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집중적 양육방식’의 현재적 변용과 가족중심적 개인주의: 밀레니얼 세대 중상층 부모를 중심으로

초록/요약

본 연구는 수도권 중상층 지역에 거주하는 밀레니얼 세대(1980년대생) 부모들의 양 육방식을 ‘집중적 양육방식(intensive parenting)’ 개념을 중심으로 분석했다. 구체적 으로 이들의 양육실천이 어떻게 전통적 가족주의와 후기근대적 개인주의가 결합된 새 로운 형태의 가족실천으로 전개되고 있는지, 이것이 중상층의 계급 재생산 전략으로 서 어떠한 성격을 갖는지, 그리고 아이의 사회화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규명하 고자 했다. 이를 위해 수도권(서울 강남 일대 및 분당, 동탄 등 신도시 지역)에 거주하는 중상 층 밀레니얼 세대 부모 13명과 교육 관계자 5명을 대상으로 심층 인터뷰를 진행하였 다. 본 연구는 부르디외의 재생산 이론, 일루즈의 감정사회학, 라이르의 사회화 이론 을 통합적으로 활용하여 현재 한국 사회의 양육이 지닌 다층적 성격을 규명했다는 의 의를 지닌다. 연구 결과, 연구참여자들은 자녀의 학업 성취뿐만 아니라 성향, 재능, 리터러시 등 광범위한 영역에서 적극적인 양육적 개입을 하는 '전방위적 집중적 양육방식‘을 수행 하고 있었다. 첫째, 이러한 양육방식은 ‘가족중심적 개인주의’의 성격을 띄고 있었다. 이들은 자녀의 자율성과 개성을 강조하는 개인주의적 가치관을 추구하면서도, 동시에 가족 내 친밀성을 강화하고 자녀에 대한 개입을 확대하는 모순적 양상을 보였다. 이 러한 특성은 한국 사회에서 개인화와 가족주의가 독특한 방식으로 결합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둘째, 전방위적 양육방식은 중산층의 분화와 경제적 양극화라는 구조적 변동 속에 새로운 형태의 중상층의 계급 재생산 전략으로 등장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특 히 이러한 양육방식은 체화된 문화자본의 조기 형성을 강조하는 특징을 보였는데, 이 는 한국 사회의 전통적 교육열이 새로운 방식으로 변용되고 있음을 시사한다. 셋째, 이러한 양육방식이 아이들의 사회화 과정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상 호작용의 가족중심성 강화'와 '계층적 폐쇄성의 심화'라는 부정적 사회화의 가능성이 확인되었다. 특히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이러한 경향이 더욱 강화되면서, 아이들의 사회적 관계와 경험이 가족, 특히 부모를 중심으로 재편되는 양상이 두드러졌다. 본 연구의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가족사회학적 측면에서 한국의 가족 변화가 서구의 개인화 이론으로 완전히 설명될 수 없으며, 전통적 가족주의와 개인화 경향이 독특하게 결합된 형태로 전개되고 있음을 경험적으로 규명하였다. 둘째, 계급 재생산 연구의 측면에서 오늘날 한국 중상층의 계급 재생산이 이전보다 정교하고 복잡한 형 태로 이루어지고 있음을 포착하였다. 셋째, 사회화 연구의 측면에서 현재 한국의 집중 적 양육방식이 개인화된 가족실천과 계급적 구별짓기가 결합되면서, 아이들의 사회성 발달에 새로운 변화를 초래하고 있음을 밝혔다. 본 연구는 이러한 발견을 통해 오늘 날 한국 사회에서 가족을 매개로 한 계급 재생산의 메커니즘이 더욱 복잡해지고 있으 며, 이는 단순히 교육적 성취를 넘어 생활 방식과 성향, 그리고 미래에 대한 준비까지 포괄하는 총체적인 과정으로 진화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more

목차

제1장. 서론 1
제1절. 연구배경과 필요성 1
제2절. 연구대상과 연구목적 6
1. 연구대상 6
2. 연구목적 7
제3절. 논문의 구성 9
제2장. 이론적 배경 11
제1절. 선행연구 검토 11
1. 한국사회의 가족적 실천과 생애과정에 대한 연구경향 11
2. 한국 가족의 계급 재생산으로서 양육방식에 대한 연구경향 17
3. 소결 23
제2절. 계급 재생산 전략으로서 집중적 양육방식 분석의 이론적 토대 25
제3절. 집중적 양육방식의 다층성에 대한 이해전략으로서 행위자적 관점 29
1. 계급 재생산과 가족실천의 동기에 대한 행위자적 관점 31
2. 양육방식에 대한 사회화 관점: 가족에 의해 여과되는 다중적 사회화 34
3. 소결 41
제3장. 연구방법 42
제1절. 분석틀 42
제2절. 자료 수집 방법과 과정 46
제3절. 자료의 분석 방법 49
제4장. 중상층의 계급 재생산 전략으로서 집중적 양육방식 51
제1절. 집중적 양육방식의 조기화와 영역 확장 51
1. 영유아 시기 집중적 양육방식: 식이 관리와 신체발달 53
2. 학령기 이전 시기부터 시작되는 부모의 적극적 개입 56
3. 초등학교 시기 선행학습과 조기화된 입시 경쟁 59
4. 자녀의 재능, 성향 발달을 위한 부모의 적극적 개입 64
5. 초등학교 평가방식의 제도적 변화와 부모들의 대응으로서 사교육 70
제2절. 아이의 리터러시 형성과정 76
1. 조기화된 입시 경쟁과 영어 리터러시의 강화 79
2. 디지털 리터러시에 대한 통제와 독서 리터러시에 대한 강조 87
제3절. 소결 97
제5장. 집중적 양육방식의 동기에 대한 분석 104
제1절. 집중적 양육방식 동기의 다층성 105
1. 자녀에 대한 양가적 기대 105
2. 중상층의 아비투스로서 자녀에 대한 헌신 113
제2절. 자녀의 자율성에 대한 강조와 타인의 훈육에 대한 배제 117
제3절. 집중적 양육방식 동기의 형성과 변형 125
1. 집중적 양육방식의 세대적 계승: 전통적 집중적 양육방식의 생애연결성 128
2. 대안적 양육방식의 추구와 생애연결성 133
3. 집중적 양육방식의 생애연결성과 '동네효과' 136
제4절. 소결 140
제6장. 집중적 양육방식 하에서의 아이 사회화 144
제1절. 집중적 양육방식 하에서의 아이들의 사회성 146
제2절. 계급적 구별짓기의 공간화와 상호작용에서의 구별짓기 159
제3절. 소결 165
제7장. 결론 168
제1절. '전방위적 양육방식의 등장'과 연구의 의의 168
1. 밀레니얼 세대의 개인화된 가족실천으로서 전방위적 양육방식의 의의 169
2. 한국 중상층의 계급 재생산 전략의 변화의 지점으로서 아이키우기: 학업 중심의 교육열에서 전방위적 집중적 양육방식으로 172
3. 전방위적 집중적 양육방식과 부정적 아이 사회화의 가능성 175
제2절. 연구의 한계와 과제 178
참고문헌 183
부록 199
1. 연구참여자 199
2. 인터뷰 가이드라인 206
Abstract 213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