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밀레니얼 세대 부부의 억울에 대한 연구 : 합의적 질적 연구와 자기-상대방 상호의존모형

초록/요약

본 연구는 한국 사회에서 밀레니얼 세대 부부들이 경험하는 억울의 원인과 이에 대한 대처를 심층적으로 탐색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먼저, 연구 1에서는 맞벌이를 하는 밀레니얼 세대(1981년부터 1996년 출생자) 부부 10쌍, 20명을 대상으로 심층 면담을 진행하고 이를 합의적 질적 연구 방법을 통해 분석하였 다. 그 결과, 밀레니얼 세대 부부들이 억울을 느끼는 원인은 ‘경제 및 직장 관련 억울’, ‘가사 및 육아 관련 억울’, ‘양가 부모 관련 억울’의 세 가지 주요 영역이 남편과 아내 각각에서 도출되어 총 6개의 영역과 15개의 범주가 도출되었다. 밀레니얼 세대 부부들의 억울에 대한 대처는 ‘참고 억제함’과 ‘표현하거나 수용함’이라는 두 가지 영역에서 총 9개의 범주가 확인되었다. 연구 2에서는 연구 1에서 도출된 대처 방식인 ‘참고 억제함’과 ‘표현하거나 수용함’을 바탕으로 정서표현 양가성과 배우자 지지라는 변인을 선정하여 이러 한 대처가 자신과 배우자의 억울과 결혼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를 살펴 보았다. 이를 위해 맞벌이를 하는 밀레니얼 세대 부부 182쌍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고, 자기효과와 상대방효과를 측정할 수 있는 자기-상대방 상호 의존 매개모형(Actor-Patner Interdependence Mediation Model: APIeM)을 활용하여 변인들 간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정서표 현 양가성과 하위요인인 자기방어 양가성, 관계관여 양가성 모형의 자기효과와 배우자효과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세 모형 모두 정서표현 양가성 → 억울, 억울 → 결혼만족도의 경로에서 남편과 아내 모두 유의미한 자기효과가 나타났다. 상대방 효과의 경우 아내의 정서표현 양가성과 관계관여 양가성은 남편의 억울에 대한 상대방효과가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지만, 아내의 자기방어 양가 성의 상대방효과는 유의미하지 않았다. 배우자 지지 모형의 경우 배우자 지지 → 억울, 억울 → 결혼만족도의 경로에서 남편과 아내 모두 유의미한 자기효과 가 나타났다. 내의 배우자 지지는 남편의 결혼만족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 으나, 남편의 배우자 지지는 아내의 결혼만족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보이지 않 았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정서표현 양가성과 배우자 지지와 같은 대처가 억울과 결혼만족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고, 남편과 아내에 따른 차이가 나타나는지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함의와 제한점, 후속 연구를 위한 방향을 제시하였다. 주요어 : 억울, 밀레니얼, 부부, 합의적 질적 연구, 자기-상대방 상호의존매개 모형(APIMeM), 정서표현 양가성, 배우자 지지, 결혼만족

more

목차

I. 서론 1
Ⅱ. 연구문제 및 가설 8
1. 연구 1 8
2. 연구 2 8
Ⅲ. 이론적 배경 12
1. 밀레니얼 세대 12
2. 억울 13
가. 억울의 정의 13
나. 억울의 영향 16
3. 정서표현 양가성 17
가. 정서표현 양가성의 정의 17
나. 정서표현 양가성과 억울의 관계 19
4. 배우자 지지 21
가. 배우자 지지의 정의 21
나. 배우자 지지와 억울의 관계 23
5. 결혼만족도 25
가. 결혼만족도의 정의 25
나. 정서표현 양가성, 억울, 결혼만족도의 관계 26
다. 배우자 지지, 억울, 결혼만족도의 관계 27
Ⅳ. 연구 1 30
1. 연구 방법 30
가. 연구 참여자 30
나. 면담 프로토콜 31
다. 자료 수집 절차 32
라. 연구팀 구성 33
마. 자료 분석 과정 34
2. 연구 결과 37
가. 연구 문제 1: 부부가 억울을 느끼는 원인 37
나. 연구 문제 2: 부부의 억울에 대한 대처 54
3. 논의 66
Ⅴ. 연구 2 77
1. 연구 목적 77
2. 연구 방법 78
가. 연구 참여자 및 자료수집 방법 78
나. 측정도구 79
다. 자료 분석 방법 82
3. 연구 결과 84
가. 기술통계 및 주요 변인들의 상관관계 84
나. 주요 변인들의 남편과 아내에 따른 평균 차이 검정 결과 86
다. 측정모형 검증 86
라. 정서표현 양가성 모형 95
마. 자기방어 양가성 모형 101
바. 관계관여 양가성 모형 105
사. 배우자지지 모형 110
4. 논의 116
Ⅵ. 종합 논의 및 결론 125
■ 참고문헌 132
■ 부록 151
■ ABSTRACT 159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