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중등 영어인증제 및 쓰기 영역 문항개발에 대한 연구

초록/요약

본 연구를 시행함에 있어 아래와 같은 제한점이 있었다. 첫째는, 연구 대상자의 제한이다. 본 연구를 시행함에 있어 경기도 전역의 모든 고등학교 학생들을 표집하지 않은 까닭에 시험 결과가 모든 시도, 중소 도시 모든 학생들의 표본 결과로 판단하기는 조금 어려운 상황이다. 둘째는, 경기도 영어 인증 시험이 기존의 수학 능력 시험을 대신할 수 있을 만큼의 기능을 가진 영어 전체의 듣기, 말하기, 읽기, 쓰기 기능들 모두를 정확하게 평가할 수 있을 만큼의 영어 인증 시험 만의 독특하고 새로운 유형의 문제가 다양하게 출제되지 않았다는 점이다. 현재 교육청 단위의 학생을 대상으로 한 학업 성취도 평가가 연간 4회(고등학교 1,2학년 기준) 내지 6회(고등학교 3학년) 실시되고 있는 현실에서 ‘또 다른 성취도 학력 평가가 될 수 있다’ 는 우려를 낳을 수 있다고 생각된다. 셋째는, 평가의 결과에 대한 feedback이 부족한 점이다. ‘평가’는 항상 결과를 가지고 개인의 학습 방법이나 동기를 불러일으키는 긍정적인 요소가 있다. 현재의 영어 인증 시험에 대한 학생들의 반응은 일선 모의고사에 임하는 태도보다 객관적인 면에서 문제를 푸는 성실성이 많이 떨어진다. 즉, 시험에 대한 확실한 평가 결과의 반영과 인센티브(incentive)가 부족한 상황에서 학생들 스스로가 끝까지 문제를 풀려고 하는 의지가 미약할 수 있기 때문에 시험 성적 결과가 학생들의 영어실력을 실제로 나타낼 수 있다고 보는 점은 다소 부정적일 수 있다. 넷째는, 문항에 대한 확실한 평가 방법 기준이 마련되어 있어야 한다. 현재의 영어 인증 시험은 출제 교사들이 위촉을 받아 일정한 기간 동안 문제를 출제하고 합숙을 통해 문항을 선정하는 방식으로 준비된다. 현재 국가단위의 출제, 평가방식인 기존의 수능출제 방식과 크게 다를 것이 없다. 따라서 문제 은행식이나, 앞으로 국가가 지향하려는 말하기와 쓰기 평가가 IBT(Internet Based Test)형식으로 되기 위해서는 다양한 좋은 문제들을 미리 출제해 두고 모아서 선별 출제하는 문제은행 방식이 되어야 하고, 단기간이 아닌 장기간의 문항 선정 과정이 필요하다 생각된다. 영어의 평가 영역이 ‘읽기’와 ‘듣기’ 위주의 과정에서 ‘말하기’와 ‘쓰기’를 강조하는 과정으로의 변화하고 있는 시대적인 흐름 속에서 중고등학교 교실 현장에서 일어나는 현재의 영어평가 방식으로는 학생들의 영어능력을 정확하고 객관적으로 평가하기 어렵기 때문에 이를 보완할 수 있는 가시적인 노력이 필요하다. 국가가 현재 주관하는 대학 수학 능력시험은 대학에 입학하기 위한 전형 자료로서의 역할로 대부분 쓰이고 학생들의 영어 능력을 객관적으로 평가하기에는 어려운 상황이다. 학생들이 학교 교육을 통하여 얻고자하는 교실에서의 영어 학습이 정상화되고 올바른 평가 도구가 개발이 되어 적용이 된다면, 굳이 많은 돈을 들여 국외에서 만들어진 영어 인증 시험에 눈을 돌리지 않아도 된다. 국가에서 많은 시간을 들여 만들어 현장에서 적용할 새로운 영어 인증시험은 또 다른 사교육을 불러일으키지 않도록 하기 위한 제도적인 장치가 필요하고 지속적으로 이를 관찰할 수 있도록 노력하여야 하며, 학교 교실 내에서 학습한 내용들이 중심이 되어 평가 할 수 있어야 한다. 본 연구의 결론을 지어보면 실험 연구에서는 A시 소재 고등학교 338명을 대상으로 한 경기도 영어의사소통 인증 시험성적과(2006년), 정기고사 성적(2006년) 두 개의 변인을 가지고 두 시험간의 상관관계를 조사하여 학생들의 일반 영어 실력과 학교 현장에서의 영어 성적을 비교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두 시험간의 상관관계는 서로 밀접한 관계가 있으며 앞으로 국가가 새롭게 준비하는 영어 인증 시험이 학생들의 일반적인 영어 능력을 평가할 수 있는 검증된 객관적 자료가 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단, 학생들의 시, 도간 영어 능력이 개별화되고 그 실력 차이가 많이 나므로 평가에 있어서도 그 상대적인 능력을 올바르게 구분할 수 있도록 평가 방법을 다양화하고 그 Level을 지역별로 차별하여 평가할 수 있는 방안을 만들어야 한다는 점이 나타났다. 좀 더 구체적으로 분석을 해보면 대도시의 학생들의 영어인증과 정기고사 성적과의 관계가 중소도시의 학생들의 성적과 차이가 많이 났으며 결과적으로 영어 실력의 개인차가 있음을 시사하고 아울러 학생들의 수준에 적합한 문항 개발을 통해 영어 인증 시험이 학생들에게 평가만의 기능이 아닌 영어 학습에 대한 동기 부여와 아울러 자신감을 심어 줄 수 있는 평가 도구가 될 수 있어야 된다.

more

목차

Ⅰ. 서론 = 1
1.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1.2 연구의 구성 = 3
Ⅱ. 이론적 배경 = 5
2.1 영어의사소통 인증제의 정의 = 5
2.2 영어의사소통 인증제의 목적 = 8
2.3 영어의사소통 인증제의 내용 = 13
2.4 영어의사소통 인증제의 방향 = 15
Ⅲ. 영어의사소통 인증제 쓰기 영역 분석 = 17
3.1 글의 순서 고르기 유형 = 18
3.2 주어진 문장이 들어갈 곳 찾기 유형 = 22
3.3 전체 흐름과 관계없는 문장 찾기 유형 = 24
3.4 빈칸에 들어갈 접속사 찾기 유형 = 27
3.5 앞에 나올 문장 찾기 유형 = 29
3.6 뒤에 나올 문장 찾기 유형 = 32
3.7 문장 요약 유형 = 35
Ⅳ. 연구의 실제 = 39
4.1 가설의 설정 = 39
4.2 상관 실험 집단 = 39
4.3 분석방법 및 절차 = 40
4.4 연구 결과 및 분석 = 41
V. 영어 쓰기 문항 개발 연구 방안 = 46
5.1 영어 쓰기를 활용한 선다형 문항 = 46
5.2 영어 쓰기를 활용한 단답식형 문항 = 50
5.3 영어 쓰기를 활용한 주관식형 문항 = 52
5.4 영어 쓰기를 활용한 서술지필형 문항 = 58
5.5 영어 쓰기의 신 유형 문항 = 60
VI. 결론 및 제언 = 67
6.1 결론 = 67
6.2 제언 = 69
참고문헌 = 72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