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단계별 학습을 통한 시 창작 능력 향상 방안 연구

  • 발행기관 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 지도교수 조창환
  • 발행년도 2005
  • 학위수여년월 2005. 8
  • 학위명 석사
  • 학과 및 전공 교육대학원 국어교육
  • 본문언어 한국어

초록/요약

본고에서는 문학창작 중에서 시 창작에 대하여 중학생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여 창작교육의 목적과 가치를 탐구하고, 단계별 시 창작교육의 실제적인 교수·학습 방법을 모색하여, 현장에서 활용하는데 작은 시도와 문제를 제기함으로써, 궁극적으로 중학생의 시 창작 능력을 향상시키고자 함에 그 연구의 목적을 둔다. 7차 교육과정에서 문학교육은 문학의 수용과 창작 활동을 통하여 문학적 감수성과 상상력을 길러, 이를 토대로 자아를 실현하고 세계를 이해하며, 문학 문화의 발전에 능동적으로 참여하는 바람직한 인간을 기르는 데 목표를 둔다. 그러나 창작의 개념과 활동을 도입하고, 모든 학습자에게 전문적인 문예 작품 창작 활동을 지나치게 강조하지 않는다는 것은 의의가 있으나, 창작의 신비화 한계에 부딪혀 창작교육의 범위를 협소화시켰고, 수용과 창작을 균등하게 다루지 않고 지나치게 수용의 측면을 강조하는 것은 넘어야 할 과제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고 바람직한 시 창작교육의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창작교육의 기본 전제인 창자교육의 목표와 방향, 창작교사의 역할, 단계별 시 창작교육 방법에 대해 연구하였다. 단계별 시 창작교육 방법의 연구에 있어서,영상 세대인 학생들의 시에 대한 전반적인 거리감을 좁히는 문제가 선결되어야 함을 설문조사를 통해 확인하여, 본고에서는 ‘시와 친해지기 → 구상하기 → 표현하기 → 퇴고하기’의 단계별 시 창작교육 방법을 제안한다. 단계별 시 창작교육의 첫 번째 단계는 시와 친해지기이다. 이 단계는 실질적인 시 창작 학습에 들어가기에 앞서 즉흥적이고 단편적인 사고에 익숙한 학생들에게 시에 대한 흥미와 창작의 목표를 형성하여 주기 위한 학습으로, ‘시 흥미도 설문조사’와 ‘학급 애송시집 만들기’‘학급 시집 만들기’의 세 단계로 이루어진다. 도서관에서 시집을 자유롭게 독서하고 자신들이 추천한 시로 학급 애송시집을 만들고, 시집 독서의 체험으로 인식한 자신만의 시의 의미대로 시를 창작하여 학급 시집을 만드는 활동을 통해 학생들은 시에 대한 인식을 새롭게 하였고 시 창작에 대한 자기 목표를 설정하게 되었다. 단계별 시 창작교육의 두 번째 단계는 구상하기이다. 구상하기는 학습작가가 시를 쓰기 위해 제재와 주제를 선택하고 대강의 표현 계획을 우는 단계로, 학생들이 시를 쓸 때 가장 어렵게 생각하는 ‘무엇을 쓸 것인가’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학습이 이루어진다. ‘주제와 제재 이해’ 단계에서 모범시 감상을 통해 기존 작품의 창작과정을 추적하여, 창작 초기의 구상하기 단계에서 이루어진 제재와 주제와 중심되는 표현 방법을 파악하게 하였다. ‘구상하기 연습’단계에서 기존시의 부분적인 모방을 통해 제재를 선택하여 주제를 대강 표현하는 연습을 하고, ‘구상하기(실제)’단계에서 학생과 밀접한 생활의 기사문, 사진, 그림을 관찰하고 상상하여 기본적인 시의 구상을 실제로 하게 하였다.학생들은 구체적이고 치밀한 구상이 시 창작에 실질적인 도움이 된다는 것을 경험하였다. 단계별 시 창작교육의 세 번째 단계는 표현하기이다. 표현하기는 시에 대한 작가의 구상을 시의 형식으로 구체적으로 형상화하는 단계이다. 모범시를 통해 시의 형성 원리인 ‘비유와 심상’ ‘연과 행’ ‘운율’에 대해 3단계 학습을 통해 표현 가치와 방법을 이해하고, 모범적인 표현을 구별하고, 모방 표현을 통하여, 각각의 표현 능력을 체득하게 하였다. 이 단계 학습을 통해 학생들에게 좋은 시의 의미와 기준을 함께 지도하였다. 학생들은 구체적인 표현 교육에 관심이 많았고,부분시를 통한 각각의 표현 연습에 열성적이고, 그 효과도 긍정적이었다. 단계별 시 창작교육의 마지막 단계는 퇴고하기이다.퇴고하기는 자신의 시를 평가하여, 자신의 표현 목적에 맞게 고쳐쓰기를 통하여 시를 완성하는 단계이다. 먼저 ‘퇴고하기(연습)’단계에서 다른 사람의 시를 고쳐쓰게 한 후 상호 교환하여 학생들이 퇴고 전과 후의 차이를 간접적으로 경험하게 하였다. 다음으로 ‘퇴고하기(실제) ’단계에서 자신이 의도한 창작의 목표대로 자신의 시가 형상화되었는지를, 구상과 표현의 전 단계에 걸쳐 평가하고 퇴고하였다. 학생들이 창작한 시를 퇴고 전과 후의 모습을 비교 평가한 결과, 시 창작 능력의 전반적인 향상을 확인할 수 있었다. 마지막 단계로 ‘시 흥미 변화 설문조사’를 통하여 학생들의 변화된 시 의식과 창작에 대한 욕구가 향상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학생들은 교과서와 칠판에서 떠나 시를 체험함으로써, 시에 대한 거리감을 줄일 수 있었으며, 시에 대해 주체적으로 인식하여, 여러 자기 표현 수단 중의 하나로 부담없이 받아들이게 되었다. 또한 자신이 목표한 대로 시를 형상화하는 시 창작 능력이 현저히 향상되었다. 학생들이 스스로의 욕구와 필요에 따라 ‘시’를 인터넷에서 찾아 읽고, 자기 표현 매체로 ‘시’를 선택하여 고민하면서 창작하는 과정이 학생들이 세계와 조화를 이루며 살아가는 모습인 것이다.

more

목차

목차
국문 요약
Ⅰ. 서론 = 1
1. 연구 목적 = 1
2. 연구사 검토 = 4
3. 연구 방법 = 8
Ⅱ. 시 창작교육의 전제 = 11
1. 7차 교육과정과 창작교육 = 11
2. 시 창작교육의 기본 전제 = 14
가. 시 창작교육의 목표 = 14
나. 시 창작교육의 방향 = 17
다. 시 창작교사의 역할 = 19
라. 단계별 시 창작교육 방법 = 22
Ⅲ. 단계별 시 창작교육의 실제 = 43
1. 시와 친해지기 = 45
2. 구상하기 = 55
3. 표현하기 = 63
4. 퇴고하기 = 72
Ⅳ. 결론 = 81
참고 문헌 = 86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