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의사소통능력 향상을 위한 문화지도 방안 : 중학교 3학년을 중심으로

초록/요약

영어교육의 목표를 원활한 의사소통능력의 향상에 둠으로써 영어의 언어적인 4가지 기능적 측면 이외에도 목표어의 문화지도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기 시작하였다. 문화와 언어는 물과 그릇, 나무와 잎의 관계로 비유될 수 있을 만큼 서로 불가분의 관계에 놓여있음에도 불구하고 우리 교육 현장에서는 입시위주의 수업과 교사의 문화에 대한 체계적인 지식과 지도방법의 미흡으로 문화지도는 너무나 소홀히 다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실제 수업에서 구체적인 내용의 문화교육을 실행하여 학생들로 하여금 목표어 문화에 대한 이해를 넓히고, 흥미를 높이며, 영어 학업성취도를 향상시키고자 하였다. 제 2장에서는 문화와 언어와의 관계를 살펴보고 목표 언어를 학습하는데 있어서 문화적 배경이 언어에 중요한 요소임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문화적인 요소들인 내면적 의식구조와 생활양식, 사고체계 및 사회적 관습 등과 관련해서 우리문화와 영·미문화를 집단주의와 개인주의, 계층주의와 평등주의, 간접성과 직접성, 형식주의와 실용주의, 감정주의와 합리주의라는 특징으로 논의하였다. 한편 문화지도의 다양한 방법들로는 문화설명, 문화동화, 문화캡슐, 직감적 반응소, 역할극 등이 있고, 문화지도 자료로는 신문과 잡지, 영화와 드라마, 속담과 격언, 노래와 팝송, 만화, 인터넷 등을 제시하였는데 교사는 이러한 것들을 적절하게 활용할 수 있어야 한다. 제 3장에서는 실험반 학생들을 대상으로 문화지도 방안을 실제 교수-학습과정에 적용하여 학생들의 영어에 대한 흥미도 유발과 영어 학업성취도를 향상시키고자 하였다. 본 실험을 위해 먼저 중학교 3학년 학생 72명의 설문조사를 통해 영어 흥미도와 문화교육 실태조사를 하였다. 또한 문화지도 방안을 참고로 하여 12주간 각 차시별 교수요목을 설계하여 비교반은 기존의 전통적인 수업방식으로, 실험반은 기존의 수업방식에 문화지도를 혼합하여 학생들의 직접적인 참여를 높이는 수업을 실시하였다. 이와 같은 실험을 통해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문법위주의 전통적인 수업방법이 언어와 문화를 통합적으로 가르친 결과 학습자들에게 영어에 대한 관심과 흥미를 높일 수 있었다. 둘째, 목표어의 문화를 이해함으로써 학생들의 영어 학업성취도가 향상되었다. 이로 인해 문화교육의 필요성을 다시 한번 느낄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외국어 학습은 목표어의 언어적 기능과 그 언어에 내재되어 있는 문화지식에 대한 충분한 이해가 있을 때 보다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므로 언어와 문화를 통합적으로 학습할 수 있는 다양하고 효과적인 문화지도 방법과 영어교재가 개발되어야 할 것이며, 무엇보다도 현장에 있는 교사들이 문화교육의 중요성을 올바르게 인식하고 목표문화에 대한 체계적인 지식과 교수 방법을 전달하는 것이 필요하다. 다시 말하면, 교사에게는 영·미문화에 대한 충분한 지식과 정보, 교수법을, 학습자에게는 흥미를 가지고 학습할 수 있는 교재를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교사는 우리문화와 타문화를 비교하면서 양 문화의 차이를 인정하고, 문화의 우열성을 평가할 것이 아니라 각 나라마다 고유한 관습의 차이로 인식하여, 학생들이 타문화에 대한 배타적인 생각이나 고정관념, 편견을 버리고 열린 마음으로 받아들일 수 있도록 도와주어야 할 것이다.

more

목차

Ⅰ. 서론 = 1
1.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1.2. 연구의 범위 = 2
1.3. 연구의 제한점 = 2
Ⅱ. 이론적 배경 = 4
2.1. 문화의 정의 = 4
2.2. 문화와 언어의 관계 = 6
2.3. 문화교육의 목표와 교사의 역할 = 8
2.3.1. 문화교육의 목표 = 9
2.3.2. 문화지도와 교사의 역할 = 11
2.4. 영어권 문화와 한국 문화의 차이 = 11
2.4.1 내면적 의식구조의 차이 = 11
2.4.2. 일상생활방식 및 관습의 차이 = 17
2.4.3. 표현양식의 차이 = 20
2.5. 영·미문화 지도 방법 = 25
2.5.1. 문화 설명 (Culture Aside) = 26
2.5.2. 문화 동화 (Culture Assimilator) = 26
2.5.3. 문화 묘사 (Culture Capsule) = 29
2.5.4. 직감적 반응소/청취 후 행동 (Audio-Motor Unit) = 30
2.5.5. 단막극 (Mini-Drama) = 32
2.5.6. 문화어휘 연상 (Association of Culture Vocabulary) = 36
2.5.7. 단어 잇기 (Word Chase) = 36
2.6. 문화학습 자료 = 37
2.6.1. 신문과 잡지 = 37
2.6.2. 시청각 자료 = 37
2.6.3. 속담과 격언 = 38
2.6.4. 노래 (팝송) = 39
2.6.5. 만화 = 40
2.6.6. 인터넷 = 40
Ⅲ. 연구 모형 및 연구 방법 = 41
3.1. 연구 기간 및 대상 = 41
3.2. 연구 방법 = 41
3.3. 연구 가설 = 42
3.4. 연구 수업 모형 = 42
Ⅳ. 연구 결과 분석 및 논의 = 56
4.1. 학생들의 흥미도 조사 결과 분석 = 56
4.1.1. 영어에 대한 관심과 태도 = 56
4.1.2. 문화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 = 57
4.1.3. 문화교육 현황 = 59
4.2 학생들이 영어수업 중 학습하기를 희망하는 내용 = 60
4.3. 평가 분석 = 61
4.4. 가설의 검증 = 62
4.4.1. 가설 1의 검증 = 62
4.4.2. 가설 2의 검증 = 63
4.5. 논의 = 64
Ⅴ. 결론 및 제언 = 66
참고 문헌 = 68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