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정지용 시의 시간의식 연구

A Study on Time-Consciousness on The Poetry of Jeong, Jee-Yong

초록/요약

본고는 정지용의 시가 근대 세계에 대한 주체적·창조적 인식을 통해 시간에 대한 새로운 인식을 드러냈다고 보고 시의 시간의식이 갖는 의미를 밝히고 있다. 우선 정지용의 시를 시간의식의 변모 양상에 따라 초기시, 중기시, 후기시로 구분하였다. 그리고 정지용의 시가 시간을 순수 지속으로 파악하는 주관적 시간의식을 드러낸다고 보았다. 정지용의 시는 시기에 따라 변모 과정을 거치며 시간의식도 변화하는 것을 알 수 있었는데 여기엔 시간에 대한 수사학적 인식의 변화가 動因으로 작용하고 있다. Ⅱ장에서는 시간의 감각적 재현, 무시간성, 시간의 無化 의지에 대한 시적 의미를 살펴보았다. 정지용 시에서는 주로 시각적 감각에 의한 시간의 재현 의지가 나타난다. 그리고 정지용 시의 시간의식에서 무시간성은 주로 후기시와 관련된다. 본고는 ‘시간의 無化 의지에 의한 무시간성’에 더 관심을 두었다. ‘시간의 無化 의지’는 물리적 시간 질서를 부정하고 지우려는 노력에 의해 무시간성의 세계를 형상화하려는 시간의식을 이룬다. Ⅲ장에서는 정지용 시의 시간의식 표출 양상을 각 시기별로 살펴보았다. 초기시에서 정지용 시의 시간의식은 현재 시간을 현재 시간에 재현하려는 의지와 과거 시간을 현재 시간에 재현하려는 의지로 나타나고 있다. 정지용의 시는 주체적 자아의 시간에 대한 인식작용을 통해 기억을 주로 시각적 감각으로 파악하고 형상화하려는 시간의식을 보이고 있다. 또한 현재 시간에 대한 부정성과 내면 의식이 추구하는 세계에 대한 동경이 주로 시각적 감각과 은유를 통해 재현되고 있음을 확인했다. 중기시는 특히 카톨릭 신앙시에 있어서 영원성의 시간을 추구하며 신앙심으로 충만한 현재 시간의 자아를 관념적인 은유로 재현하는 데에 초점이 모아져 있다. 영원성의 시간에 존재하는 신의 세계는 점차 상징을 통해 인식되었다. 그러나 중기시는 현재 시간을 끌어안는 영원성의 시간을 드러내고자 했던 상징화 과정의 끝에 이르러 더 이상 새롭게 나아갈 길을 찾지 못했다. 후기시에서는 현실의 시간에 대한 無化 의지에 의해 형성된 무시간성의 세계를 드러낸다. 이 세계는 현재의 시간성이 無化되고 계기적 시간 질서에 구애받지 않는 다른 차원의 시간성을 보인다. 그러나 현실 세계를 벗어나 재창조된 무시간성의 세계는 현실적으로는 한계를 지닌 세계이기도 하다. Ⅳ장에서는 시간에 대한 수사학적 인식의 양상을 규명해 보았다. 본고는 은유적 인식과 제유적 인식을 통해 정지용 시의 시간의식이 형상화되거나 변모하게 되었다고 보았다. 여기서는 상징에서 제유적 인식으로 나아가게 된 이유와 제유적 인식의 한계도 언급했다. 초기시에 있어서는 현재와 과거의 시간에 대한 은유적 인식의 양상과 특징을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현재와 과거의 시간을 현재의 시간에 재현하고자 할 때 현재와 과거를 은유적 인식으로 파악하여 재현하고자 하는 시간의식이 내재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중기시의 은유적 인식은 관념적인 은유적 인식으로 바뀐다. 그리고 관념적인 은유적 인식이 굳어져 점차 상징을 통해 영원성의 시간을 지향하는 시간의식을 드러내는 것도 이 시기의 중요한 특징이다. 이러한 은유적 인식은 도식화되거나 고착되기 쉽고 유사성에 의한 대응 관계가 단선적이다. 정지용의 후기시는 자연을 통해 무시간성의 세계를 나타내고 있는데 이때 기의라고 할 수 있는 실재의 자연을 자연의 구성 요소들로 대신 제시하는 제유적 인식이 작용하고 있다. 이 시기에 보이는 회화성 역시 창조적인 무시간성의 세계에 대한 시간의식과 제유적 인식이 만나는 양상을 명백하게 드러낸다. 그러나 제유적 인식이 갖고 있는 재현에 대한 신뢰와 대상에 대한 맹목적 신뢰는 후기시를 고착화·경직화 시키는 결과를 낳았다. Ⅴ장에서는 정지용 시에 나타난 시간의식의 변모 과정이 문학사적으로 어떠한 의의를 갖는지를 살펴보았다. 우선 초기의 언어에 대한 자각은 시간을 수사학적 인식으로 재현하는 데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했다. 다음으로 이러한 초기시의 양상이 이후 시가 전개되는 과정에서 변화했다는 점에서 그것은 부정되어야 할 요소를 갖고 있었다는 것이 확인된다. 수사학적 인식의 변화와 시간의식의 변모 과정은 은유에서 제유로, 과거나 현실 시간 파악에서 시간의 無化로 바뀌면서 전개되었으며 시적 언어 역시 이미지나 감각에만 치우친 것이 아니라 분절된 세계의 회화적 양상을 드러내어 전반적으로 서술적인 표현으로 바뀌었다. 본고는 1920년대의 시에 드러난 시간의식이 정지용의 주관적 시간의식과는 차이를 보인다는 점을 밝혔다. 정지용 시의 주관적 시간의식은 당대에 대한 새로운 인식을 통해 새로운 시각으로 세계를 조망하고 형성하며 근대 현실을 극복해 나간 것이다. 정지용 시의 시간의식과 그 변모 양상에 대한 관심은 앞으로 정지용 시의 연구에 있어 중요한 방향으로 설정되어야 한다. 특히 시간의식과 수사학적 인식의 관계는 앞으로 더 많은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부분이다.

more

초록/요약

This paper saw that poems showed new realization about time through main volume for the modern age world, creative realization and clear time-consciousness's meaning of poems. First, divided Jeong, Jee-Yong's poems by early, middle, latter term according to time-consciousness's transfiguration aspect. And his poems saw time that show consciousness subjective time that grasp into purity continuance. His poem passes through transfiguration process according to time and change of metaphor realization about time is acting for motive here could know that change intention time. Ⅱ Chapter examined poetic meaning about sensual reappearance of time, nonexistence time characteristic, regard time as that is not. Appear by reappearance will of time by visual sense mainly in Jeong, Jee-Yong's poems. And nonexistence time characteristic is involved with latter term mainly in time-consciousness of his poem. This paper was interested better to 'Nonexistence time characteristic by regard time as that is not will'. 'Regard time as that is not will' accomplishes time-consciousness to materialize nonexistence time characteristic's world by effort to deny and removes order physical time. Ⅲ Chapter examined time of Jeong, Jee-Yong's poem consciousness vent aspect by each time. time-consciousness of his poem is appearing by will to reappear current time at current time and will to reappear past time at current time on early. His poem is shown time-consciousness to grasp by visual sense mainly and materializes memory through cognition about main volume self's time. Also, confirmed that go not recognize time about current and that is reappeared to yearn for the world that inside consciousness seeks through visual sense and metaphor. Seek time of eternity because there is to Catholic faith poem specially middle and focus has gathered to reappear self of current time insect by ideological metaphor by faith. God's world who is existent at time of eternity was realized through symbol gradually. But, did not find the way to go forward more newly to arrive in end of figuration process that wished to expose time of eternity that hug current time middle. Latter term, poem shows nonexistence time characteristic's world that is formed by actual regard time as that is not will. This world is counted that property is not existed current time and time property of other dimension that is not courted to order metrical time is seen. But, escaping the actuality world re-creation do nonexistence time property's world the world that have limit actually be. Ⅳ Chapter examined closely aspect of metaphorical realization about time. This paper saw that time-consciousness of Jeong Jee-Yong's poem was materialized or did transfiguration metaphorical realization and the synecdoche through realization. Referred limit of reason and synecdoche realization which is gone forward by synecdoche realization in symbol here. Examined aspect and characteristic of metaphorical realization about time of present and past in early poem. Through this, when wish to reappear time of present and past at current time, can know that doctor has heard in proposition time that wish to reappear grasping present and past by metaphorical realization. Middle, metaphorical realization of poem changes by ideological metaphorical realization. And it is important characteristic of this time that show time-consciousness that ideological metaphorical realization intends time of eternity through symbol starkly gradually. Such metaphorical realization is apt to be schematized or adhere to and confrontation relation by similarity is the single line. Synecdoche realization which present nature of real existence that can say that Jeong, Jee-Yong latter term poem is signified this displaying nonexistence time property's world through nature instead to components of nature is acting. Picture property also seen at this time shows aspect that synecdoche realization meets clearly time-consciousness for creative nonexistence time property's world. But, trust about reappearance that synecdoche realization has and blind trust about target resulted result that do to do poem adherence and is stiffened latter term. Ⅴ Chapter examined whether time-consciousness's transfigurations process has sense that is some as Bachelor of Arts time appear in Jeong, Jee-Yong's poem. First, self-consciousness about primitive language played an important part to reappear times by realization the metaphor. In terms of aspect of next such early poem changed in process that after this poem is spread it that had urea to be denied confirms. Change of metaphor realization and time-consciousness's transfiguration process are synecdoche in metaphor, was spread changing by regard time as that is not in grasping actuality time course and changed in expression that is narrative generally exposing world pictorial aspect that is segmented that poem language does not lean by image or sense. This paper cleared point that doctor is shown difference with consciousness his subjective time that is detected to poem of 1920s. Subjective time-consciousness of his poem takes a view of and forms the world and overcome modern age actuality by new sight through new realization about present age. Interest about time-consciousness and the transfiguration aspect of Jeong, Jee-Yong's poem should be established to important direction in his poem study forward. Specially, relation between time-consciousness and metaphor realization is part that study that is more forward should be achieved.

more

목차

차례
국문초록 = ⅰ
Ⅰ. 서론 = 1
1. 연구 목적 = 1
2. 연구사 및 문제 제기 = 5
3. 연구 방법 = 16
Ⅱ. 시에 나타난 시간의식의 의미 = 25
1. 시간의 감각적 재현 = 25
2. 무시간성과 시간의 無化 의지 = 30
Ⅲ. 정지용 시의 시간의식 표출 양상 = 36
1. 초기시의 재현 가능성의 시간 = 36
2. 중기시의 종교적 시간의식 = 52
3. 후기시의 시간의 無化 추구 = 64
Ⅳ. 시간에 대한 수사학적 인식 = 83
1. 시간의식과 수사학적 인식의 관계 = 83
2. 과거와 현재의 시간에 대한 초기시의 은유적 인식 = 88
3. 영원성의 시간에 대한 중기시의 은유적 인식과 상징화 = 105
4. 시간의 無化에 대한 후기시의 제유적 인식과 한계 = 119
Ⅴ. 정지용 시에 나타난 시간의식의 문학사적 의의 = 141
1. 시간의식의 변모 과정이 갖는 의의 = 141
2. 주관적 시간의식의 의의 = 151
Ⅵ. 결론 = 158
참고 문헌 = 165
Abstract = 175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