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칫솔나무껍질과 시호뿌리 복합추출물의 당화반응 조절

초록/요약

- 국문요약 - 칫솔나무껍질과 시호뿌리 복합추출물의 당화반응 조절 당이 지방이나 단백질과 결합된 물질인 최종당화산물(AGEs)은 우리 몸에 노화를 일으키며 이와 관련하여 피부 내에서도 당화 반응이 일어나 피부노화를 발생시킨다. 본 연구는 이러한 당화산물로 인해 발생되는 피부노화를 억제하기 위해 두가지 천연식물인 칫솔나무(Salvadora Persica), 시호(Bupleurum Falcatum)로부터 추출한 복합추출물을 이용하여 Early step, Middle step, Late step으로 총 3단계의 당화반응 실험을 진행하였으며 모든 실험에서 당화반응을 유의미하게 억제시키는 결과를 확인하였다. 또한 동일한 복합추출물로 오토파지 기전을 통해 기 생성된 당화산물 제거여부를 실험하였으며 그 결과 오토파지를 통해 복합추출물이 기 생성된 당화산물이 유의미하게 제거되었음을 확인하였다. 실험데이터를 바탕으로 복합추출물을 통해 단순히 피부노화를 지연시키는 효과 뿐 아니라 기 생성된 콜라겐 및 엘라스틴과 같은 진피 내 주요 성분들의 기능을 정상적으로 작동하게 함으로써 피부탄력, 주름개선 등의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핵심되는말 : 최종당화산물, 오토파지, 피부노화

more

초록/요약

- Abstract - Advanced glycation end-products (AGEs), which are substances that combine sugars with fats or proteins, cause aging in the body, and in this connection, glycation reactions occur in the skin, causing skin aging. In order to suppress skin aging caused by these AGEs, this study conducted a total of three glycation reaction experiments in early, middle, and late stages using complex extracts from two natural plants, Salvadora Persica and Bupleurum Falcatum, and confirmed that the glycation reaction was significantly suppressed in all experiments. in addition, This complex extract was also tested for the removal of glycation products through the autophagy mechanism, an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complex extract significantly removed glycation products through autophagy. Based on the experimental data, it can be expected that the complex extract not only delays skin aging, but also improves skin elasticity and wrinkles by making the functions of major components in the dermis such as collagen and elastin work normally. Key words : Advanced glycation end-products, Autophagy, Skin aging

more

목차

1. 서 론 1
A. 당화반응 1
B. 오토파지 4
C. 칫솔나무와 시호 6
D. 연구목적 7
2. 실험방법 9
A. 천연 복합추출물 9
B. MTT 분석 9
C. 샘플준비 및 웨스턴블랏 10
D. BSA-glucose 분석 (Early step) 10
E. BSA-MGO 분석 (Middle step) 11
F. G.K. peptide-D-ribose 분석 (Late step) 11
3. 본 론 12
A. 세포독성실험 12
B. 오토파지 유도능 분석 13
C. 최종당화산물 분해능 분석 15
D. 콜라겐 타입 1 발현량 분석 16
E. 최종당화산물 억제능 분석 (Early step) 17
F. 최종당화산물 억제능 분석 (Middle step) 17
G. 최종당화산물 억제능 분석 (Late step) 18
4. 결 론 20
참고문헌 22
영문요약 27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