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방암 경험자를 위한 온라인기반 자기초월증진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검증
Development and Effectiveness of an Online-based Self-transcendence Promotion Program for Survivors with Breast cancer
- 주제(키워드) 유방암 경험자 , 자기초월 , 온라인기반 , 심리적 디스트레스 , 삶의 질 , 뇌기능 , 자기초월증진프로그램
- 주제(DDC) 610.73
- 발행기관 아주대학교 일반대학원
- 지도교수 박진희
- 발행년도 2025
- 학위수여년월 2025. 2
- 학위명 박사
- 학과 및 전공 일반대학원 간호학과
- 실제URI http://www.dcollection.net/handler/ajou/000000034755
- 본문언어 한국어
- 저작권 아주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초록/요약
본 연구는 유방암 경험자를 위한 온라인기반 자기초월증진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였다. 자기초월이론을 개념적 기틀로 하여, 유방암 경험자의 심리적 디스트레스 완화를 위한 자기초월활동으로 프로그램을 구성하였다. 본 연구는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 시차설계를 이용한 유사실험연구설계로 온라인기반 자기초월증진프로그램은 G도에 소재하는 상급종합병원의 암센터 외래를 통원치료 받는 유방암 경험자 60명을 연구대상으로 효과를 검증하였으며, 연구기간은 2020년 12월 1일부터 2024년 1월 31일까지 시행되었다. 실험군에게는 60분의 8회기의 온라인기반 자기초월증진프로그램을 제공하였다. 효과평가는 자기초월, 우울, 불안, 지각된 스트레스, 뇌기능 검사, 삶의질 도구를 사용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IBM SPSS Statistics 29.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유방암 경험자를 위한 온라인기반 자기초월증진프로그램의 효과검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제 1가설 ‘온라인기반 자기초월증진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은 참여하지 않은 대조군보다 자기초월 점수가 증가할 것이다.’는 집단과 시간의 교호작용 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여 연구가설이 지지되었다(F=13.09, p<.001). 제 2가설 ‘온라인기반 자기초월증진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은 참여하지 않은 대조군보다 심리적 디스트레스 점수가 감소할 것이다.’는 집단과 시간의 교호작용 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여 연구가설이 지지되었다. 2-1부가설 ‘온라인기반 자기초월증진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은 참여하지 않은 대조군보다 우울 점수가 감소할 것이다.’는 집단과 시간의 교호작용 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여 연구가설이 지지되었다(F=11.85, p<.001). 2-2부가설 ‘온라인기반 자기초월증진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은 참여하지 않은 대조군보다 불안 점수가 감소할 것이다.’는 집단과 시간의 교호작용 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여 연구가설이 지지되었다(F=5.49, p<.001). 2-3부가설 ‘온라인기반 자기초월증진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은 참여하지 않은 대조군보다 지각된 스트레스 점수가 감소할 것이다.’는 집단과 시간의 교호작용 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여 연구가설이 지지되었다(F=6.82, p<.013). 2-4부가설 ‘온라인기반 자기초월증진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은 참여하지 않은 대조군보다 뇌기능 지수가 증가할 것이다.’는 집단과 시간의 교호작용 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여 연구가설이 지지되었다(F=6.03, p<.007). 제 3가설 ‘온라인기반 자기초월증진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은 참여하지 않은 대조군보다 삶의 질 점수가 증가할 것이다.’는 집단과 시간의 교호작용 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여 연구가설이 지지되었다(F=33.58, p<.001). 따라서 본 연구에서 개발된 유방암 경험자를 위한 온라인기반 자기초월증진프로그램은 심리적 디스트레스 완화와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이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에 유방암 경험자를 위한 심리적 디스트레스 완화와 삶의 질 증진을 위한 프로그램을 시행하는 데 있어 본 유방암 경험자를 위한 온라인기반 자기초월증진프로그램이 활용될 것으로 기대해 본다.
more초록/요약
This study aimed to develop an online-based self-transcendence enhancement program for breast cancer survivors and verify its effectiveness. The self-transcendence theory was used as a conceptual framework, and the program was designed to help relieve psychological distress and improve the quality of life for breast cancer survivors through self-transcendence activities. The program was developed so that breast cancer survivors could engage in self-transcendence activities in actual clinical settings. The subjects of this online-based self-transcendence enhancement program were 60 breast cancer survivors receiving outpatient treatment at the cancer center of a general hospital in G Province, and the study period was from December 1, 2020 to January 31, 2024. It was a quasi-experimental study design using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 and post-interval design, and the experimental group was provided with 8 sessions of 60-minute programs. The effectiveness evaluation used self-transcendence, depression, anxiety, perceived stress, brain function test, and quality of life tools, an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IBM SPSS Statistics 29.0 program. The results of the effectiveness verification of this online-based self-transcendence promotion program for breast cancer survivors are as follows. Hypothesis 1, ‘The experimental group that participated in the online-based self-transcendence promotion program will have an increase in self-transcendence scores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that did not participate,’ was supported by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interaction effect of group and time (F=13.09, p<.001). Hypothesis 2, ‘The experimental group that participated in the online-based self-transcendence promotion program will have a decrease in psychological distress scores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that did not participate,’ was supported by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interaction effect of group and time. Sub-Hypothesis 2-1, ‘The experimental group that participated in the online-based self-transcendence promotion program will have a lower depression score than the control group that did not participate.’ The research hypothesis was supported by the interaction effect of group and time showing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F=11.85, p<.001). Sub-Hypothesis 2-2, ‘The experimental group that participated in the online-based self-transcendence promotion program will have a lower anxiety score than the control group that did not participate.’ The research hypothesis was supported by the interaction effect of group and time showing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F=5.49, p<.001). Sub-Hypothesis 2-3, ‘The experimental group that participated in the online-based self-transcendence promotion program will have a lower perceived stress score than the control group that did not participate.’ The research hypothesis was supported by the interaction effect of group and time showing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F=6.82, p=.013). Sub-Hypothesis 2-3, ‘The experimental group that participated in the online-based self-transcendence promotion program will have a increase in brain function index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that did not participate.’ The research hypothesis was supported by the interaction effect of group and time showing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F=6.03, p=.007). Hypothesis 3, ‘The experimental group that participated in the online-based self-transcendence promotion program will have a increase in quality of life score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that did not participate.’ The research hypothesis was supported by the interaction effect of group and time showing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F=33.58, p<.001). Therefore, the self-transcendence promotion program for breast cancer survivors developed in this study was found to be effective in alleviating psychological distress and improving quality of life. Therefore, it is expected that this online-based self-transcendence promotion program for breast cancer survivors will be utilized in implementing programs to alleviate psychological distress and improve quality of life for breast cancer survivors.
more목차
1. 서 론 1
1.1 .연구의 필요성 1
1.2 .연구의 목적 4
1.3.연구의 가설 5
1.4. 용어의 정의 6
2. 문헌고찰 10
2.1. 유방암 경험자의 심리적 디스트레스 10
2.2.유방암 경험자를 위한 심리적 디스트레스 완화 중재 13
2.3. 자기초월이론 16
3. 이론적 기틀 22
4. 연구방법 25
4.1. 유방암 경험자를 위한 온라인기반 자기초월증진프로그램 개발 25
4.2. 유방암 경험자를 위한 온라인기반 자기초월증진프로그램 효과 검증 55
5. 연구결과 70
5.1. 실험군과 대조군의 사전 동질성 검증 70
5.2.연구가설 검증 74
6. 논의 92
6.1. 유방암 경험자를 위한 온라인기반 자기초월증진프로그램의 개발 92
6.2. 유방암 경험자를 위한 온라인기반 자기초월증진프로그램의 적용 및 효과검증 96
6.3. 연구의 제한점 101
7. 결론 및 제언 102
7.1. 결론 102
7.2. 제언 103
참고문헌 104
부록 125
ABSTRACT 141