 문학 교육 방법을 논의하는 데 중점을 두었다. 즉, 학생들의 수준을 고려하고, 교수학습 목표에 적절한 교수학습 매체를 제작하고, 이를 적절히 활용하는 것이 본 논의에 주요한 목표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본 논의는 크게 세 가지의 부분으로 나누어서 살펴보았다. 먼저 본 논의에서 영상콘텐츠에 중점을 두어 교수학습 매체를 논의하려는 만큼, 국어교육에서 매체교육이 차지하는 위치에 대하여 논의할 필요성이 있었다. 따라서 여기서는 매체교육의 개념과 의의, 교수매체의 종류와 특성, 매체교육의 범주, 7차 교육과정에서의 매체교육의 수용양상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이러한 기존 연구의 내용을 토대로 본 논의에서 제작 활용하려는 영상콘텐츠의 성격을 도구적 매체교육, 전언적 매체교육, 상호소통적 매체교육으로 규정하였다. 특히 고전소설 <토끼전> 콘텐츠는 토의학습을 이끌어가기 위한 도구로써, 도구적 매체교육에 해당하고, 김수영의 <풀>콘텐츠는 비평적 성격을 가진 콘텐츠이기 때문에 전언적 매체교육과 상호소통적 매체교육의 성격을 가진다고 살펴보았다. 두 번째 논의에서는 영상콘텐츠 제작에 관하여 이야기 해 보았다. 여기에서는 읽기형 영상콘텐츠의 원리에 토대를 두어 김수영의 <풀>과 고전소설 <토끼전>이 어떠한 방향을 제작되었는지 살펴보았다. 영상콘텐츠 제작에 있어 가장 중요한 것이 교수학습 목표의 설정이라 할 수 있으며, 이를 토대로 교수학습 내용을 교사의 의도에 적합하도록 구성하도록 해야 한다. 즉, 메시지 전달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도록, 스토리, 영상, 음악을 적절히 배치하는 게 무엇보다 중요하며, 여기서 교사의 능력이 요구된다고 살펴보았다. 그리고 이러한 원리에 입각하여 김수영의 <풀>과 고전소설<토끼전>의 제작과정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마지막 논의에서는 위에서 제작한 두 가지 영상콘텐츠를 실제 교수학습 장면에 적용하는 것에 대하여 이야기 하였다. 먼저 운문문학과 산문문학에서 영상콘텐츠의 활용의 필요성에 대하여 살펴보았는데, 이는 영상콘텐츠를 수업장면에 적용하는 것에 대한 당위성을 부여해 준다고 할 수 있다. 김수영의 <풀>의 경우 학생들의 비평 활동을 유도할 수 있는 ‘교사 시범보이기’자료로써 활용을 하였다. 즉, 학생들은 교사의 비평작품인 영상콘텐츠를 제작한 후 다양한 관점에서 비판적으로 논의해 보고, 이를 토대로 각자의 생각을 써보는 활동을 해 보았다. 그리고 고전소설 <토끼전> 콘텐츠는 이 작품이 적층문학이라는 성격에 입각하여 <토끼전>의 다양한 결말 양상을 당대 시대 의식에 결부해 토의해보고, 현 시대에 맞는 결말을 작성해보는 활동을 유도하는 학습 자료로써 활용하였다. 즉, 학생들의 능동적인 협동 학습을 유도할 수 있는 흥미로운 교수학습 자료로써 활용된 것이다. 이렇게 본 논의는 보다 구체적인 작품에 중점을 두어 실제 영상콘텐츠를 제작하고, 이를 활용해 보는 방안에 대하여 이야기해 보았다. 기존의 매체 관련 논의들은 기존에 제작된 영화나 드라마 등의 자료를 활용해 문학 교육을 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이는 <춘향전>같이 활발히 매체 전환이 일어난 작품의 경우는 활용 가능성이 크지만, 그렇지 않은 작품들에는 한계가 있다는 데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논의는 교사의 매체 제작에 큰 중점을 두고 논의했다는 데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또한 교사가 구체적인 교수학습 목표 하에 적절한 매체를 제작하여 수업 현장에 활용하는 것은 교수 학습의 효과성에 있어서도 매우 긍정적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즉, 학생들은 자기를 가르치는 교사의 노력에 큰 의의를 두게 되고, 이를 통해 더 큰 주의집중 효과를 노릴 수 있을 것이라 본다. 다만 본 논의가 앞으로도 계속해서 빛을 발하기 위해서는 교사의 끊임없는 매체 제작과 활용에 관한 관심이 촉구되어야 할 것이다. 기존에 제작되어 있는 자료를 활용하는 것과 달리 교사가 직접 매체를 제작한다는 것은 엄청난 노력과 시간이 소비된다. 이는 교사들이 이러한 방안을 꺼리는 주요한 요인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다양한 교수학습 환경을 제공하고, 학습자의 능률적인 학습을 유도한다는 데 큰 의의를 두고 더 많은 관심과 노력을 기울인다면 충분히 활용가능성이 높은 방안이라고 할 수 있겠다. 이렇게 본 논의는 기존 문학 교육에 새로운 교수학습 방향을 제공했다는 데 큰 의의를 갖는다고 보며, 다음 논의에서도 보다 구체적이고 실제적인 교수학습 방안에 마련되는데 좋은 토대가 될 수 있기를 바란다.

more

목차

I. 서론 = 6
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 6
2. 선행 연구 검토 = 9
3. 연구 내용과 방법 = 11
Ⅱ. 국어교육에서의 매체교육의 위치 = 13
1. 매체교육의 개념과 의의 = 13
2. 교수매체의 종류와 특성 = 14
3. 매체교육의 범주 = 16
4. 7차 교육과정에서의 매체교육의 수용양상 = 18
Ⅲ. 영상콘텐츠의 제작 방향 = 24
1. 교수학습 자료로서 영상콘텐츠 제작 = 24
1.1 영상매체 선정의 의의 = 24
1.2 읽기형 영상 콘텐츠의 원리 = 25
1.3 읽기형 영상콘텐츠의 문제점과 대안 = 28
2. 영상콘텐츠 제작의 실례 = 30
2.1. 김수영의 <풀>의 경우 = 30
2.2. 고전소설 <토끼전>의 경우 = 39
Ⅳ. 영상 콘텐츠를 활용한 문학 교육의 실제 = 51
1. 운문 문학의 경우 = 51
1.1 운문 문학 교육에서 영상 콘텐츠 활용의 필요성 = 51
1.2 영상 콘텐츠를 이용한 수업의 실제 = 53
2. 산문 문학의 경우 = 57
2.1 산문 문학 교육에서 영상 콘텐츠 활용의 필요성 = 57
2.2 영상 콘텐츠를 이용한 수업의 실제 = 58
Ⅳ. 결론 = 64
참고문헌 = 68
부록1. 김수영 <풀> 영상 자료 = 69
부록2. 고전소설 <토끼전> 영상 자료 = 72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