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특수아동의 읽기·쓰기 능력 향상을 위한 멀티미디어 자료의 효과성 분석

  • 발행기관 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 지도교수 이장익
  • 발행년도 2004
  • 학위수여년월 2005. 2
  • 학위명 석사
  • 학과 및 전공 교육대학원 컴퓨터교육
  • 본문언어 한국어

초록/요약

본 연구의 목적은 특수 아동의 읽기·쓰기 능력 향상을 위한 멀티미디어 자료의 효과성을 살펴보는데 있으며 이를 위해 교육 가능급 특수학급 아동 중 한국교육개발원(1987)의 기초학습 기능검사 읽기Ⅰ(문자와 낱말의 재인)과 쓰기(철자의 재인) 검사 결과, 5세 이전의 언어 능력을 가지고 있는 비슷한 수준의 아동 4명을 대상으로 멀티미디어 자료와 학습지를 이용한 읽기·쓰기 학습을 하였을 경우, 각각이 아동의 읽기·쓰기 능력 향상 및 학습 참여도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 분석해 보았다. 그리고 멀티미디어 자료를 활용하였을 경우, 상향식과 하향식 모형 중 어느 것이 아동의 읽기와 쓰기 능력 향상에 보다 더 효과적인 모형인지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특수아동의 읽기·쓰기 학습에서 하향식 멀티미디어 자료가 상향식 멀티미디어 자료보다 특수아동의 읽기·쓰기 능력을 더 많이 향상시킬 것이라는 가설은 입증되지 않았다. 연구 결과 읽기 학습에서는 하향식 모형이, 쓰기 학습에서는 상향식 모형이 각각 효과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특수아동의 읽기·쓰기 학습에서 하향식 멀티미디어 자료가 상향식 멀티미디어 자료보다 특수아동의 학습 참여도를 더 높은 수준으로 유지시킬 것이라는 가설은 입증되지 않았다. 연구 결과 모형에 상관없이 두 가지 모형 모두 특수아동의 학습 참여도를 높은 수준으로 꾸준히 유지시킨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특수아동의 읽기·쓰기 학습에서 멀티미디어 자료가 학습지보다 특수아동의 읽기·쓰기 능력을 더 많이 향상시킬 것이라는 가설은 입증되었다. 연구 결과 특수아동의 읽기·쓰기 능력 향상율은 멀티미디어 자료가 학습지보다 훨씬 높게 나타났다. 넷째, 멀티미디어 자료가 학습지보다 특수아동의 학습 참여도를 더 높은 수준으로 유지시킬 것이라는 가설은 입증되었다. 연구 결과 멀티미디어 자료는 학습 참여도를 보다 높은 수준으로 꾸준히 유지시킨 반면 학습지는 처치가 진행됨에 따라 아동의 학습 참여도 감소를 나타냈다. 본 연구의 결과와 논의를 토대로 얻은 결론에 대한 몇 가지 시사점과 제한점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특수아동의 읽기·쓰기 학습에 상향식, 하향식 멀티미디어 자료를 각각 적용하였을 때 두 가지 모형 모두 특수아동의 읽기·쓰기 능력 향상에 효과가 있었으며 특수아동의 읽기·쓰기 학습 참여도를 높은 수준으로 꾸준히 유지시켰다. 이것은 멀티미디어 자료가 가지는 반복학습, 개별학습, 즉각적인 피드백, 영상과 음향 등의 특성들이 자극의 수용과 외적 투입에 있어서 주의집중에 문제가 있는 특수아동들에게 효과적으로 작용하였기 때문이라고 볼 수 있으며 이는 멀티미디어 자료를 활용한 학습 방법이 전통식 수업보다 특수아동의 학습 능력 향상에 효과적이라는 박규섭(2002) 등의 선행 연구 결과를 다시 한 번 재확인 시켜준다. 둘째, 특수아동의 읽기 능력 향상에서는 하향식 멀티미디어 자료가 상향식 멀티미디어 자료보다 효과적이며, 특수아동의 쓰기 능력 향상에서는 상향식 멀티미디어 자료가 하향식 멀티미디어 자료보다 효과적이라는 연구 결과는 읽기·쓰기 학습 이론을 바탕으로 재구성된 멀티미디어 자료에 따라 아동의 학습 능력 향상이 달라짐을 보여준다. 이것은 특수아동의 읽기·쓰기 학습을 위한 멀티미디어 자료 개발과 이를 활용한 교수-학습 방법을 위한 정보로 제공되어질 수 있으며 따라서 이와 같은 사실을 보다 더 확증할 만한 후속 연구들이 계속 이루어져야 한다. 셋째, 본 연구에는 몇 가지 제한점들이 있다. 먼저 위에서 말한 상향식, 하향식 모형의 읽기·쓰기 능력 향상율은 그 차이의 폭이 작기 때문에 읽기·쓰기 능력 향상에 반드시 어느 한 쪽 모형이 다른 쪽 모형보다 효과적이라고 단정 지을 수 없으며 또한 두 가지 모형 모두 특수아동의 읽기 능력 향상에 효과가 있음은 확실하나 그 원인이 꼭 멀티미디어 자료 때문 만이라고 확신할 수는 없다. 왜냐하면 특수아동의 읽기 능력 향상에는 지능과 같은 개인의 능력 차이, 읽기·쓰기 학습과 관련된 실험 처치 이외의 학습이 실시되었는가의 여부, 교사 개개인에 따른 교수방법의 차이 등 실험 통제와 관련된 여러 가지 원인이 작용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연구과 관련된 후속 연구에서는 이러한 점들이 반드시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more

목차

목차
Ⅰ. 서론 = 1
1.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 1
2. 연구의 목적 = 4
3. 용어의 정의 = 5
Ⅱ. 이론적 배경 = 7
1. 특수아동의 언어적 특성 = 7
2. 특수아동의 읽기·쓰기 능력 = 10
3. 멀티미디어 자료의 효과 = 17
4. 멀티미디어 자료의 유형 분석 = 22
Ⅲ. 연구 방법 = 32
1. 연구 대상 = 32
2. 연구 설계 = 36
3. 연구 도구 = 37
4. 연구 절차 = 41
5. 결과 처리 = 43
Ⅳ. 결과 및 논의 = 44
1. [실험1]의 결과 = 44
2. [실험2]의 결과 = 51
3. 결과에 대한 논의 = 58
Ⅴ. 요약 및 결론 = 60
1. 요약 = 60
2. 결론 = 62
참고문헌 = 65
부록 = 71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