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학교평가의 효과성 및 문제점에 대한 교원들의 인식 연구

  • 발행기관 아주대학교 대학원
  • 지도교수 이장익
  • 발행년도 2004
  • 학위수여년월 2005. 2
  • 학위명 석사
  • 학과 및 전공 교육대학원 교육행정
  • 본문언어 한국어

초록/요약

본 연구의 목적은 학교평가의 효과성 및 문제점에 대한 교원들의 인식 내용을 토대로 학교평가의 현실을 진단하고 개선방안을 강구하여 새로운 학교평가의 방향을 모색해 보는데 있다. 아울러 선진국의 경우를 살펴봄으로써 우리의 학교평가제도에 효율적이고 미래지향적 발전방향을 모색해 보고자한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선정된 구체적인 연구내용은 다음과 같다. 1. 학교평가의 개념 및 본질적인 기능을 어떻게 재정립하여야 하는가? 2. 학교평가의 현황과 실태는 어떠한가? 3. 선진국의 학교평가는 어떠하며 시사하는 바는 무엇인가? 4. 학교평가에 대한 교원들의 인식과 학교평가의 개선방안은 무엇인가? 본 연구의 조사대상은 경기도내에 위치한 실업계, 인문계 고등학교에 재직하고 있는 교장·교감, 보직교사 및 교사들을 모집단으로 하였다. 인구통계적 변수를 살펴보면, 학교 구분 면에서 인문계 고등학교가 133명으로 56.6%이고 실업계 고등학교가 102명으로 43.5%로 구성되어 있다. 직급별로는 교사가 97명, 부장교사가 115명, 그리고 교장·교감이 24명으로 구성되어 있다. 통계분석을 위해서는 SPSS WIN 10.0을 이용하여 두 집단 간의 평균차이 검증인 T-test와 두 집단 이상에서의 평균차이검증인 ANOVA(일원변량분석), 그리고 명목척도와 같은 비모수 통계에 대한 분석으로는 교차분석인 χ²(Chi-square)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조사연구에서 밝혀진 결과를 요약하여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학교평가에 대한 전반적인 의견은 각각의 특성별로 차이를 보이고 있고 특히 교장·교감집단이 학교평가에 대한 높은 만족과 관심 그리고 기여도에 대한 높은 인식정도를 보이고 있고 인문계에 근무하는 교원들이 실업계에 근무하는 교원들 보다, 평가준비 경험이 있는 경우가 평가준비 경험이 없는 경우보다 전반적으로 높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교평가의 효과성에 대한 인식은 직급이 올라갈수록 책임의식 고취에 대하여 높게 인식하고 있으며 평가에 따른 현직 교원의 어려움에 대한 인식은 학교별, 평가준비경험여부, 직급별에 상관없이 모두가 각각 평가자료 준비로 인한 업무의 과중에 있다고 답하였으며 학교평가 운영에 관한 의견 중 평가주기에 대한 인식은 3년 주기로 실시함을 가장 타당하다고 생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업성취도 부분을 국가수준의 성취기준을 개발한 후 학교평가와 연계하여 실시하는 방안에 대하여는 인문계에 근무하는 교원들이 실업계에 근무하는 교원들 보다, 교장·교감집단이 교사집단보다 긍정적으로 나왔다. 학교평가의 개선점으로 가장 우선적으로 시행해야할 것에 대한 응답은 학교별, 평가준비여부, 직급별에 상관없이 학교평가활동과 장학활동과의 연계에 높은 비중을 두고 있으며 다음으로 학교평가 시행기관의 법제화에 비중을 두고 있다. 이상의 연구 결과에 기초하여 학교평가의 개선방향을 제시하면 우선 학교평가로 인하여 일선학교에 새로운 업무 부담과 수업결손이 있어서도 안 되며 평가영역의 항목설정은 교실수업개선과 교육현안과제를 위주로 하여 결정해야 한다. 학교평가의 수준은 평가자의 수준에 좌우되므로 평가위원의 전문성 확보를 위한 평가전문가 양성기관 설치가 필요하며 평가과정을 공개하고 공정성확보를 위하여 평가팀 구성 시 현장평가위원을 위촉하도록 하여 평가과정에 참여시킨다. 질적 평가가 강조되어야하며 수량중심이나 업적위주로 평가가 이루어지지 않도록 하여야 하고 학교평가에 대한 필요성과 역할에 공감하면서도 학교평가 지침이나 자료를 읽어보지 못하여 교원들의 인식이 낮게 나타나는 경우가 있으므로 학교평가의 효율적 운영을 위해서는 적극적인 홍보와 연수가 있어야 하겠다. 장기적인 관점에서 학교평가에서의 학업성취도 부분은 국가수준의 성취 기준 개발 및 학업성취도 평가와 연계하는 방안이 효과적일 것이며 마지막으로 학교평가활동과 장학활동과의 연계가 긴밀히 이루어져야 하며 학교평가 시행기관의 법제화 및 국가수준의 평가전문기관 설립이 필요하다.

more

목차

목차
Ⅰ. 서론 = 1
1. 연구의 필요성 = 1
2. 연구의 목적 = 4
3. 연구의 가설 = 5
Ⅱ. 이론적 배경 = 6
1. 학교평가의 개념 = 6
2. 학교평가의 추진과정 및 현황 = 23
3. 학교평가 해외 사례 분석 = 29
4. 학교평가의 문제점 분석 = 41
Ⅲ. 연구의 방법 = 44
1. 연구의 방법 = 44
2. 연구대상 및 자료의 처리 = 44
3. 조사도구 = 46
Ⅳ. 결과 분석 = 48
1. 학교평가에 대한 전반적 의견 = 48
2. 학교평가의 효과성에 대한 인식 = 51
3. 학교평가 지표의 타당성에 관한 인식 = 65
4. 학교평가운영에 관한 인식 = 71
5. 학교평가의 문제점 및 개선점 인식 = 81
Ⅴ. 결론 및 제언 = 92
1. 결론 = 92
2. 논의 및 제언 = 99
참고문헌 = 101
부록 = 104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