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훈련에 대한 반응과 학습의 관계” : 피훈련자 개인차 변인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The Effect of Reaction on Learning in Training: Focus on Moderating Effect of Trainee's Individual difference variables

초록/요약

본 연구는 Kirkpatrick의 4수준 훈련평가 준거 중, ‘반응’과 ‘학습’의 관계를 알아보았다. 특히, 두 준거 간의 관계를 피훈련자의 개인차 변인(목표지향성, 경험에 대한 개방성, 외향성)이 조절하는지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대학교의 수업장면을 훈련장면으로 가정하여 대학생 125명을 대상으로 한 예비연구를 실시하였고, 그 후 실제 기업훈련 장면의 212명의 조직구성원을 대상으로 본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목적과 가설에 따른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 째, 반응의 세 차원(즐거움, 유용함, 어려움 반응)이 모두 학습을 유의미하게 예측해주었다. 즉, 훈련에 대해 즐겁고 유용하다고 느낄수록 학습은 잘 일어났으나, 어렵다고 반응할수록 학습은 잘 일어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 째, 개인차 변인들 중, 목표지향성의 두 가지 하위차원인 숙달목표지향성과 수행목표지향성 그리고 외향성은 학습에 긍정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으나, 경험에 대한 개방성은 학습에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 셋 째, 피훈련자의 개인차변인이 반응과 학습의 관계를 조절하는지 검증하였다. 즐거움 반응과 학습의 관계를 외향성이 조절하였으며, 어려움 반응과 학습의 관계에서 수행목표지향성의 조절효과가 나타났다. 끝으로 예비연구와 본 연구에서 나타난 결과의 차이에 대해 논의하고, 연구의 제한점 및 추후연구에 대한 제안사항과 기업훈련 장면에 줄 수 있는 본 연구의 시사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more

초록/요약

The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reaction’ and ‘learning’based on the kirkpatrick's training evaluation model. Particularly, this study focused on the moderating effect of each trainee's difference variable (goal-orientation, openness to experience and extravers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reaction and learning. The study was made up of one preliminary study and another main study. The survey data from a university class consisted of 125 students in the preparation study and a job training class of 212 employees in the main study were analyzed and collected. The results of the main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three dimensions of reaction (enjoyment, usefulness, difficulty) predicted learning significantly. In other words, when trainees felt enjoyment or usefulness about their training program, effect of learning increased. However, learning of learning decreased as they felt difficulties in training program. Second, the result showed that among trainee's individual difference variables, mastery goal-orientation, performance goal-orientation, and extraversion had positive effect on learning process while openness to experience had not any effect. Third, this result proved to have a moderating effect of trainee's individual difference variable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reaction and learning. The result was that extraversion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enjoyment and learning. And performance goal-orientation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difficulty and learning. Finally, differences of results between preparation study and main study, limitation of the study, the direction for future research, and implication for industry training were discussed.

more

목차

Ⅰ. 서론 = 1
1. 기업훈련의 중요성과 국내·외 기업훈련의 발전 및 현황 = 1
2. 기업훈련 프로그램에 대한 평가의 중요성과 평가방법 = 2
Ⅱ. 이론적 배경 및 연구 가설 = 5
1. Kirkpatrick의 4수준 훈련평가 모델 = 5
2. Kirkpatrick의 4수준 훈련평가 모델에 관한 메타분석 연구들 = 8
3. 훈련에 대한 반응과 학습 = 11
4. 개인차 변인과 학습의 관계 = 14
5. 반응-학습 간 조절변인으로서 피훈련자의 개인차 특성 = 26
Ⅲ. 연구 목적 및 가설의 모형화 = 33
1. 연구목적 = 33
2. 가설의 모형화 = 34
Ⅳ. 예비 연구 = 35
1. 방법 = 36
2. 결과 = 38
3. 결론 및 논의 = 47
Ⅴ. 본 연구 = 50
1. 방법 = 50
2. 결과 = 51
3. 결론 및 논의 = 59
Ⅵ. 종합 논의 = 62
참고문헌 = 70
부록 = 79
ABSTRACT = 84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