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장애유아 통합교육에서 교사의 역할인식

초록/요약

본 연구는 장애유아 통합교육에 대한 일반 유아 교사의 태도와 장애 유아 통합교육 환경에서 일반 유아 교사들의 역할 인식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교사의 요인별특성(연령, 학력, 교사경력, 통합학급경험, 통 합교육 연수 경험)에 따른 통합교육에 대한 교사 태도의 차이를 밝힌다. 둘째, 장애 유아 통합교육에서 일반 유아교사가 수행해야하는 교사 역할에 대한 인식은 어떠한지를 밝힌다. 연구를 위해서 수원지역 사립유치원에 근무하고 있는 436명의 교사 중 250명의 유아교사를 무선표집하여 선정하고, 전화를 통해 의뢰하였으며 방문과 우편에 의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250명에게 250부를 발송한 결과 201부를 회수하였으나 통계처리가 불가능한 응답을 한 8부를 제외하여 최종적으로 193부의 설문지가 분석되었다. 통합에 대한 태도를 평가하기 위해 Larrivee와 Cook(1979)이 고안한 “통합에 대한 태도 척도”(Attitudes Toward Mainstreaming Scale)를 기초로 재구성한 정숙자(1998)의“통합에 대한 태도 척도”를 적용하였다. 유아통합교육 프로그램의 교사에게 필요한 역할 인식을 측정하기 위한 연구 도구는 Kim(2000)이 개발한 ‘유아통합교육 프로그램의 교사 자질에 대한 유아 교사와 유아 특수 교사의 인식(General and Special Early Childhood Education Teacher's Perceptions of Teacher Competencies for Working in Inclusive Early Childhood Education Programs)'을 기초로 하여 김세영(2002), 배재정(2005)이 위의 Kim(2000)의 도구를 번안하고 수정하여 사용한 교사 역할에 대한 부분을 참고 하였다. 설문지를 통해 수집한 자료는 SPSS Window 13.0 Version을 이용하여 처리, 분석하였다. 이에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통합교육에 대한 태도는 교사의 연령, 학력에 따라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고 교사의 경력과 통합학급 경험과 통합교육 연수 경험이 있는 교사에게 장애유아와 비장애유아의 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둘째, 유아 교사들은 제시 되었던 12가지의 교사 역할에 대하여 적극적으로 수행해야 한다고 인식하고 있다. 그중에서 우선적으로 담당해야 할 역할을 보면 ‘다양한 방식을 통해 유아의 발달과 교육에 대해 가족과 의사소통하고 관련정보를 교환하기’를 많이 선택하였다. 그 다음으로는 ‘유아집단을 위한 교육과정과 환경을 고안하고 평가하기, ‘다른 교사나 관련 서비스 종사자와 협조하여 유아와 가족의 요구에 대응 하는 지식과 기술을 습득하고 공유하기’로 나타났다. 반면에, 상대적으로 낮은 수행의 필요를 가진 역할의 1,2,3위를 보면 ‘다양한 교육적 주제로 교사, 다른 전문가, 가족에게 제공하는 서비스를 조정하기’, ‘여러 전문가와 기관이 유아와 가족에게 제공하는 서비스를 조정하기’, ‘매일의 수업 활동을 주도적으로 진행하기’순으로 나타나 가장 낮은 수행의 필요를 인식하는 역할은 ‘매일의 수업 활동을 주도적으로 진행하기’로 밝혀졌다. 이러한 결과에 따른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통합교육에 대한 교사의 태도는 통합학급 경험과 통합교육 연수 경험이 있고 경력이 높을수록 ‘장애유아의 행동특성과 비장애유아의 행동에 미치는 영향’의 하위영역에 대해서 긍정적인 태도를 보인다. 둘째, 유아 교사들은 제시 되었던 12가지의 교사 역할에 대하여 적극적으로 수행해야 한다고 인식하고 있는데 우선적으로 담당해야하는 역할은 ‘다양한 방식을 통해 유아의 발달과 교육에 대해 가족과 의사소통하고 관련 정보를 교환하기’이다. 이것은 교사들이 여러 가지 방법을 통해 아동의 발달과 교육에 대해 가족과 의사소통 하고 관련 정보를 교환하여 보다 장애 유아에 대해서 잘 파악하고 도움을 주고 싶어 하고, 통합교육의 교육과정에 대해 의미를 부여하고 새로운 방법으로 교육하고자 하며 유아 특수교사나 다른 경력이 많은 교사들과 교류하고 협력하기를 우선적으로 인식하고 있다는 것이다.

more

목차

Ⅰ. 서론 =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2. 연구목적 = 4
3. 용어의 정의 = 4
Ⅱ. 이론적 배경 = 5
1. 통합교육의 정의 및 개념 = 5
2. 통합 교육의 중요성 및 효과 = 7
3. 통합교육의 영향 = 8
4. 통합교육에 대한 교사들의 태도와 그 의미 = 11
5. 유아교사와 유아특수교사의 역할 = 13
Ⅲ. 연구방법 = 20
1. 연구 대상 = 20
2. 연구 도구 = 21
3. 연구 절차 = 24
4. 자료 처리 = 25
Ⅳ. 연구 결과 및 논의 = 27
1. 연구결과 = 27
2. 논의 = 41
Ⅴ. 결론 및 제언 = 44
1. 결론 = 44
2. 제언 = 46
참고문헌 = 47
부록 = 53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