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초등영어교육에서의 문화 지도에 대한 현황과 요구 분석 : GEPIK 원어민보조교사와 한국인 교사를 대상으로

초록/요약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에서 영어를 가르치고 있는 원어민보조교사, 그들과 협동수업을 하고 있는 한국인 교사들이 문화 교육의 필요성을 얼마나 인식하고 현장에서 문화 지도를 하고 있는지를 분석하고, 그들의 요구를 조사해봄으로써 현장에서 협동 수업을 하고 있는 원어민보조교사와 한국인 교사의 문화 교육에 대한 괴리감을 줄이고, 초등 영어교육에서의 효과적인 문화지도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 연구를 위하여 GEPIK 소속 원어민보조교사 35명, 원어민보조교사와 협동수업을 하고 있는 한국인교사 52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통해 이들의 문화지도에 대한 인식, 문화지도의 현황 및 요구를 알아보았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교에서 원어민보조교사와 협동 수업을 하고 있는 한국인 교사들은 연령별, 영어지도경력별, 영어 연수 시간 등에 관계없이 과거 학교에서 영어를 배울 때 영어권 문화에 대해 배운 경험이 적었으며 초등영어 교사 연수에서 영어권 국가의 문화나 지도방법에 대해 배운 적이 있다고 답한 사람이 25%에 불과하여 영어권 문화나 지도방법에 대해 배운 경험이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영어권 문화에 대한 지식을 묻는 질문에서 한국인 교사 스스로가 영어권 문화에 대해 이해가 부족함을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수업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초등학교 문화 지도의 실태를 알아본 결과 한국인 교사와 원어민보조교사 모두 영어권 문화를 가르치고 있다고 답한 교사는 많았으나 문화 지도 시 어려움을 느낀다고 응답하였다. 그 이유로, 문화지도 관련 자료의 부족, 교과서나 교사용 지도서에 제시된 문화 요소의 부족을 꼽았다. 한국인 교사는 교사 자신이 영어권 문화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기 때문에 문화 지도 시 어려움을 느낀다고 응답하였다. 또한 문화지도는 수업 중 필요한 경우에만 하고 있다고 답하였으며 그 이유로 시간의 제약, 자료의 부족 등을 꼽았다. 따라서 방과 후 시간을 활용한 영어권 문화 프로젝트 학습 등 수업 시간 외 자기주도적 과제 개발을 통한 시간 제약의 문제 해결이 필요하며 문화 관련 내용 및 지도 방법을 교과서나 교사용 지도서에 제시하고 문화 관련 자료 제공, 문화 연수 기회 확대 및 제공 등 정책적인 차원에서 배려와 지원이 뒷받침되어야 하겠다. 셋째, 문화지도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을 살펴보면, 한국인 교사는 영어권 문화 지도를 해야 하는 이유로 ‘영어로 의사소통을 할 때 오해가 없게 하기 위해서’를 가장 큰 이유로 꼽았으며 원어민보조교사는 ‘문화적 차이를 이해하기 위해서’를 가장 큰 이유로 꼽았다. 또한 초등영어 문화 교육의 내용 중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요소로 한국인 교사는‘영어권 사람들의 가치관, 관습, 행동 등’이라고 주로 답한 반면, 원어민보조교사는 ‘영어의 언어적 표현’과 ‘영어권 사람들의 가치관, 관습, 행동 등’을 꼽았다. 한국인 교사와 원어민보조교사 모두 언어와 문화의 불가분의 관계와 문화 지도의 중요성에 대해 인식하고 있었다. 문화지도에 대한 요구를 살펴본 결과, 한국인 교사와 원어민보조교사 모두 문화지도를 위한 대중매체나 관련 자료의 보급이 필요하다는 것과 원어민보조교사의 확보에 대해 의견을 같이 하였으나 영어권 문화 지도를 위한 교사의 자격에 대해서는 의견을 달리하였다. 한국인 교사는 영어권 문화 지도를 위해 한국인 교사가 먼저 영어권 문화에 대해 이해를 하고 지식을 쌓고 문화 지도에 대한 방법을 배우고 자격을 갖춘 후에 문화 지도를 할 수 있다고 여기는 반면, 원어민보조교사는 교사가 문화지도를 하기 위해 특별한 자격을 갖출 필요가 없다는 의견을 보였다. 한국인 교사와 원어민보조교사가 문화 지도 내용, 방법, 자료 등에 대한 충분한 사전 협의를 하고 서로 다른 영어권 문화에 대한 지식, 문화 지도에 대한 서로 다른 견해 등을 나눈다면 보다 효과적인 문화지도가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이와 더불어 초등 영어 교육이 잘 이루어지기 위해 정책적인 차원에서 배려와 지원이 뒷받침이 된다면 우리의 영어 교육의 질은 한 단계 더 높아질 것이다.

more

목차

Ⅰ. 서론 = 1
1.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1.2. 연구의 제한점 = 2
1.3. 연구의 구성 = 3
Ⅱ. 이론적 배경 = 5
2.1. 문화의 정의 = 5
2.2. 언어와 문화의 관계 = 7
2.3. 문화지도의 필요성 = 11
2.4. 초등영어 교육과 문화교육 = 15
Ⅲ. 연구방법 = 19
3.1. 연구대상 = 20
3.2. 조사도구 = 23
3.3. 연구절차 및 분석방법 = 25
Ⅳ. 연구결과 및 논의 = 26
4.1. 교사들의 영어권 문화에 대한 지식 정도 = 27
4.2. 수업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초등학교 문화지도의 실태 = 34
4.2.1. 한국인교사의 초등학교 문화지도의 실태 = 34
4.2.2. 원어민보조교사의 초등학교 문화지도의 실태 = 43
4.3. 문화지도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및 요구 = 51
4.3.1. 한국인교사의 문화지도에 대한 인식 = 51
4.3.2. 원어민보조교사의 문화지도에 대한 인식 = 56
4.3.3. 문화지도에 대한 인식 및 요구 비교 = 61
4.4. 논의 = 71
Ⅴ. 결론 및 제언 = 74
참고문헌 = 78
부록1. 한국인교사 대상 설문지 = 80
부록2. 원어민보조교사 대상 설문지 = 88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