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염병 확산 시 음압격리병실로의 전환을 고려한 일반병동의 신축 계획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General Ward Plan Considering Conversion to Negative Pressured Isolation Unit During Epidemics of Infectious Diseases
- 주제(키워드) 감염병 , 음압격리병실 , 신축계획 , 팬데믹
- 주제(DDC) 720
- 발행기관 아주대학교 일반대학원
- 지도교수 권순정
- 발행년도 2025
- 학위수여년월 2025. 2
- 학위명 석사
- 학과 및 전공 일반대학원 스마트융합건축학과
- 실제URI http://www.dcollection.net/handler/ajou/000000034769
- 본문언어 한국어
- 저작권 아주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초록/요약
감염병 확산 시 병원에서는 리모델링을 통해 일반병동을 음압격리병동으로 전환 해왔다. 전환 과정에서 기존의 병동구조로 인하여 효과적인 격리병동으로 전환하 기에 한계점이 있었다. 기존 병동이 음압격리병동으로 효율적인 전환을 하기 위 해서는 앞으로 다가올 감염병 긴급상황에 대해 신속한 대응을 할 수 있는 방법 이 필요하다. 감염병이 발생했을 때부터 전환이 용이하도록 시설이 갖춰져 있으 면 평시에도 시설을 효율적으로 이용하면서도 위기 시에 격리병동으로 빠른 전 환이 가능할 것이다. 위기 시 또는 평시에서의 병동 계획을 다루는 기존 연구들 도 있지만 이는 음압격리병동으로의 전환을 전제로 한 일반병동의 계획에 관한 연구와는 거리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연구에서 제시했던 공간 계획이나 평면 유형 감염병 확산 시 일반병동을 보다 적정한 음압격리병동으로 전환할 수 있도록 병원 신축 설계 시 고려할 사항들을 제시한다. 일반병동을 중증환자긴급병상으로 전환한 중증환자 긴급치료병상 7곳의 병동 도 면을 중복도형과 이중복도형으로 구분하여 각각, 관찰의 용이, 동선의 분리, 음압 구역의 명확한 분리, 화장실 변기 배치의 측면에서 분석한다. 이후 일반병동을 음압격리병동으로 전환 시, 기존의 병동구조의 한계점으로 인하여 원활하게 전환 이 되지 않은 문제점을 파악한다. 또한 긴급 전환 감염병 격리 병동 시설 기준 및 긴급 전환 지침과 신종감염병 긴급치료병상 시설 기준[체크리스트]를 분석하 여 신축 시 고려해야 할 점을 도출한다. 감염병 확산 시 효과적인 음압격리병실로의 전환을 고려한 일반병동의 계획에 관한 내용을 제시함으로써 감염병동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일반병동의 신축 시 문제가 발생하지 않기 위해 도움을 줄 수 있는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주요어: 감염병, 음압격리병실, 신축계획, 팬데믹
more목차
제1장 서론 1
1.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1.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2
제2장 이론적 고찰 6
2.1 감염병 관리시설 종류 및 개념 6
2.2 중증환자 긴급치료병상 8
2.3 일반병동과 감염병동 10
2.4 선행연구 13
2.4.1 감염병 전문병원의 일반병동 건축계획 연구 13
2.4.2 긴급치료병상의 표준병동 평면 유형 도출 연구 14
2.4.3 공공건축물의 감염병 예방설계 가이드라인 개선방향 연구 15
제3장 감염병 시설 기준 분석 17
3.1 국내 감염병 관리시설 건축설계 기준 17
3.2 신종감염병 긴급치료병상 시설 기준[체크리스트] 21
3.3 소결 27
제4장 사례 분석 29
4.1 분석 개요 및 분류 방법 29
4.2 NG병원 30
4.3 HY병원 33
4.4 JJ병원 35
4.5 KB병원 38
4.6 KS병원 40
4.7 KW병원 43
4.8 MS병원 45
4.9 소결 52
제5장 감염병 확산 대비 병동 신축 시 고려사항 53
5.1 복도 형식 53
5.2 코어 계획 54
5.3 간호스테이션 55
5.4 PPE탈의실(샤워실) 56
5.5 병실 크기 57
5.6 소결 59
제6장 결론 62
참 고 문 헌 6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