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계부모·전실자식 갈등의 교육적 활용방안

초록/요약

본고는 계부모·전실자식의 갈등이 드러나는 작품을 살펴봄으로써 계부 모에 대한 부정적 시각을 탈피하고,그 교육 방안으로 역할놀이와 비판적 읽기를 토대로 한 올바른 문학교육을 추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그 첫 번째로 계부모·전실자식 간 갈등을 교육내용으로 삼기 위해,세 작품을 선정했다.고전소설 <장화홍련전>과 드라마 <천국의 계단>,그리 고 영화 <장화,홍련>은 주인공의 죽음과 더불어 가족의 해체에 이르는 비극적 결말을 가지고 있고,계모와의 갈등이 잘 드러난다.가족 간에 일 어나는 갈등과 해결양상을 보여주는 드라마 삼각형 구도를 적용하여 분석 하였고,이 구도로 작중 인물을 ‘희생자’,‘박해자’,‘구출자’로 분류했다.그 리고 고전소설 <장화홍련전>과 드라마 <천국의 계단>은 많은 선행연구 에서 다룬 갈등의 평면적 분석에서 벗어나 시간의 흐름에 따른 서사적 분 석을 기초하여 초기,중기,말기로 나누어 인물들 간의 애정관계와 갈등관 계를 살펴보았다. 다음으로 역할놀이는 FannieShaftel&GeorgeShaftel의 역할놀이 단계 를 수정하여 8단계로 나누어 세 작품의 역할놀이 단계를 구현하였다.고 전소설 <장화홍련전>은 소설이 주는 부정적 영향을 비판하고,나아가 계 부모에 대한 편견을 완화하고 계부모 가정에 대한 올바른 시각을 목적으 로 역할놀이 모형을 구현하였다.현대의 계부모 가정을 살펴 볼 수 있는 드라마 <천국의 계단>은 학습자들이 실제 자신이 계부모 가정에 속한다 면 인물들의 면모를 어떻게 형상화할 것인지를 중심으로 구현하였다.주 인공의 의식의 흐름에 따라 전개되는 영화 <장화,홍련>은 주인공의 계 모에 대한 편견이 가정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 학습자들은 역할놀이를 통하여 내면화할 수 있다.또한 현대사회에서 충분히 일어날 수 있는 계 모의 영입과 전실자식의 반항 등을 연기하면서 이 가정의 극복방안에 대 해 생각해 볼 수 있다. 비판적 읽기를 통해 학습자들은 계부모에 대한 편견을 완화하고 계부모 가정에 대해 올바른 시각을 갖출 수 있다.첫 번째는 계모의 처벌은 새로 운 가정의 파탄으로 이어지며,이것이 과연 계모가 이탈된 가정의 행복으 로 이어질 수 있는지에 대해서 회의하였다.두 번째는 아버지의 소극적 역할에 대한 비판으로 모든 의사결정권을 가지고 있는 배좌수의 무능과 우유부단함과,드라마와 영화에서 보여주었던 아버지의 방관적 태도를 비 판하였다.세 번째 제3자에 의한 해결과 결말처리를 비판하였다.네 번째 는 재혼 가족에 대하여 가족관계,가족의 경계와 역할 모호성,그리고 가 족 구성원의 감정 구조의 측면에서 제반 문제들을 검토하였다.마지막으 로 새롭게 형성된 계부모 가정의 행복은 모든 가족구성원의 노력이 필요 하며 그중에서도 비교적 약자에 위치한 전실자식보다는 계부모가 먼저 다 가서야 함을 설명하였다.요컨대 작품에서의 계모 또한 전처 자식에 대한 편견을 앞세우는데,상대적으로 우위에 있는 계모가 먼저 관심을 가지고 아이들이 자신을 받아들일 수 있도록 노력했다면 행복한 계부모가정이 되 었을 것으로 본다. 이상으로 계부모·전실자식의 교육 방안을 살펴보았다.교육 방안이 역할 놀이와 비판적 읽기에 한정한 것이 제한적이지만,작품에 대한 입체적 분 석과 더불어 교육 방안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큰 의의를 둔다.

more

목차

Ⅰ. 서론 = 1
1. 문제 제기 = 1
2. 선행연구 검토 = 2
3. 연구 범위 및 연구 방법 = 7
Ⅱ. 계부모·전실자식 갈등의 작품별 형상화 양상 = 9
1. 고전소설 <장화홍련전>의 경우 = 12
2. 드라마 <천국의 계단>의 경우 == 24
3. 영화 <장화, 홍련>의 경우 = 32
Ⅲ. 계부모·전실자식 갈등의 교육방안 = 42
1. 역할놀이를 통한 교육방안 = 42
2. 비판적 읽기를 통한 교육방안 = 56
Ⅵ. 결론 = 68
참고문헌 = 71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