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생태지향 유아교육에 기초한 바깥활동 실태 및 인식 연구

초록/요약

본 연구는 생태유아교육을 유아교육기관에 도입하기 위한 준비단계로 유아교육기관의 바깥활동 환경과 운영실태, 교사의 인식, 생태유아교육을 위한 선결요건을 알아보고 유아교육기관에서 현실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활동에 중점을 두었다. 이를 위하여 생태유아교육을 실시하는데 따른 어려움을 알아보고 문제점을 파악하여 그 대안을 제시하고, 유아교육기관에서 유아교육과정의 일부인 바깥활동으로부터 생태지향 유아교육을 실천할 수 있는 방향을 모색해보는데 그 의의가 있다. 본 연구에서 설정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교육기관의 바깥활동 환경은 어떠한가? 둘째, 유아교육기관의 바깥활동 운영 실태는 어떠한가? 셋째,생태지향 유아교육에 대한 교사의 인식은 어떠한가? 넷째, 생태지향 유아교육의 선결요건은 무엇인가? 연구에 사용된 설문지는 공립 유치원교사를 대상으로 회수한 설문지 117부 중 부적당한 설문지 12부를 제외하고 105부가 최종 선정되었다. 또한 사립 유치원교사는 우편(택배, 등기)과 직접방문을 통해 209부를 회수하였고 회수된 설문지 170부 중 부적당한 설문 18부를 제외한 152부가 선정되었다. 최종적으로 연구에 사용된 설문지는 공·사립유치원교사 모두 257부였다. 생태유아교육에 기초한 바깥활동 실태와 인식을 조사하기 위해 사용된 질문지는 박숙현(2004), 장하나(2004), 김성옥(2000), 김수경(2000)의 질문지를 수정·보완하여 총 35문항으로 구성하였다. 자료는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수집된 자료를 SPSS/Win 1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생태유아교육에 대한 교사의 인식에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기 위하여 교차분석(Chi-square test)과 t 검정, 그리고 일원분산분석(One-Way ANOVA)을 실시하였다. 일원분산분석 실시 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경우 Duncan의 사후검정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유아교육기관의 바깥활동 환경 전체적으로는 유원장에 고정놀이 기구의 설치(4.18)가 가장 많았고, 게임이나 체육활동을 할 수 있는 운동장(3.88), 물·모래놀이 장소(3.60), 주변에 숲이나 산책로, 개울 등(3.32)을 갖추고 있었으며, 텃밭이나 생태학습장(3.29)이 주변에 있다는 낮았다. 유치원에 동·식물을 기르기 위한 공간(3.02)이 있는 유치원이 가장 적어 동·식물을 기르기 위한 바깥활동 환경이 제일 부족하였다. 결과에서 나타난바와 같이 유아교육기관에서는 바깥활동이 신체활동을 위한 공간으로 대부분 잘 갖추어져있었고 자연환경이나 생태활동 공간은 미흡한 것으로 보아 바깥활동에 대한 환경이 기존의 틀을 크게 벗어나지는 않았다. 2. 바깥활동 운영실태 및 교사인식 바깥활동 운영 시 대체적으로 주변 환경을 잘 이용하였으나, 바깥활동 시간으로는 30분미만이 가장 많았으며 바깥활동이 어려운 이유는 하루일과를 운영하는 동안 교사의 다양한 역할이 계속 요구되고, 유아의 안전과 보조교사의 부재로 인한 유아통솔문제였다. 생태유아교육 시작은 대부분의 교사들이 영·유아시기를 적기로 보았다. 생태유아교육 실천의 어려운 점으로는 환경적 여건과 프로그램 운영에 대한 정보의 부족이 가장 많아 우선적으로 유아교유기관의 환경적 여건과 현실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이 중요한 과제였다. 3. 생태지향 유아교육의 선결요건 생태유아교육의 선결요건으로는 유아교육기관 및 주변 환경여건의 개선(46.3%)이 가장 시급한 선결요건이었고, 다음으로 생태유아교육 프로그램의 개발·보급(33.1%)이었다. 또한 현재의 유아교육과정에 생태지향적인 내용이 부족하다고 보았으며 교사 양성대학의 교과과정에 생태유아교육에 관한 것이 부족함을 나타냈다. 위의 결과에서 보듯이 대부분의 유아교사들은 생태유아교육에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으며 유아교육기관에서 생태유아교육을 실천하기 위해 우선적으로 요구되는 것은 생태유아교육의 환경여건 마련과 현실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생태유아교육에 대한 정보와 프로그램개발의 보급이었다. 생태지향 유아교육을 위하여 유아교육관계자는 물론 부모, 국가적인 차원의 노력이 필요하며 유아교육과정의 일과 중 바깥활동으로 출발하여 다른 영역과의 연계로 영역을 넓혀 생태유아교육을 실천하고자 하였다.

more

목차

Ⅰ. 서론 =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2. 용어의 정의 = 5
3. 연구문제 = 6
Ⅱ. 이론적 배경 = 7
1. 생태학적 유아교육의 개념 = 7
2. 생태지향적 유아교육 = 14
3. 생태지향 바깥활동의 교육적 가치 = 18
4. 생태지향 바깥활동 프로그램 = 21
5. 선행연구 고찰 = 23
Ⅲ. 연구방법 = 26
1. 연구대상 = 26
2. 연구도구 = 27
3. 연구절차 = 28
4. 연구의 제한점 = 30
Ⅳ. 연구결과 및 해석 = 31
1. 유아교육 기관의 바깥활동 환경 = 31
2. 유아교육기관의 바깥활동 운영 실태 = 33
3. 생태유아교육으로의 전환에 대한 인식 = 42
4. 생태지향 유아교육의 선결요건 = 50
Ⅴ. 결론 및 제언 = 54
1. 요약 및 논의 = 54
2. 결론 및 제언 = 60
참고문헌 = 63
부록 = 67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