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유치원교사의 직무 및 수업이외의 스트레스와 교육활동간의 관계 연구

초록/요약

본 연구의 목적은 유치원 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교육활동 간의 관계와 유치원 교사의 수업이외에 오는 직무스트레스와 교육활동과의 관계를 밝히고자 하였다. 유치원 교사의 직무스트레스를 측정하기 위하여 본 연구자는 본 연구에서는 김지현(1994)이 6개의 요인으로 수정한 도구를 토대로 사용하였다. 유치원 교사의 교육활동을 조사하기 위하여 Sreeffy와 Jones(1980)의 교육활동에 관한 설문지를 유치원 조직에 맞도록 재구성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경기도 공·사립유치원 교사 122명이었으며, 수집된 자료는 평균, 표준편차, 일원변량분석, 상관관계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유치원 교사들의 직무스트레스 정도는 전체 평균점수는 보통수준으로 나타났다. 가장 스트레스가 높게 나타는 것으로는 ‘업무관련 요인’이었으며, 두 번째가 ‘원아들과의 관계’이며, 스트레스를 비교적 적게 느끼는 요인은 ‘개인 관련 요인’이었다. 둘째. 유치원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교육활동과의 관계에서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요인별로 대부분 높은 역 상관을 나타내어 직무스트레스가 높으면 교육활동의 수준이 떨어짐을 알 수 있었다. 각 요인별로 살펴보면 체벌빈도는 직무스트레스요인들과의 상관관계를 거의 갖고 있지 않고 있으며 직무 스트레스요인 중에서는 수입 요인이 교육활동 요인과의 상관관계에서 낮게 나타났다. 그러나 개인관련 요인과 행정적 지원관련 요인은 교육활동과의 높은 역 상관을 나타냈다. 셋째, 유치원 교사의 수업시간이외에 부담을 느끼는 업무와 교육 활동 간의 관계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치원교사들이 수업이외에 부담을 느끼는 업무를 살펴보면 유치원 교사가 수업이외에 부담을 느끼는 업무를 총 9개의 요인으로 분류하였다. 요인별로는 다음날의 수업준비, 수업활동 평가 및 아동평가기록, 환경정리 및 청소, 등하교 지도, 학부모 면담, 행정적인 사무처리, 교직원회의, 교육계획 및 교구제작, 기타로 나누었다. 그 중 빈도수가 10이하인 항목은 제외하였다. 유치원 교사가 수업이외에 업무 중 가장 부담을 느끼는 요인으로는 학부모 면담(20.5%)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그 다음으로는 행정적인 사무처리(19.7%), 수업활동 평가 및 아동평가 기록(18.0%)으로 나타났다. 가장 부담을 적게 느끼는 근무내용은 교직원회의(2.5%)임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연구에서는 경기도 공·사립 유치원교사들을 대상으로 이루어졌지만, 공·사립 유치원교사의 직무스트레스의 차이검증, 또는 유치원교사의 직무스트레스 대처방법에 관한 후속 연구가 심층적으로 이루어졌으면 한다.

more

목차

I . 서론 = 6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6
2. 연구문제 = 11
3. 연구의 제한점 = 11
II. 이론적 배경 = 12
1. 교사의 직무스트레스 개념 및 요인 = 12
1) 교사의 직무스트레스 개념 = 12
2) 직무 스트레스의 요인 = 15
2. 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교육활동과의 관계 = 18
3. 교사의 직무와 수업이외의 근무활동 = 19
4. 직무활동의 적정화 = 22
III.연구방법 = 25
1. 연구대상 = 25
2. 연구도구 = 27
1) 유치원 교사의 직무스트레스 측정 도구 = 27
2) 유치원 교사의 교육활동 측정도구 = 28
3) 수업시간이외의 근무활동 측정도구 = 29
3. 자료 분석 = 30
IV. 연구 결과 및 해석 = 32
1. 유치원 교사의 직무스트레스 정도 = 32
2. 유치원 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교육활동 간의 상관관계 = 33
3. 유치원교사가 수업시간이외 부담을 느끼는 직무스트레스 내용과 교육 활동 간의 관계 = 36
V. 논의 및 결론 = 39
1. 논의 = 39
2. 결론 = 41
3. 제언 = 43
참고문헌 = 44
부록 = 47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