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유행시 음압격리병동과 일반병동 환경특성에 따른 간호인력 감염률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the Infection Rate of Nursing Staff Based on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of Negative Pressure Isolation Ward and General Ward during COVID-19 Pandemic
- 주제(키워드) 병원 내 감염 , 간호인력 감염 , 음압격리병동 , 환경특성
- 주제(DDC) 720
- 발행기관 아주대학교 일반대학원
- 지도교수 권순정
- 발행년도 2025
- 학위수여년월 2025. 2
- 학위명 석사
- 학과 및 전공 일반대학원 스마트융합건축학과
- 실제URI http://www.dcollection.net/handler/ajou/000000034763
- 본문언어 한국어
- 저작권 아주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초록/요약
병원균의 전염성이 높을수록 의료 시설에서 확산 가능성 높다고 확인 되었다. 의료진의 교차 감염 위험성이 제시되었고, COVID-19 팬데믹 때 간호인력의 음압격리병동 근무 기피 현상이 발생했다. 의료진 감염기록 데이터를 분석하여 국내 음압격리병동의 안정성을 정량적으로 검토하고 환경 특성과 간호인력 감염률이 연관성이 있음을 검증하는 것에 연구의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ICMC의 간호인력 감염사례가 집중된 2022년 2월부터 2023 년 6월까지를 중심으로 간호인력 감염률을 분석한다. 일반병동과 음압격 리병동 간의 간호인력 감염률을 비교 분석한다. 대상 병원인 ICMC의 시 설현황과 국내 시설 기준안을 검토하여 환경 특성을 도출한다. 음압격리 병동의 각기 다른 간호인력 감염률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 특성을 도출하 고 경향을 분석한다. 국가지정 입원치료병상은 일반병동과 간호인력 감염 위험도가 비슷하 고, 긴급치료병상 간이형과 긴급치료병상 리모델링형의 간호인력 감염 위험도가 비슷하다. 그러나 일반병동보다 두가지의 긴급치료병상은 모두 간호인력 감염 위험도가 높다. 국가지정 입원치료병상은 긴급치료병상 리모델링형과 간호인력 감염 위험도가 큰 차이 없지만. 국가지정 입원치 료병상보다 긴급치료병상 간이형이 간호인력 감염 위험도가 높다. 간호인력 교차감염 위험도는 일반병동과 국가지정 입원치료병상이 비 슷하고, 그다음 긴급치료병상 리모델링형, 긴급치료병상 간이형의 순서로 높아지는 것을 알 수 있다. - ICMC 병동 내 병상 수 일반병동> 긴급치료병상 간이형> 긴급치료병상 리모델링형> 국가지정 입원치료병상 - ICMC 병실 내 최대 병상수 일반병동> 긴급치료병상 간이형> 긴급치료병상 리모델링형> 국가지정 입원치료병상 - ICMC 1인실 병상 유효면적 일반병동> 긴급치료병상 간이형> 긴급치료병상 리모델링형> 국가지정 입원치료병상 - ICMC 음압격리병동 내 환자 밀집도 긴급치료병상 간이형> 긴급치료병상 리모델링형> 국가지정 입원치료병상 감염환자가 밀집해 있을수록 교차 감염이 높을 수 있다. 국가지정 입원치료병상과 긴급치료병상 리모델링형이 오염물품 보관실 을 따로 두어 물품 반출이 용이하고, 음압격리병동 전용 엘리베이터의 구획으로 동선의 구분이 용이하고, 재료 및 마감재가 항균 및 항바이러 스 성능이 있어 간호인력 교차감염 위험도가 낮아질 수 있다. 국가지정 입원치료병상은 시간당 환기횟수가 많아 병실 내 공기 중 코로나 바이러 스 농도가 낮아져 간호인력 교차감염 위험도가 낮아질 수 있다. 음압격리병동의 건축적 및 운영적인 차이가 간호인력 교차감염 위험도 와 비슷한 경향을 보여준다. 간호인력 감염률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 특 성의 요소가 존재하고, 요소들을 잘 구획한다면 의료시설 내 간호인력 감염률을 줄일 수 있을 것이다. 주요어: 병원 내 감염, 간호인력 감염, 음압격리병동, 환경특성
more목차
1. 제1장 서론 1
1.1. 연구의 배경 1
1.2. 연구의 방법 및 목적 3
2. 제2장 이론적 고찰 및 선행연구 분석 5
2.1. 일반병동과 음압격리병동의 구분 5
2.1.1. 국내 일반병동 기준 8
2.1.2. 긴급치료병상 기준 8
1) 긴급치료병상 간이형 기준 9
2) 긴급치료병상 리모델링형 기준 9
2.1.3. 국가지정 입원치료병상 기준 10
2.1.4. 소결 11
2.2. 선행연구 분석 13
3. 제3장 병동별 감염률 분석 19
3.1. ICMC병원 19
3.1.1. ICMC병원 감염기록 범위 19
3.1.2. 데이터 분석 방법 20
3.1.3. ICMC병원 간호인력 감염률 계산방법 22
3.1.4. 일반병동 분석 23
3.1.5. 긴급치료병상 분석 25
1) 긴급치료병상 간이형 분석 25
2) 긴급치료병상 리모델링형 분석 28
3.1.6. 국가지정 입원치료병상 분석 30
3.1.7. ICMC병원 병동 분석 소결 32
3.2. 병동별 감염률 35
3.2.1. 일반병동 간호인력 감염률 평균 분석 35
3.2.2. 긴급치료병상 간호인력 감염률 평균 분석 37
1) 긴급치료병상 간이형 간호인력 감염률 평균 분석 37
2) 긴급치료병상 리모델링형 간호인력 감염률 평균 분석 38
3.2.3. 국가지정 입원치료병상 간호인력 감염률 평균 분석 39
3.2.4. 소결 40
3.3. 병동별 감염률 비교분석 42
3.3.1. 일반병동과 국가지정 입원치료병상 간호인력 감염률 비교 42
3.3.2. 일반병동과 긴급치료병상 리모델링형 간호인력 감염률 비교 43
3.3.3. 일반병동과 긴급치료병상 간이형 간호인력 감염률 비교 44
3.3.4. 국가지정 입원치료병상과 긴급치료병상 리모델링형 간호인력 감염률 비교 45
3.3.5. 국가지정 입원치료병상과 긴급치료병상 간이형 간호인력 감염률 비교 46
3.3.6. 긴급치료병상 간이형과 긴급치료병상 리모델링형 간호인력 감염률 비교 47
3.3.7. 간호인력 감염률 비교 소결 48
3.4. 소결 50
4. 제4장 결론 55
참고문헌 6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