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공동주택 리모델링 계획기법과 거주평형별 주민의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sign of Apartment Remodeling and the Effect of Unit Size on Residents' Attitude

초록/요약

80년대 초반 5개 신도시의 계획을 시작으로 혹은 그 이전부터 엄청난 양을 공급하여 주거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아파트는 이제 우리 주거문화의 일부분으로 없어서는 안 될 요소가 되어버렸다. 허나 시간이 지남에 따라 노후는 지속되는데 반해 주거환경에 대한 사람들의 욕구는 커져가고 이에 재건축사업이 활발해졌으나, 이는 오히려 거시적인 환경의 악화를 초래하는 셈이 되어 새로운 방안의 대두가 요구되었다. 이에 대한 대안으로 현 공동주택의 건축에 있어 최근의 이슈는 단연 리모델링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제 리모델링에 첫걸음을 내딛는 상황에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이미 이를 경험한 주체를 대상으로 그 과거와 현재를 알아보고, 현재 고층ㆍ고밀 공동주택에 거주하며 리모델링을 고려 중인 주체의 생각을 살펴본 후 두 가지를 바탕으로 우리가 가야할 방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보다 적극적인 리모델링 방법을 제안하고 국내의 공동주택 실정상 단지마다 다양한 형태의 조합으로 평형대가 이루어졌기 때문에, 평형대별 의식차이를 알아본다면 계획상에서 단지의 평형조합에 맞추어 반영할 수 있는 기초적인 자료로서 활용될 수 있다. 연구의 방법은 해외 리모델링 시행사례를 파악한 후 이미 공동주택 리모델링이 활성화되어 있는 독일의 사례 대상지 답사를 통해 국내 공동주택 리모델링의 주요계획요소에 대한 계획기법을 살펴보고, 관련 문헌 수집을 통해 그 내용을 소개하였다. 또한 실증조사로서 준공년도, 층수 등의 리모델링 가능성에 대한 요소를 살펴본 후 연구의 방향에 맞추어 평형대가 골고루 분포되어 있는 단지를 선택하여 리모델링에 대한 주민 의식 및 선호도 등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에서 얻은 결과를 요약하여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적인 인식이 바뀌어 과거에 비해 현실적인 비용지출을 고려하고 있고 비용지출 및 개선요구는 평형대와 비례함을 알 수 있으며 큰 평형대가 차지하는 비중이 많은 단지에서 보다 적극적인 리모델링이 요구된다. 둘째, 대체로 규모가 큰 아파트일수록 전용 부분의 리모델링 시행 경험이 높게 나타났고 그 배경으로 공통적으로 노후한 설비를 개선하는데 있으나 그 외 소형평형대에서는 생활의 불편해소를 위한, 대형평형대에서는 미관개선을 위한 리모델링을 고려한 차이가 있었다. 셋째, 리모델링 추진의 목적이 대다수가 노후한 설비를 개선하는 것과 생활의 불편을 해소하는 것으로 파악되었고 대형평형에서는 투자의 목적도 염두하고 있어 실제적인 삶의 질 향상 외에도 아파트 가격 상승에 큰 기대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또한 아파트 브랜드의 가치와 리모델링 시공 경험의 유무를 보고 시공사를 선정한다고 대답하여 앞으로 시공사에서는 이에 따른 대비가 요구된다. 넷째, 평형대와 상관없이 현재 실정에 맞는 주차장시설의 정비 및 보완이 시급한 것으로 드러났으며 가족구성원의 변화가 심한 초ㆍ중형평형대에서 내부평면의 재구성에 대한 요구가 높았고 편복도형 동의 거주자가 단열시공의 요구가 높게 나타났으며 대형평형에서는 내부의 마감재 교체와 보행공간의 개선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나 주택의 미적가치와 도로 공간의 개선에 많은 요구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다섯째, 리모델링이 추진 중인 단지 임에도 이에 대한 불만이 클 것이라는 예상과 달리 입법예고에 대한 인지도가 낮고 분양을 목적으로 하는 시설들의 설치 등 법규상으로는 금지된 계획요소에 대해 대형평형대에서 요구가 높은 것으로 드러나 보다 현실적인 접근이 요구됨을 알 수 있었다. 여섯째, 구체적인 규제 방법으로서 20평대의 경우 세대면적 별 비율, 30평대의 경우 절대면적, 그 이상의 세대의 경우 단지전체의 용적률을 선택하여 다양한 방식으로 생각하고 있고 향후 긍정적인 방향에서 리모델링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제도적인 개선의 노력 및 기술개발 등이 꾸준히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이상과 같이 진행되어온 연구의 결과는 첫째, 주요계획요소의 설정에 있어 서로 다른 연구의 결과들을 기반으로 하여 계획방안의 도출을 하였기 때문에 주관적인 요소가 많이 반영된 한계를 지닌다. 그 조사에 있어 둘째로 시간과 비용 상의 제약으로 독일 공동주택 사례에 대한 자료 분석이 부족하여 향후 지속적으로 연구를 수행하여 연구의 폭을 넓혀갈 필요가 있다. 셋째로 설문 대상지 한정된 점에서 조사 결과를 일반화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끝으로 적극적 리모델링의 방안을 찾고자 단지ㆍ도시차원의 전체적인 수준을 다루어 신도시 차원에서의 개선방안까지 모색해보고자 하였으나 아직까지는 대체적인 의식이 미흡하여 결과를 제대로 반영하지 못한 한계를 가진다.

more

초록/요약

Since early 1980s when we developed 5 new towns including large scale of housing, apartments have become our essential part of residence in Korea. Although their facility got worse and worse, our requirements got higher and higher as time goes by. We experienced a boom for redevelopment some years ago, but it might be caused to destroy environment as a macroscopic point of view. It means we had to find alternative. It was remodeling, nowadays hot issue in architecture. The most important thing in starting point for apartment remodeling is to show ways to go. It is based on two fact first, the past and present of developed country's(especially German) apartment remodeling and second, clients' consideration who lives in apartment housing(concentrated analysis on high stories and density apartment ). From this point of view, this study tried to propose more active design method of apartment remodeling and the effect of unit size on residents' attitude. The result of this study is to follows First, people's social consciousness about expenses becomes more realistic and unit size have an effect on design alternatives because the amount of expenses are in proportion to it. Second, experiences of their remodeling on private area is widely high as big as their unit size and first reason of it is similar to improve old facilities, but second is different.(inconvenience in small scale of unit size, the beauty in large of it) Third, most of them have same aims for remodeling as to improve old facilities and inconvenience of their life, especially investment is second purpose in large of unit size. and apartment brand power and construction experience on remodeling is the best regards to choose company. Fourth, preferences to complement of parking lot is commonly highest, but preference of recomposition unit plan(in case of small and middle scale unit size), insulation work(in case of one way corridor types), inside building materials and pedestrian road(in case of large scale unit size) is high in each types. Fifth, although legislation notice has effect on fall in housing value and their push on remodeling, the awareness of it is low. Sixth, preferences to reduce expenses by sales on a new extension is high in large scale of unit size. They have totally different idea about regulation method, so we should try to revitalize remodeling on positive way through improving on its system and developing new technology. This result of study has some limits on drawing a design method of apartment remodeling, the lack of data analysis on German apartment remodeling, range of research to carry on and the lack of approach to new town's design of remodeling.

more

목차

목차
제 1 장 서론 = 1
1.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 1
1.2. 연구방법 및 내용 = 4
1.3. 연구문제 = 6
제 2 장 이론적 고찰 = 7
2.1. 용어 정의 및 법규검토 = 7
2.2. 선행연구 고찰 = 11
2.3. 국내외 리모델링 현황 = 14
2.3.1. 국내 공동주택 리모델링 현황 = 14
2.3.2. 해외 리모델링 현황 = 15
2.3.3. 국내 공동주택 리모델링 시장의 전망 = 19
제 3 장 공동주택 리모델링 계획기법 = 21
3.1. 주요 계획요소의 도출 = 21
3.2. 공동주택 리모델링 시행 사례 = 24
3.2.1. 국내 사례 = 24
3.2.2. 독일 공동주택 리모델링 사례조사 = 29
제 4 장 조사대상 및 방법 = 41
4.1. 조사도구의 특성 = 41
4.2. 조사대상의 선정 = 43
4.3. 조사방법 및 분석방법 = 46
4.4. 조사대상의 특성 = 48
제 5 장 연구 결과 = 50
5.1. 비용에 대한 상관관계 분석 = 50
5.2. 개보수 경험 및 배경 = 52
5.2.1. 개보수 경험 및 배경에 대한 교차분석 = 52
5.2.2. 개보수 경험 및 배경에 대한 분산분석 = 52
5.3. 리모델링에 대한 거주평형별 주민의식 = 55
5.3.1. 리모델링 의식에 대한 교차분석 = 55
5.3.2. 리모델링 의식에 대한 분산분석 = 55
5.4. 거주평형별 리모델링 계획요소에 대한 선호도 = 60
5.4.1. 리모델링 시행 범위에 대한 의식 = 60
5.4.2. 단위세대 리모델링 계획요소에 대한 선호도 = 61
5.4.3. 주동차원의 리모델링 계획요소에 대한 선호도 = 62
5.4.4. 단지차원의 리모델링 계획요소에 대한 선호도 = 63
5.4.5. 도시차원의 리모델링 계획요소에 대한 선호도 = 64
5.5. 정부정책에 대한 주민의식 = 65
제 6 장 결론 = 67
참고문헌 = 71
부록 = Ⅰ
Abstract = XI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